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hololive
(r1 RAW)
[[분류:hololive 프로덕션]][[분류:일본의 MCN]][[분류:2016년 기업]] [include(틀:일본의 MCN)] [include(틀:hololive 프로덕션)]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hololive, version=997, uuid=4b8b63b5-a0d5-42b0-84d4-dcc63d7adf6c)] ||<-2><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46c2f2><colbgcolor=#46c2f2><colcolor=#fff> '''{{{+1 홀로라이브}}}''' || ||<-2><bgcolor=#ffffff,#1c1d1f><height=160>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Hololive 로고.svg|width=95%]]}}} || ||<width=120> '''운영 그룹''' ||[[hololive 프로덕션]]|| || '''외부 링크''' ||[[https://hololive.hololivepro.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JFZiqLMntJufDCHc6bQix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ololivetv, 크기=20)] ^^JP^^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ololive_EN, 크기=20)] ^^EN^^ |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ololive_ID, 크기=20)] ^^ID^^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https://hololive-fc.com/|[[파일:hololive 공식 팬클럽 로고.svg|width=40]]]]}}}||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50><table bordercolor=#46c2f2><rowbgcolor=#ffffff,#1c1d1f><nopad> [[파일:홀로라이브_소개.png|width=100%]] || ||<bgcolor=#46c2f2><color=#fff> '''홀로라이브의 소개 이미지''' || >VTuber 그룹 '홀로라이브'는 유튜브에서 약 5000만 명 이상의 팬을 확보하고 있는, Vtuber 사무소 '홀로라이브 프로덕션' 소속 여성 탤런트 그룹입니다.[*원문 VTuberグループ「ホロライブ」はYouTubeで約5000万人以上のファンがいる、VTuber事務所「ホロライブプロダクション」に所属する女性タレントのグループです。] >---- >[[https://hololive.hololivepro.com/about|공식 홈페이지 소개문]] >Together, Let’s Build A Community Loved By All > 다같이, 모두가 사랑하는 문화를 만들자. >---- >홀로라이브의 [[https://hololivepro.com/en/news/20230517-01-8/|슬로건]] 일본의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 회사 [[커버(기업)|커버 주식회사]]의 [[버츄얼 유튜버]] 프로젝트 [[hololive 프로덕션]] 소속 여성 버츄얼 유튜버 그룹. 홀로라이브라고 읽는다. == [[hololive 프로덕션/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프로덕션/역사)] == 소속 그룹 ==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hololive JP|hololive(일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 hololive 프로덕션의 시초가 되는 일본 중심의 여성 버츄얼 유튜버 그룹. 공식적으로는 이름에 재팬을 쓰지 않지만 팬들은 물론 멤버들도 스스로 타 그룹과의 구분을 위해 재팬이나 JP를 붙여서 부르곤 한다. 원래는 기수별 별도 이름이 없었으나 3기생부터 별도 이름이 붙기 시작했다. * 0기생 * 1기생 * 2기생 * hololive 게이머즈 * 3기생 - Hololive Fantasy * 4기생 - holoForce * 5기생 - holoFive, 네포라보 * 6기생 - 비밀 결사 holoX === [[hololive INDONESIA]]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INDONESIA)] * 1기생 - AREA15 * 2기생 - HOLORO * 3기생 - HoloH3RO === [[hololive ENGLISH]]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ENGLISH)] * 1기생 - Myth * 2기생 - Promise * Project: HOPE * Council * 3기생 - Advent * 4기생 - Justice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hololive DEV_IS|hololive DEV_I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 앵커=hololive DEV_IS)] 2023년 9월에 새로 출범한 신규 그룹. DEV_IS는 데바이스라고 읽는다. 활동 자체는 일본을 중심으로 하지만 JP와는 별도의 그룹으로, 커버 측에서는 성장과 그룹활동에 중점을 둔 그룹이라고 밝혔다.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ReGLOSS|ReGLOSS]]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 앵커=ReGLOSS)] DEV_IS 산하의 1기 그룹이다.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FLOW GLOW|FLOW GLOW]]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 앵커=FLOW GLOW)] DEV_IS 산하의 2기 그룹이다. == 활동 종료 그룹 == === [[hololive CHINA]]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CHINA)] ==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소속 멤버]] == [include(틀:hololive 프로덕션 멤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 == [[hololive 프로덕션/스태프|스태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프로덕션/스태프)] == 음악 프로젝트 == === [[hololive IDOL PROJEC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IDOL PROJECT)] 2019년 8월 9일 hololive 프로덕션의 첫 공식곡인 Shiny Smily Story의 공개와 함께 시작된 프로젝트로 홀로라이브 소속 탤런트 전원이 포함된 유닛이자 프로젝트로 소속 아이돌로서 하는 모든 활동은 이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 [[holo*2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27)] === [[Blue Journe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Blue Journey)] === [[hololive × HoneyWork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 HoneyWorks)] == 공식 방송 == 정기/비정기적으로 홀로라이브의 유튜브 채널이나 팬클럽 사이트 등 공식적인 매체를 통해 방송되는 프로그램들. 가끔 가을에 열리는 운동회, 신년에 열리는 마리오카트 정월컵, 미코로네24[* 이 기믹은 현재 코요리 24로 가져갔다.] 같은 대형 기획이 있지만 어디까지나 특정 멤버가 발기인이 되어 기획을 이끄는 형식이므로 해당 멤버의 방송에 한정되지, 회사가 주축이 되어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주최가 커버/홀로라이브인 경우이다. === X월의 홀로라이브 --홀로노코시카케--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1NeGg1woXqlrZyEgWJhY8aQ1YZ9FZk57|플레이리스트]] [[친구A]]가 앵커로 진행하는 월간 홀로라이브 소식 모음이다. 월간 모음이다보니 뉴스와 비슷한 형태를 지닌다. 친구A의 휴식 이후 이런 월간 마토메식 방송은 하루사키 노도카가 바통을 이어받아 하고 있지만 이름이 고정된것도 아니고 홀로노코시카케 타이틀도 달고 있지 않아 홀로노코시카케 정식 플레이리스트에도 들어가지 않으며 이름도 4월의 홀로라이브 이런식으로 매월 갱신한다. 이후 친구A의 퇴사로 오리지날 홀로노코시카케는 막을 내렸다. === [[홀로의 그라피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홀로의 그라피티)] === --홀로노고키겡우루와슈--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70u-xj6tPpRUhxJ5wh0fq8fKPHwSPX52|플레이리스트]] 매주 참가자가 1명씩 바뀌는 고품격 토크 버라이어티. 3인의 홀로멤이 출연자로 나오는데 플레이리스트 섬네일을 보면 출연자가 1명씩 바뀌는 큐 모양의 멤버교체를 보인다. 가장 왼쪽의 멤버가 그 회차의 사회자가 된다. 무료분에선 30분정도 고품격 토크 버라이어티를 빙자한 주접 퀴즈쇼를 벌이다 간다. 다만 이 30분은 맛뵈기이고 진짜는 홀로라이브팬클럽의 1시간반에서 2시간가량의 유료분이다. 대략 1달정도의 텀으로 방영되지만 간격이 상당히 비정기적이다. 22년 10월 29일로 종영. === 홀로테스 === [[https://hololive-fc.com/lives|홀로라이브 팬클럽 방송 목록]] 정식 명칭은 "홀로라이브, 그거 시험에 나오나요?(ホロライブのそれテストに出ますか?)" 공식 유튜브가 아닌 홀로라이브 팬클럽을 통해 시청 가능한 유료 컨텐츠로, 실제 유명 강사를 초빙하여 홀로라이브 멤버들이 수업을 받는다는 형식의 방송이다. 하지만 강사보다는 유명 성우, 아이돌을 초빙하는 일이 늘었다. 방송 간격은 비정기적이다. == 공식 행사 == === [[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라이브]] === [[hololive 프로덕션/라이브]] 문서 참고. === 홀로라이브 서머[anchor(홀로라이브 서머)] === 2019년 7월에 처음으로 개최한 여름 이벤트.[[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100.000030268.html|#]] 당시 여름 [[코믹마켓]] 이벤트에 맞춰 홀로라이브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기획되었던 것으로, 소속 멤버들의 개인 수영복 3D 모델을 제작하고 관련 상품을 판매한 무난한 이벤트였지만 당시엔 홀로라이브도 수위가 높은 방송이 많았기 때문에 수영복이 추가된 것 만으로도 상당한 이목을 끌었다. 그러나 2020년과 2021년에 연이어 홀로라이브 서머가 개최되지 않았는데, 유튜브의 검열 정책이 점점 강화되면서 피부가 많이 드러나는 수영복 모델을 내보이는 것이 상당히 어려워졌기 때문이다.[[https://youtu.be/ILUby7qpMt8|#]] 많은 홀로라이브 시청자들은 물론 일부 멤버들도 입을 모아 "홀로라이브 섬머를 돌려내라"고 농담 섞인 불평을 꾸준히 토로했지만,[[https://youtu.be/zimzSGLZCHw|#]] 2019년 9월 [[오오조라 스바루]]를 마지막으로 수영복 모델은 더이상 추가되지 않았다.[[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134.000030268.html|#]] 2022년에는 오랜만에 홀로라이브 서머가 부활했지만,[[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770.000030268.html|#]] 유튜브의 검열을 의식한 탓에 어쩔 수 없이 귀여움을 지나치게 강조한 디자인으로 제작되었다. 이 수영복은 어린이용 수영복 같다는 감상이 나올 정도로 부정적인 반응을 받았고[[https://youtu.be/NY8CQyz5Lrc|#]], 오히려 함께 공개된 [[유카타]] 복장이 더 큰 관심을 받았을 정도로 사실상 실패작으로 끝났다. 그러던 2023년 7월 1일 다시 한 번 홀로라이브 서머 행사 개최가 공지되었는데,[[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0963.000030268.html|#]] 절치부심한 듯 단체 3D 공연을 기획하고 새로운 공연용 수영복을 디자인하는 등 작년에 비해 훨씬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table width=640><table bordercolor=#2a4b6f><colbgcolor=#2a4b6f><table align=center><nopad> [youtube(YzQCNmk3YYA)] || ||<colcolor=#fff> '''[#hololivesummer2023] 주제가 "[[青春アーカイブ|{{{#white 청춘 아카이브}}}]]" 애니메이션 MV''' || ||<color=#fff>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table width=100%><width=30%><table bgcolor=#ffffff,#1c1d1f><colbgcolor=#2a4b6f> '''감독''' ||<|3><colcolor=#000> [[나리타 타쿠미]] || || '''콘티''' || || '''연출''' || || '''캐릭터 디자인''' || 츠지 토모코(辻 智子)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나가타 요시히로(長田好弘) || || '''작화감독''' || 후쿠다 케이타(福田佳太), 나가타 요시히로, 사카모토 슌타(坂本俊太), 소엔 유스케(宗園祐輔), [[하뉴(애니메이터)|하뉴]] || || '''애니메이션 제작''' || [[스튜디오 카이]] || }}} || 같은 날 홀로라이브 서머 2023 주제가인 청춘 아카이브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다. 홀로라이브에 들어오기 이전의 [[토키노 소라]]의 발자취를 시작으로 소라가 3주년 기념 라이브에서 [[친구A]]의 편지를 받고 감동하여 울음을 터뜨린 일,[[https://www.youtube.com/watch?v=lPlKT418bKA&t=2759s|#]] [[무나 호시노바|무나]]가 [[우사다 페코라|페코라]]와의 첫 합방을 앞두고 긴장감과 부담감에 힘들어하고 있을 때 [[아이라니 이오피프틴|이오피]]가 다정하게 격려해준 일,[[https://www.youtube.com/watch?v=p4Y0wbukM80&t=3615s|#]] 모처럼 비자를 받아 꿈을 안고 일본을 방문했는데 하필 코로나가 창궐하여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괴로운 나날을 보낸 [[타카나시 키아라|키아라]][[https://www.youtube.com/watch?v=D8LEt79s2yY&t=4360s|#]], [[키류 코코]]의 졸업을 앞두고 [[キセキ結び]]의 가사를 고민하는 [[아마네 카나타|카나타]]의 모습 등 가상의 이야기가 아닌 멤버들이 실제로 겪은 다양한 에피소드들이 삽입되어 있다. ||<table bordercolor=#2a4b6f><tablebgcolor=#2a4b6f><table align=center><nopad> [youtube(oLp3GDZcBCc)] || ||<color=#fff> '''[#hololivesummer2023] 주제가 "{{{#white 아방튀르♡홀릭}}}" MV''' || 그러나 청춘 아카이브에 이어서 공개된 신곡 [[アバンチュール♡ホリック|아방튀르 홀릭]]의 MV는 [[캬바쿠라]] 혹은 베게영업을 연상케 할 정도로 도가 지나친 섹스어필과 홀로라이브와는 관계없는 실사 수영복 모델들을 동원한 수영장 파티, [[불쾌한 골짜기|이질감이 느껴지는 3D 모델을 사용하는 등]] 청춘 아카이브와는 너무나도 달라진 천박한 분위기를 보여줘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 가운데 비추천이 2900개를 돌파하고 [[https://youtu.be/jJH_bkteJQI|홀로라이브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만큼]] 부정적인 반응도 있었다. 2023년 8월 26일 27일에는 Splash Party라는 이름으로 라이브를 개최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26일 공연은 공연 플랫폼인 '''Z-aN이 트래픽을 감당하지 못하고 서버가 터지는 바람에''' 시간 연장을 계속하다 개최가 연기되는 대형사고가 터져버렸다.[* 이 라이브 이후 이어서 EN 3기생들의 노래 공개와 방송이 예정되어 있어서 시간이 밀릴 경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었다.] 하필 그시간에 같이 Z-aN에서 송출되던 [[프리파라]]의 라이브도 덩달아 터지는 부수피해를 입었다. 이에 Z-aN과 참여한 멤버들이 X로 사과문을 올리는 중이다. 결국 커버는 1일차 전부를 27일 오후 13시에 무료로 유튜브에서 공개하는 [[https://twitter.com/hololivetv/status/1695586903138152518|초강수를 두었다.]] 이후 2024년, 7월이 끝나가는데도 홀로서머에 대한 그 어떠한 언급도 없이 지나가는 듯 하다가 8월 3일 [[https://youtu.be/DounP0qyA3Y|홀로의 여름 방학]]이라는 제목의 공식 방송을 진행하였다. 연례 행사인 빙고를 통상판과 '''인페르노판'''으로 나눴으며 그 외에는 [[머더 미스터리(게임)|머더 미스터리]] 컨텐츠를 추가하였다. 2025년 7월 9일 공식 방송에서 '홀로나츠 파라다이스'의 개막이 발표되었다. 이번 홀로서머의 가장 큰 특징은 [[VR챗]]을 전격적으로 활용한다는 점. [[Meta Quest]]와의 콜라보까지 결정되면서 기존 스튜디오 환경에서의 3D 컨텐츠가 아닌, 인원 제약 등에서 훨씬 자유로운 VR 환경을 통한 대규모 3D 기획을 다수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모든 멤버들에게 동일한 컨셉의 의상을 제작한 지난 홀로서머 행사와는 달리 기수마다 다른 스타일의 의상을 선보여 화제가 되었는데, 이는 각 멤버들과 직접 상의하며 디자인한 것이라고 한다.[[https://youtu.be/jhizDDF--5s?si=j9Gj0UMXm69k39W1|#]] 실제 3D 의상도 이렇게 멤버마다 전부 다른 디자인으로 제작될지는 미정이었으나, 전 멤버의 홀로나츠 의상 삼면도를 공식적으로 공개함에 따라 가능성이 꽤 높아졌다.[* 이것이 성사된다면 2019년 최초의 홀로서머 이벤트 이후 무려 6년 만에 멤버 개개인별로 여름 의상을 갖게 된다.] 7월 26일 VR챗을 통한 대규모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i3Nd5uDRxs#]] 홀로나츠 퀸을 뽑는다는 해변파티 컨셉으로 진행되었으며 기존 수영복이 있는 멤버들 외에 어드밴트와 리글로스는 신의상을 입고 나왔고 아직 3D모델이 없는 저스티스와 Flowglow는 얼굴만 붙인 쫄쫄이를 입고나왔다. 수영복 미녀들을 보는 여름다운 기획이 아니라 평소의 홀로라이브처럼 주접을 떠는 기획이 되었다. ||<table bordercolor=#2a4b6f><tablebgcolor=#2a4b6f><table align=center><nopad> [youtube(YddrL9mYKjA)] || ||<color=#fff> '''【#holonatsuparadise 】メインテーマ『藍染サマータイム!!』 MV''' || === [[홀로라이브 페스티벌]] === 2020년 부터 개최하기 시작한 페스티벌. 홀로라이브의 거의 모든 멤버가 참가하는 가장 큰 콘서트이다. 홀로라이브의 [[NHK 홍백가합전|홍백가합전]] 같은 존재. 자세한 것은 [[홀로라이브 페스티벌]] 문서 참고. === 홀로라이브 카운트다운 라이브 === 매해 마지막 날 있는 연말 공식 방송 일정의 마지막 스케쥴이자 새해 카운트다운과 함께 진행하는 합동 라이브. 홀로라이브의 멤버 대부분이 참여하는 대형 정기 라이브이다. 그 많은 인원이 1시간 남짓 되는 짧은 시간에 다 참여하는 만큼 거의 인당 1곡으로 한정되긴 하지만 평소에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조합으로 다양한 무대를 선보이기에, 멤버들의 의외의 노래 실력이나 생각지도 못했던 의외의 찰떡궁합을 발견할 수 있다. === 홀로라이브 시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50><table bordercolor=#46c2f2><bgcolor=#ffffff,#1c1d1f><nopad> [[파일:city_kv.jpg|width=100%]] || 일본의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각종 관관 시설 및 관련 기업들이 홀로라이브 프로덕션과 협업하여 일정 기간동안 홀로라이브 테마파크를 운영하는 이벤트. 2023년 7월 7일부터 9월 3일까지 도쿄 돔 시티 어트랙션에서 개최된 것을 시작으로, 2024년에는 일본 각지 총 6개의 테마파크에서 총 8월 1일부터 12월 1일까지 4개월동안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초대형 이벤트로 확장되었다. 테마파크 외에도 특별 공연, 야구 경기 콜라보레이션, 여름 박람회 등 다양한 이벤트들도 함께 진행된다. === 홀로라이브 나이트 === 프로 [[야구]] 구단과의 콜라보레이션 행사. 2024년 7월 [[LA 다저스]]와의 협업을 시작으로, 2025년 8월에는 [[대만]]의 [[웨이취안 드래곤스]]와 함께 행사를 개최하는 등 [[https://tw.news.yahoo.com/share/235299da-b397-43ed-b2d0-4f278d9816fd|#]] 국제적인 행사로 규모를 확장시키고 있다. === 기타 콜라보레이션 === * 2019년 [[벽람항로]]에 특수 함선으로 등장하였다. 해당되는 멤버는 [[시라카미 후부키]], [[미나토 아쿠아]], [[무라사키 시온]], [[나츠이로 마츠리]], [[나키리 아야메]], [[오오카미 미오]], [[토키노 소라]]. * 2021년 [[마계전기 디스가이아 6]]에 게스트 캐릭터로 [[시라카미 후부키]], [[우루하 루시아]], [[시라누이 후레아]], [[츠노마키 와타메]], [[오마루 폴카]] 5인을 적당히 세계관에 맞게 변경하여 DLC로 제공했다. * 2021 시즌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와 콜라보했다. 팀당 2명이 맡게 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 홋카이도 닛폰햄 - [[우사다 페코라]], [[토코야미 토와]] * 도호쿠 라쿠텐 - [[아키 로젠탈]], [[우루하 루시아]] * 사이타마 세이부 - [[시라카미 후부키]], [[시시로 보탄]] * 치바 롯데 - [[오오조라 스바루]], [[호쇼 마린]] * 오릭스 - [[나츠이로 마츠리]], [[시로가네 노엘]]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 [[이누가미 코로네]], [[아마네 카나타]] 10월 3일 간사이 클래식에 본격 참여했다. * 2021년 [[BanG Dream!]]과 콜라보했다, 콜라보 인원은 총 3명이며 다음과 같다. * 10월 22일: [[Pastel*Palettes]]×[[미나토 아쿠아]], - [[팬서비스(HoneyWorks)]] * 10월 23일: [[헬로, 해피 월드!]]×[[시라카미 후부키]] - [[ぼなぺてぃーと♡S]] * 10월 24일: [[Poppin'Party]]×[[토키노 소라]] - [[あの夢をなぞって]] * 2022년 PACIFIC CARGUY Racing[* [[슈퍼 GT]], [[GT 월드 챌린지 아시아]](이하 GT3), 유러피안 [[르망 시리즈]], [[르망 24시]](이하 GTE)에 출전. 차량은 페라리 488 GT3 에보 2020와 488 GTE 에보. 유러피안 르망 시리즈와 르망 24시에는 2021년부터 Kessel Racing이라는 이름으로 출전한다. 이름만 Kessel이지, 겉을 보면 빼박 CARGUY다.]과 협업하여, [[토키노 소라]], [[시라카미 후부키]], [[아키 로젠탈]], [[호쇼 마린]], [[오오조라 스바루]], [[유키하나 라미]] 등 6명이 [[슈퍼 GT]]용 리버리에 들어간다. * 2022년 [[발키리 커넥트]]와 콜라보를 진행하였다. 해당되는 멤버는 [[우사다 페코라]], [[라플라스 다크니스]], [[타카나시 키아라]], [[니노마에 이나니스]]. * 2022년 7월경에 홀로라이브 JP 0~4기생 멤버들과, [[산리오]]와 콜라보하여 굿즈를 판매했다. [[산리오 캐릭터즈#s-4.12|산리오 캐릭터즈 문서 4.12번째 문단]] 참조. * 2022년 7월 21일부터 [[애니플러스샵]]과 [[hololive ENGLISH#s-5.1|holo Myth]] 콜라보 카페를 열었다.[[https://twitter.com/ANIPLUS_SHOP/status/1547491116248756224|트위터 링크]] * 2023년 2월 20일에 [[게임로프트]]가 제작한 레이싱 게임인 [[아스팔트 레전드]]와 콜라보했다. 콜라보 멤버는 [[히메모리 루나]], [[사쿠라 미코]].[[https://www.youtube.com/channel/UCphl7N613vv9pgds_LdvpGg/community?lb=UgkxtndRw2FgUYZxff-rx918YYlGo7WrKoMX|콜라보 소식]] * 2023년 2월 10일부터 [[애니플러스샵#s-4.5|애니플러스샵 싱가포르 다운타운]]과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s-2.2.1|holo AREA15]],[[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s-3.3.3|holo Council]] 콜라보 카페를 열었다.[[https://twitter.com/anipluscafesg/status/1620270652866404352|트위터 링크]] * 2023년 5월 6일부터 [[월드 오브 워쉽]]에서 홀로라이브 콜라보를 하였다. 인원은 7명이며 다음과 같다. * 1차 - [[타카나시 키아라]], [[왓슨 아멜리아]], [[시시로 보탄]], [[무나 호시노바]] * 복각 - [[호쇼 마린]], [[시라카미 후부키]] * 2023년 5월 11일부터 [[애니플러스샵]]과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s-2.2.5|Hololive Fantasy]] 콜라보 카페를 열었다.[[https://twitter.com/ANIPLUS_SHOP/status/1651873983942496257|트위터 링크]] * 2023년 8월 10일부터 [[애니플러스샵]]과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s-2.2.6|holoForce]] 콜라보 카페를 열었다.[[https://twitter.com/ANIPLUS_SHOP/status/1684851205204508672|트위터 링크]] * 2024년 2월 29일부터 [[하얀고양이 프로젝트]]에서 홀로라이브 콜라보를 하였다. 해당되는 멤버는 [[우사다 페코라]], [[호쇼 마린]], [[시로가네 노엘]], [[시라누이 후레아]] * 2024년 3월 7일부터 [[애니플러스샵]]과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s-2.2.8|holoX]] 콜라보 카페를 열었다. [[https://www.aniplustv.com/storeCollaboCafe?i=70|애니플러스 링크]] * 2024년 4월 25일부터 [[애니플러스샵]]과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s-2.4.1|hololive Startend&Myth]] 콜라보 카페를 열었다. [[https://x.com/ANIPLUS_SHOP/status/1778668518273331430|트위터 링크]] * 2024년 7월 5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 다저스]]와 협업하여 [[다저 스타디움]]에서 "hololive night" 이벤트를 개최하였다.[[https://x.com/hololive_En/status/1809478361133072851|#]] [[가우르 구라]], [[우사다 페코라]], [[호시마치 스이세이]] 등의 멤버가 참여하였으며, 가우르 구라의 인터뷰 기사가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게재되었을 정도로 큰 화제를 모았다.[[https://www.latimes.com/sports/dodgers/story/2024-07-03/dodgers-gawr-gura-vtubers-hololive-promotion|#]] 이듬해인 2025년에도 또 한번 "hololive night" 이벤트를 개최하게 되었으며 [[니노마에 이나니스]], [[IRyS]], [[코세키 비쥬]]가 참여하였다. 아예 경기가 끝난 후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현장의 팬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고 이 프로그램을 유튜브로도 실시간 중계하였다. 또한 '''EN 멤버 전원'''이 기수별로 특별 영상 메시지를 보냈다. * 2024년 8월 15일부터 [[애니플러스샵]]과 [[hololive 프로덕션/소속 멤버#s-2.2.4|holoGamers]] 콜라보 카페를 열었다. [[https://x.com/ANIPLUS_SHOP/status/1816715079628591105|트위터 링크]] == 세계관 확장 프로젝트 == === [[hololive Alternativ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live Alternative)] ==== [[Holoearth]]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earth)] === [[홀로라이브 ERROR]]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홀로라이브 ERROR)] === [[마법소녀 홀로위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법소녀 홀로위치!)] == 홀로라이브 공식 게임 == [include(틀:홀로라이브 게임)] == 2차 창작 게임 == * '''{{{+1 Smol Ame}}}''' KevinCow라는 유저[* 본명은 케빈 스티븐스(Kevin Stevens)로 알려져 있다.]가 제작한 동인 게임. [[https://www.youtube.com/watch?v=Gwh8wo-3HMw|왓슨]]과 [[https://www.youtube.com/watch?v=AHUP0GivAVY|구라]]가 자기 방송에서 플레이하기도 했다. [[https://kevincow.itch.io/smol-ame|이 링크]]에서 직접 플레이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후 개발자는 [[모리 칼리오페|칼리]]와 [[점프킹]]을 주제로 한 [[https://moocow-games.itch.io/grim-leaper|Grim Leaper]], [[츠쿠모 사나|사나]]를 주제로 한 [[https://moocow-games.itch.io/beeg-sana|BEEG SANA]]를 개발하고 있다. BEEG SANA는 사나 본인이 직접 플레이 하기도 하였다. [[https://x.com/KevinCow/status/1769999100533989862|2024년 3월]]을 끝으로 더이상의 업데이트는 없을 것 같다고 발표했다. * '''{{{+1 Hololive Isekai}}}''' [youtube(yHWlR43E3wI)] 당초 [[https://www.youtube.com/channel/UCAnUBKzIF_oR4yNUfqIkCqw|Whatopia]]라는 클리퍼가 [[만우절]] 개그로 삼았던 [[https://www.youtube.com/watch?v=rLT_V5wQ7RY|소재]]인데, 실제로 [[RPG]]로 제작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3기생들이 어느 날 갑자기 이세계에 떨어진 후 서로 협력하며 싸워나간다는 초반 줄거리를 갖고 있다. 9월부터는 [[https://drweam.itch.io/hololive-isekai|이 링크]]에서 v.0.2.2a 데모 버전까지 다운로드하여 플레이할 수 있다. v0.3이 8월에 나온다고 적혀 있으나 2024년으로 넘어갔음에도 불구하고 v0.3 업데이트가 전혀 되지 않고 있다. * '''{{{+1 Five Nights at Hololive}}}''' [youtube(kdF0m4jWjvE)] Yukari Moscow라는 [[태국]] 유저가 제작한 홀로라이브와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의 2차 창작 게임. FNaF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등장 [[애니매트로닉스]]들을 홀로라이브 멤버들로 바꿨으며, 피자가게 대신 홀로 카페(Holo Cafe)에서 동이 틀 때까지 멤버들의 습격을 버티며 살아남아야 한다. [[https://gamejolt.com/games/FNaH/619277|윈도우즈 PC]]와 [[https://drive.google.com/file/d/1ifADIs19pNcUzQzEcbU8pNBExLFjp9ih/view?fbclid=IwAR24l6KoOJxlE-qcDxgc4VGNlZEOvNhgl7e4DpSmuzZQ313QbUU8tZ6Hkbc|안드로이드 폰]]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 '''{{{+1 Holotale}}}''' [youtube(uYOtOM6o11A)] [[언더테일]]의 전투 시스템을 기반으로 등장인물들을 홀로라이브 멤버들로 바꿨다. [[https://fire.st/tPe8jXd|윈도우즈 PC]]로 플레이할 수 있다. * '''{{{+1 HaachamaWare}}}''' [youtube(NnRYIxULMRM)] RONIN PIXEL이라는 픽셀 아트 제작자가 2021년 1월경 만든 [[https://youtu.be/kvxyuWeYClE|haachama Ware, Inc.]]라는 팬 동영상을 바탕으로, [[https://twitter.com/CenTdemeern1|CenTdemeern(프로그래밍 담당)]], [[https://twitter.com/zeth_total|zeth_total(작화 담당/=RONIN PIXEL)]], [[https://twitter.com/hurikomi|hurikomi(음악 및 효과 담당)]] 이상 3명의 유저들이 제작한 게임. 원본이 된 영상에는 "제작 중인 게임이 아니다" 라고 명시했었지만, 2021년 8월 10일 [[아카이 하아토]] 생일을 맞이하여 진짜 게임으로 제작되게 되었다. [[메이드 인 와리오 시리즈]]의 해외명칭인 와리오웨어 시리즈를 모티브로 하며, [[https://centdemeern1.itch.io/haachamaware|이 링크]]에서 플레이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다. 밈의 대상인 아카이 하아토 본인도 마음에 들어해 자신의 오프닝에 이 영상을 잘 섞어서 쓰고 있다. * '''{{{+1 홀로라이브 밈 피하기}}}''' [youtube(LB80xsiYm8k)] [[https://kudeok.itch.io/avoid-hololive-meme|다운로드]][*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제작자에게 후원하는 창이 뜨는데, 사이트가 영어 베이스라서 순간 돈받고 팔아먹으려는 걸로 착각할 수 있지만 '''No thanks, just take me to the downloads''' 글자를 누르면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한 때 한국에서 큰 유행을 끌었던 [[어보이드 앤 서바이브]], 일명 '''개드립피하기''' 시리즈에서 파생된 작품으로 제작자는 [[https://youtube.com/c/%EA%B0%9C%EB%B0%9C%ED%95%98%EB%8A%94%EA%BE%B8%EB%8D%95|꾸덕]][* 해당 유튜브 채널에서 제작근황을 확인 가능하다.] [[https://youtu.be/Y_RKX278tBY|처음에는 짧게 만든 영상 수준이었지만]] 큰 호응을 받아 [[https://youtu.be/b2Q4wySupUI|점차 발전하더니]] 결국 [[https://youtu.be/mgzIDvI8_cA|21년 9월 22일 투고된 제작근황]]과 함께 데모판을 선공개하였다. 22년 3월 26일 정식으로 나왔고 JP6기생과 EN 2기까지 포함되었으나 제명된 우루하 루시아는 빠졌다[* 이 때문에 탬버린 클럽, 도동가 동동동 릴레이도 패턴에 넣을 예정이었다가 안타깝게 불발되었다고 한다.]. 제작자가 지쳤는지 새로 데뷔하는 멤버가 있어도 추가 업데이트는 없을 것이라고 못박아놨는데 공교롭게도 발표한 날을 전후해서 ID 3기가 데뷔를 해버렸다. * '''{{{+1 Holoware}}}''' [youtube(PHOcE0hnoEw)] HaachamaWare와 마찬가지로 [[메이드 인 와리오 시리즈|메이드 인 와리오]](와리오웨어) 시리즈를 모티브로 하였다. 그래서 제목도 하쨔마웨어와 비슷한 홀로웨어로 되었다.[[https://tiannya.itch.io/holoware|다운로드 링크]] * '''{{{+1 holotyping}}}''' [[https://mesiro101.itch.io/holotyping|링크]] [[아마네 카나타]]를 주인공으로 하는 타자 게임. * '''{{{+1 Delivering Hope}}}''' [youtube(RjK-B0bjZRc)] [[https://david-wu-softdev.itch.io/delivering-hope-hololive-fangame|링크]] [[IRyS]]를 주인공으로 하는 [[NANACA†CRASH!!]] 스타일의 게임. '''[[IRyS]] 본인''', [[하코스 벨즈]], [[카엘라 코발스키아]][* 특히 카엘라는 도전과제와 랭킹 등을 매우 진지하게 파고드는 하드 게이머 성향인데, 이 게임은 간단하면서도 기록 경쟁하기 좋아서 상당히 열중하는 편.], [[베스티아 제타]], [[쿠레이지 올리]]가 방송에서 플레이한 바가 있다. 모바일 버전이 있으며 한글도 지원되는데, 여기서는 '무언가를 하늘로 힘껏 던지다'라는 뜻을 가진 영어권 구어 yeet를 '에잇'이라는 의성어로 [[초월 번역]]했다.[* 예를 들어 Yeet Irys!의 경우 아이리스를 힘껏 던지라는 의미인데, 이걸 "아이리스를 에잇!"으로 번역한 것.] 유사한 장르의 다른 팬 게임 중에는 [[쿠레이지 올리|올리]]를 한도끝도 없이 밑으로 떨어뜨리는 게임도 있다. * '''{{{+1 Holo EN Rhythm Game}}}''' [[https://nullrefrepro.itch.io/hinotori-rhythm|링크]] [[뮤즈 대시]]를 패러디한 횡스크롤 리듬게임으로 [[가우르 구라]]를 조작하여 8비트 칩튠 버전으로 리믹스된 홀로라이브 EN의 오리지널곡들을 플레이할 수 있다. 오리지널곡의 뮤직비디오와 관련된 여러 연출들 역시 등장한다. * '''{{{+1 Deadbeat}}}''' [[https://zkfie.itch.io/deadbeat|링크]] [[모리 칼리오페]]가 등장하는 리듬게임 형식의 장애물 피하기 게임. 칼리의 팬 마스코트인 데드비트를 조작해 칼리의 오리지널 곡에 맞춰서 장애물을 피하는 형식으로, 휘두르기 공격은 점프해서 피할 수 있으며 빨간색으로 된 공격은 타이밍에 맞춰 반격할 수 있다. * '''{{{+1 BEEG SANA}}}''' [[https://moocow-games.itch.io/beeg-sana|링크]] [[츠쿠모 사나]]를 주인공으로 하여 은하에서 별을 낚시하는 게임. 야타가라스를 마우스로 조작해 운석을 피하고 별을 낚아올리는 식으로 진행된다. 게이지를 채우는 식으로 진행하는 chill 모드와 게이지가 다 떨어지기 전에 최대한 별을 낚아 스코어링을 하는 challenge 모드가 있다. 수집 요소가 있으며 별 이외에도 홀로라이브의 각종 네타 요소들을 수집할 수도 있다. 사나 본인이 직접 플레이한 적도 있다. * '''{{{+1 ChikuTaku}}}''' [[https://watsonamelia.itch.io/chikutaku|링크]] [[왓슨 아멜리아|아멜리아 왓슨]]의 오리지널곡 [[ChikuTaku]]를 기반으로 한 [[리듬 천국 시리즈]] 풍의 리듬게임. 키보드 아무 키 혹은 마우스 클릭으로 조작할 수 있다. * '''{{{+1 CouncilRyS RPG}}}''' [[https://kebbie.itch.io/councilrysrpg|링크]] 홀로EN Council과 IRyS를 주역으로 하는 RPG 게임. 직접 방송에서 플레이 해본 EN 멤버들도 자신들의 성격이나 관계가 잘 반영된 부분이 많다며 호평했다. 파우나와 벨즈는 플레이하다가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 '''{{{+1 Mumei ≠ Gura}}}''' [[https://planetdropper.itch.io/mumei-gura-voice-quiz|링크]] 홀로라이브 EN에서 목소리가 비슷하다는 평을 많이 듣는 [[가우르 구라]]와 [[나나시 무메이]]의 목소리를 구분하는 퀴즈 게임이다. 총 10문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퀴즈를 다 풀면 얼마나 이 게임을 한 사람들이 몇 문제를 맞췄는지 통계를 보여준다. * '''{{{+1 [[수박게임]] 계열}}}''' 수박 게임은 알려진 프로젝터 제조사 게임이 원조가 아니라 다른 [[오픈 소스]] 게임이 원조인 관계로 팬게임이 많이 존재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홀로멤에게 가장 많은 호응을 이끌어낸 게임은 ホロのスイカ이다. 대체로 가슴 사이즈에 따라 순서가 매겨져 있다. * ホロのスイカ [[https://tkgames.jp/holo_watermelon.html|링크]] A타입: 카나타 > 마츠리 > 후부키 > 아쿠아 > 오카유 > 미코 > 라미 > 네네 > 클로에 > 마린 > 노엘, 조작 캐릭터는 친구A B타입: 라플라스 > 페코라 > 아야메 > 소라 > 코로네 > 루이 > 하쨔마 > 코요리 > 와타메 > 쵸코 > 후레아, 조작 캐릭터는 하루사키 노도카 C타입: 구라 > 올리 > 모코코 > 아냐 > 제타 > 벨즈 > 아메 > 후와와 > 칼리 > 무나 > 크로니, 조작 캐릭터는 오메가알파. 아무래도 JP 베이스다보니 가장 많은 호응이 있었다. 팬게임임에도 불구하고 공식의 허가를 얻어 방송용으로 쓰이고 있다. 이 게임을 플레이하는 홀로멤들은 홀로멤들의 가슴 사이즈 평가를 하게 되며, 홀로멤이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일반 수박게임에 비해 예절주입이 되기는 하나 결국은 A타입 기준으로 카나타가 방해된다는 식의 험담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업데이트가 빈번하며 이후 이전에 했던 이벤트 모드들을 다시 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되었다. 10월 13일 : 출시. 현재 A타입에 해당되는 세트만 있었다. 10월 20일 : 카나타를 일시적으로 하쿠이~~타~~ 코요리로 대체하였다. 이게임에서 체리 포지션인 카나타가 코요리와 지는사람이 하루 동안 빨래판으로 방송하는 병주 점수내기 승부를 했는데 여기서 코요리가 지자 깨알같이 하루동안 카나타를 코요리로 교체하는 발빠른 행보를 보인 바 있다.[* 패배해서 교체되었다는 것을 반영했는지 하룻동안 바뀐 코요리는 B타입과 달리 눈을 감고 있는 시무룩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10월 27일 : B세트가 추가되었다. 10월 31일 : 요조라 멜 탄생제 기념 이벤트. 최상위 수박 포지션에 멜이 들어가있으며 등장 홀로멤이 A타입과 B타입이 섞어서 등장한다. 11월 7일까지 한정. 11월 11일 : 시작시 합칠수록 다음 사이즈로 커지는 무지개 카나타가 추가되는 이벤트 모드가 등장했다. 11월 22일 : C세트가 추가되었다. 11월 30일 : HoloX 2주년을 기념해 HoloX멤버들과 마스코트가 나오는[* 최초로 가슴이 아닌 키를 기준으로 순서가 매겨져 있다. 수박 포지션에는 라플라스가 한번 더 들어가지만...] HoloX침공 이벤트 모드가 등장했다. 12월 26일 : 겨울 이벤트로 미끌미끌 모드가 등장했는데, JP및 EN의 빈유 멤버들[* 키를 기준으로 순서가 매겨져 있는지 라플라스 > 비쥬 > 구라 > 시온 > 카나타 > 마츠리 > 카나데 > 모코코 > 하지메 > 이나 > 스이세이의 순서로 나온다.]이 나오며 바닥 또한 이벤트명 답게 곡선의 미끄러운 형태로 되어 있다. 12월 28일 : 용의 해를 기념하는 이벤트 모드가 등장하는데, 4기생멤버들과 마스코트, 특히 키류 코코도 나오며 여기에 추가로 홀드 기능까지 추가되었다. 리글로스 모드 : 무지개 카나타의 아오 버전이다. 캐릭터는 리글로스 멤버들에 더해 벌레와 관련이 많은 멤버[* 후부키,코로네,마츠리,미코는 넷이서 식용 벌레를 먹었고, 카나타는 번데기를 먹은 적이 있으며, 시오리는 식용 건조곤충을 캡슐에 담아두는 손캠 기행을 보여줬고, 메인 캐릭터인 아오는 반강제로 노린재를 먹은 적이 있고, 최고 사이즈로 나온 하아토는 타란튤라를 라멘에 넣어먹은 적이 있다.]로 순서는 아오=카나타<카나데<하지메<마츠리<후부키<라덴<리리카<시오리<코로네<미코<하아토 노린재 모드 : 리글로스 모드의 히든모드. 아오 키우기는 동일하지만 떨어지는 캐릭터들이 전부 '''크기가 다른 노린재'''로 변해있다. 노린재들의 모양이 크기 말고는 큰 차이가 없어 난이도가 높다. 다이판(슬래밍) 모드 : 통칭 루시아 모드. 드랍마다 [[샷건(신조어)|다이판]] 게이지가 차는데 합성에 성공할 때마다 줄어든다[* 드랍한 캐릭터만 합성되면 게이지가 그대로지만 연쇄 합성시 크게 줄어드는 걸 볼 수 있다.]. 다이판 게이지가 차면 쾅 쳐서 필드를 뒤흔드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과정에서 캐릭터가 윗쪽에 닿아서 게임오버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가장 작은 캐릭터가 깨알같이 카나타가 아닌 루시아[* 심지어 루시아도 이걸로 꽤나 유명했다고 한다.]다. 홀로토리 모드: HoloX 침공 이벤트 모드처럼 홀로토리 멤버들과 마스코트가 나오는데 여기에 추가로 캐릭터들이 잘 튕기는 효과까지 붙어있다. 만우절 모드: 통칭 야고 모드. 떨어지는 캐릭터들이 전부 [[HoloCure]]버젼의 YAGOO라 노린재 모드보다 더 어렵다. 참고로 최고 사이즈는 금버젼. * Hololive Manjuu [[https://marcmok.itch.io/hololive-manju|링크]] EN 기반이다. 이 게임에서 수박에 해당하는 멤버는 [[츠쿠모 사나]]. 조작 캐릭터는 [[IRyS]]. 추가로 벨즈를 들고 있을 때는 헤벌레한 얼굴이 되는 이스터에그가 있다. * PEBBLE JAME [[https://gioba-games.itch.io/pebble-jame|링크]] [[코세키 비쥬]]의 팬 게임, 과일이 팬인 페블(돌멩이)로 바뀌었고, 페블의 위치와 크기를 조작하거나 제거하는 각종 아이템이 추가되었다. * 이외에도 홀로멤 아이콘도 아니고 공식일러의 가슴을 오려다가 과일 대신 쓰는 게임이 존재한다 전해진다. * '''{{{+1 Snowed in}}}''' [[https://shiorinovella.itch.io/shiorivisualnovella|링크]] [[시오리 노벨라]]가 '''직접 시나리오를 맡은''' 비쥬얼 노벨 게임. 폭설을 피해 시오리의 집으로 향한 플레이어가 시오리와 같이 요리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는 달달한 내용이다. 웹에서 플레이 가능. === holo indie === [[https://x.com/holoindie_ccmc|공식 트위터]] 커버사가 홀로라이브 2차 창작 게임 제작을 장려하기 위해 세운 브랜드로, 팬 게임의 공식적인 수익화를 허가하고 있다. 주로 인디 게임 제작자들이 제작중인 게임들을 지원하는 게 특징이며 규모는 크든 작든 상관없다고 한다. 공식 레이블로 출시되는 특성상 심사 기간을 거쳐서 유통된다. * '''{{{+1 HoloParade}}}''' 2차 창작이지만 인디 제작자들을 지원하기 시작한 커버와의 연계로 수익화가 허가된 첫 게임. 가격은 한국 기준으로 4500원.[* 단, 한글화는 아니다. 지원하는 언어는 일본어, 영어, 인도네시아어.] 공식의 지원을 받으므로 탤런트들의 클립 음성이 수록되며 특히 노도카가 직접 오프닝 대사를 수록하기도 하였다. 크게 요약하자면 홀로라이브판 [[냥코 대전쟁]]. 홀로라이브의 팬 캐릭터와 탤런트들을 소환해서 --우측의 벽--친구 A를 지키고 좌측의 벽을 부수는 디펜스 장르의 게임이다. 돈을 투자해서 소환 자원을 줄이는 냥코 대전쟁과는 다르게 퍼레이드라는 설정으로 다양한 멤버를 조화롭게 소환해서 흥을 올려 "볼티지"를 올려 소환 자원 수급을 올리는 방식이다. 잡졸이지만 전략적으로 소환 가능한 팬 캐릭터들과 높은 코스트를 들여 소환하는 탤런트들을 잘 조합해서 냥코 대전쟁처럼 플레이하면 된다. 캐릭터 가챠도 있지만 추가 과금같은 게 없이 게임 플레이만으로 모든것을 얻는 방식이다. [[카이로소프트]]의 게임 개발국을 연상케하는 PR부 미니게임, 서둘러 미코치 같은 단순한 피지컬 미니게임도 있어 지루함을 덜려는 시도도 하지만 결국 후반부 플레이를 위해 그라인딩이 필요하기도 하다. 코스트 수급에 영향을 주는 볼티지는 대규모 업데이트 이후로 악기의 다양성에서 친구 A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와 동시에 마노 알로에를 제외한 5기생 4명도 추가되었다. * '''{{{+1 '''Holo × Break'''}}}''' [youtube(t3xnQBlxjis)]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719150/Holo_X_Break/|스팀 링크]] [[홀로큐어]] 제작진들이 개발한 벨트 횡스크롤 게임으로 X는 [[묵음]]이라서 홀록스 브레이크가 아니라 홀로 브레이크라고 읽는다. 2024년 3월 29일 발매되었으며가격은 무료다. [[홀록스]]가 [[YAGOO]]를 납치해서 [[모모스즈 네네|네]][[오마루 폴카|포]][[유키하나 라미|라]][[시시로 보탄|보]]가 구해야 하러 간다는 스토리로[* 엔딩은 5기생이 홀록스의 야망을 저지한 뒤 본인들이 소속한 그룹과 함께하라며 회유하면서 홀록스 5인조를 홀로라이브에 가입시키고, 그렇게 아이돌 그룹이 된 홀록스가 공연을 하며 세계 정복을 완료한다. 이후 [[HoloCure|팬들을 구하려고 고군분투하는 선배들과 합류하기 위해 떠나는 것]]으로 끝나는데, 본래 목적인 야고 구출은 잊어버린 상황에서 야고의 얼굴에 팔과 다리가 달린 실루엣이 찾아오며 무언가를 암시하며 끝난다.] 공식적으로 5기생과 6기생들이 새로운 보이스를 녹음해서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6기생 5인의 특색에 맞는 다섯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구성이며[* BGM은 반대로 5기생 멤버의 노래를 칩튠 BGM으로 어레인지했다. 코요리 스테이지는 폴카의 HOLOGRAM CIRCUS, 이로하 스테이지는 라미의 Lamy*Love♡Fest☆, 클로에 스테이지는 네네의 Lunch with me, 루이 스테이지는 보탄의 Lioness’ Pride, 라플라스 스테이지는 5기생 4인의 BLUE CLAPPER다. 6기생의 노래를 어레인지한 건 보스전에 쓰인 6기생 5인 전원의 Jouya Repaint 하나 뿐이다. 홀로큐어의 BGM을 담당했던 eufrik가 어레인지했으며 코요리 스테이지, 라플라스 스테이지, 보스전에 나오는 BGM 3개는 예외로 NeonCryptid가 어레인지했다.] 게임을 한번 클리어 하면 5기생 이외에도 6기생도 해금된다.[* 이 외에도 어려움 난이도와 대전 모드도 추가된다. 어려움은 적의 공격력과 보스의 패턴이 강해지지만 레벨 1부터 충전 공격, 스킬 1 & 2, 궁극기가 해금되어 있으며 일반 난이도에서는 적으로만 만날 수 있는 홀록스 팬 캐릭터가 어려움에서는 동료로 나오기도 한다.] 스팀 리모트 플레이를 지원하는 식으로 멀티 플레이가 가능하다.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며 공식적으로 한글을 지원한다. 첫 개발때 멀티모드를 계획하고 있었으나 스케쥴에 밀려 온라인 모드를 제외한 상태로 게임을 출시했고 이후 온라인 모드를 약속했다. 처음엔 플레이 타임이 1시간 정도로 잡혔기에 이렇게 짧은 플레이 타임이면 저장 기능은 없어도 되겠다고 판단해서 넣지 않았으나, 출시 이후 클리어까지 4시간 이상 걸리는 유저가 나오고, 한번 나가거나 오류로 튕겼을 경우 얄짤 없이 1 스테이지부터 리셋되는 탓에 그걸 버티지 못하고 포기하는 유저도 나오는 등 예상 외의 사례가 나온 탓에 업데이트로 새로 시작하거나 클리어하지 않으면 언제든 그만둔 곳에서 재개할 수 있는 중도 저장 기능을 추가했으며 충전 공격과 2 스킬의 활용이 어렵다는 지적을 받으면서 충전 모션 도중엔 맞아도 히트 딜레이를 받지 않도록 고쳤다.[* 경직 없이 버티기 때문에 슈퍼아머와 혼동할 수 있지만, 다운 판정 공격을 맞거나 피격이 누적되어서 생기는 다운은 당할 수 있어서 슈퍼아머는 아니라고 언급한다. 공격력 2배 + 관통 + 확률 중독을 지닌 주사기 3갈래를 던지는 충전 공격의 의존도가 커서 제자리 고정 포대가 될 일이 많은 코요리가 이 패치의 수혜를 많이 입었다.] * '''{{{+1 [[Idol Showdown]]}}}'''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742020/Idol_Showdown/|스팀 링크]] 홀로라이브의 캐릭터들로 1:1 대결을 벌이는 대전 격투 게임. 1년반의 개발기간을 거쳐 2023년 5월 5일에 무료로 공개되었으며 최초 플레이어블 캐릭터의 수는 8명으로 후부키, 코로네, 소라, 아야메, 보탄, 스이세이, 아키, 코코로 구성되어 있고,[* 공개와 함께 3명을 더 추가할 것이 예정되었으며 우사다 페코라는 8월 6일 트레일러 공개로 플레이어블화가 확정되었다.] 콜라보레이션 캐릭터(서포터/스트라이커 캐릭터)로는 미오, 마린, 카나타, 아멜리아, 미코, 리스, 이로하, 키아라, 로보코가 있다.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의 팔레트 스왑으로 출연하지 못한 멤버들의 코스프레가 가능해 아쉬움을 조금이나마 달랠수 있다. 출시하자마자 늘 신작에 목말라한 다양한 멤버들이 플레이하고 있으며 격겜 초보들의 우당탕탕 플레이 도전기로 큰웃음을 주고 있다. 홀로큐어의 대성공 이래 최대의 관심을 받는 중. 방송 중의 음성 등을 잘라 캐릭터들이 외치게 하고 있으며 이에 감동받은 멤버들이 자발적으로 음성을 녹음하여 제작자에게 제공하고 이게 또 실질적으로 게임에 업데이트 되는 등의 피드백이 일어나고 있다.[* 1.0.5에 보탄의 음성이 교체되었고 1.0.6은 소라의 음성이 추가되었다.] 공개된 지 얼마 안 된 시점에서는 버그도 산재하고 온라인 대전환경도 불안정한 삐걱거리는 출발을 보이고 있고 캐릭터 간 밸런스도 좋지 않은[* 초창기엔 사용하기도 쉽고 포텐셜도 있었던 나키리 아야메와 견제가 쉽고 콤보 대미지도 높은 시시로 보탄이 사기 캐릭터로 평가 받았고, 2주일간의 연구 결과 후엔 [[아키 로젠탈]]이 실은 엄청난 사기 캐릭터라며 주목받았는데, 괴랄한 리치의 기본기, 정신나간 속도의 장풍, 발동하면 본체가 맞아도 반드시 공격판정이 발생하는 무키로제 소환, 전방/전방 공중/'''[[비모각|상대방의 등짝/등짝 공중]]'''을 입맛대로 골라서 워프하는 (= [[김가불|보고 막을 수 없는]] [[역가드]] 장난이 가능한) 최고급 이동기로 무장해서 '''[[죠인죠인토키이|죠인죠인아키이]]'''급 최강 캐릭터로 군림하고 있다. 호시마치 스이세이도 비슷한 시기에 잘 다루면 아야메, 보탄보다 좋다고 재평가 받았지만 아키에 비하면 양심적이라는 평. 결국 개발진도 아키가 너무 강했다는 걸 인정하며 밸런스 패치에서 보탄과 함께 하향 시켰다. 정작 재평가가 아키에 비해 늦었던 소라는 폭풍 상향을 받으며 아키의 자리를 물려받았다. 특히 ↓↙←+공격 커맨드로 발동하는 설치기의 수동 폭파가 체공 도중에도 가능해진 것 때문에 장풍을 깔아두면 심리전에서 매우 유리해진다. 그나마 아키보다도 훨씬 어려운 고난도 캐릭터인 데다가 공격력이 약해서 평가와는 별개로 선택률은 여전히 낮다.] 상황이지만 각종 요소도 풍부하고 무료 팬게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봐줄 수 있는 수준이다. 특히 로그라이크 요소를 도입한 모험 모드 "버츄얼 프론티어"[* 액트가 3개의 지역으로 나늬어져 있으며 대결, 이벤트, 상점을 거치며 3 지역의 최종 보스를 물리치면 되는 형식이다. 최종 보스는 에러 소라로 타 캐릭터로 임시 변신해서 기술을 사용하는 기믹이 있다. 에러라서 그런지 외형은 소라이나 음성은 후부키의 음성을 사용한다. 승리시 나오는 결과 화면에서도 공식 명칭이 없는지 (플레이어 캐릭터의 이름) VS 보스로 나온다.]로 차별점을 두었다. 특이사항으로 퍼펙트 승리시 스트리밍 오프라인 아래에 알파벳으로 세이소(청초)가 추가된다. 이후 홀로라이브에서 정식적으로 승인해 홀로 인디 계열쪽으로 들어갔으며 2024년 5월 5일에 페코라, 올리의 뒤를 이은 마지막 예고 캐릭터인 니노마에 이나니스가 참전했으며, 보스 전용 캐릭터 3명[* 마키나 x 플레온, 쿠로카미 후부키 & 후부라, 오로 크로니.]을 따로 추가하는 등의 대형 업데이트를 거쳤다. * '''{{{+1 Wowowow Korone Box}}}''' [youtube(qZ5FN6YAMk0)]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825180/WOWOWOW_KORONE_BOX/|스팀 링크]] [[https://tiannya.itch.io/wowowow-korone-box|itch 링크]] 홀로라이브 팬덤에서 팬 애니메이션 제작자로 유명한 [[https://www.youtube.com/c/tiannya/featured|tian nya]]가 게이머즈를 소재로 하여 만든 탄막 슈팅 게임. 제목 일러스트와 번역, 테스트를 제외한 모든 제작을 혼자서 했다.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코로네이며 오카유, 미오는 무기 상자를 일정 횟수 이상 얻었을 때 해금되는 무기로 등장하고, 스바루는 적으로 등장한다.[* 본작에서의 스바루는 오리 밈이 유명한 것을 반영했는지 실제로는 스바토모로 등장해서 스바루의 모자를 쓴 오리가 탄막을 쏘며 돌아다닌다.] 게임 오버가 되기 전 까지 최대한 많은 무기 상자를 얻는 것이 목표인 서바이벌 게임이라 한 무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건 개인 만족 외의 의미가 없으며 상위호환 무기의 경우도 고유 단점이 생기거나 혹은 기존의 단점도 덩달아 강화되는 식으로 무기 밸런스를 맞췄다.[* 예를 들어 오카유의 경우 머신건보다 탄을 많이 쏘지만 그만큼 반동을 많이 받으며 탄 퍼짐도 넓다. BLT는 로켓 런처와는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공격 범위가 넓지만 탄속이 느리고 쿨타임도 무기 중 가장 느리게 찬다. 원반은 사거리 무한에 벽에 부딫혀도 몇번 도탄되지만 피아구분이 없어서 공격한 코로네도 맞출 수 있다. 한대만 맞아도 게임 오버인 본 게임에서 생각없이 마구 던지면 위험해진다. 듀얼 핑거 건의 경우가 유일한 상위호환이긴 한데 이건 기본 무기인 핑거 건을 양방향으로 쏘는 거라 업데이트로 추가된 근접 우클릭이 아닌 이상 화력을 기대할 수 없다.] 몇번의 업데이트를 거친 후로는 산탄총과 뼈메랑, 양손가락 총, 원반, 지뢰가 우클릭시 좌클릭과 다른 공격을 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산탄총은 광범위 사격을 하고 뼈메랑은 1개 투척보다 쿨타임이 긴 3개 동시 투척을 하고 양손가락 총은 V자로 정면을 사격하고 원반은 원반 반사가 가능하지만 공격력이 약한 휘두르기를 하고[* 상향 패치 전엔 바퀴벌레만 퇴치가 가능했는데, 상향 후에는 일반 코로네스키까지는 한방에 퇴치가 가능해졌다.] 지뢰는 설치한 지뢰를 전부 터뜨린다. 이후 홀로라이브에서 정식적으로 승인해 홀로 인디 계열쪽으로 들어갔다. 스팀 버전의 경우 도전과제가 추가되었는데, 그 중엔 상자 무획득 상태로 게임 오버나, 본인이 던진 원반에 맞아 게임 오버가 되어야 하는 골 때리는 과제도 있다. * '''{{{+1 Miko In Maguma}}}'''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877240/Miko_in_Maguma/|스팀 링크]] [[사쿠라 미코]]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퍼즐 플랫포머 게임. 플랫폼 위로 벚꽃을 발사해서 미코를 순간이동 시키면서 위로 올라가는 것이 게임의 목표이다. * '''{{{+1 Miko Sniper}}}'''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971440/Miko_Sniper/|스팀 링크]] [[사쿠라 미코]]와 35P로 전열을 짜서 다가오는 적을 물리치는 타워디펜스형 슈팅 게임. 2024년 6월 7일 발매. * '''{{{+1 DUEHOLO}}}'''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996280/_DUEHOLO/|스팀 링크]] 카드를 통해 홀로라이브 멤버들과 전투를 하는 덱 빌딩 로그라이크 RPG. 각 기수에서 8명의 멤버들([[사쿠라 미코]], [[아키 로젠탈]], [[오오조라 스바루]], [[오오카미 미오]], [[호쇼 마린]], [[츠노마키 와타메]], [[오마루 폴카]], [[하쿠이 코요리]])이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하며 다른 홀로멤들 역시 배틀 상대로 등장한다. 2024년 6월 발매. * [anchor(홀로라이브 보물산)]'''{{{+1 홀로라이브 보물산}}}'''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972990/|스팀 링크]] 홀로라이브 스킨의 3D [[수박 게임]]. 9900원이라는 조금은 높은 가격으로 책정되었다. 멤버들이 보물이 되어서 마린이 섬에 멤버들을 쌓아 모은다는 이야기이다. 분지형으로 된 섬이 보드가 되는데 만약 넘치게 되어 물에 빠지면 [[가우르 구라|무서운 상어]]가 나타나서 삼지창으로 꿰어간다. 2024년 8월 1일 발매. 추후 페코라를 마린 대신 아나운서로 세울 수 있는 DLC가 4500원으로 발매되었다. 후부키, 폴카 아나운서도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중이다. 2025년 7월 5일에는 hololive GAMERS fes. 초초초초 게이머즈 2 개최를 기념해 게이머즈 4인 아나운서가 무료로 추가되었다. * '''{{{+1 엘리트 음양사 미코}}}'''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042130/|스팀 링크]] 코로네 박스를 만든 tian nya의 신작. 횡스크롤 탄막 슈팅으로 미코가 돌아다니면서 홀로멤들과 탄막 승부를 벌인다. 게임 시스템 전체적으로 [[동방 프로젝트]]냄새가 풀풀 풍기며 BGM도 그에 맞게 ZUN펫을 팍팍 섞은 어레인지화 되어있다. 2024년 12월 26일 출시. * '''{{{+1 Nuinui Quest}}}''' [[https://twitter.com/sulpx/status/1629780285624557569|링크]]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081830/FLARE_NUINUI_QUEST/|스팀 링크]] 후레아를 주인공으로 하는 록맨 스타일의 동인 게임. 나온 직후 후레아 본인이 관심을 보였으나 허가가 떨어질지 모르겠다며 플레이 하지 못했다. 이후, 칼리가 홀로라이브 팬게임들을 해보는 방송에서 플레이하였음으로 허가가 난듯 하지만 그 후로도 후레아가 플레이하는 모습을 보인 적은 없다. HoloMyth 보스러시 및 다양한 개선사항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업데이트가 이루어진 1.1버전 또한 발매되었다. 두번째 대규모 업데이트인 1.3 버전부터 홀로인디 계열로 들어가며 2024년 10월 24일 스팀으로 발매되었다. 스팀으로 발매하며 유료버전으로 전환되었으며 기존의 무료버전은 배포가 중단되었다. * '''{{{+1 holo8}}}'''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373960|링크]] [[8번 출구]]스타일의 게임. 커버 사무실 8층에서 출발해 1층까지 무사히 내려가 퇴근하는 것이 목표로, 맵에 이변이 있으면 빨간색 엘리베이터, 없으면 파란색 엘리베이터로 내려가면 된다. 잘못된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가면 바로 8층으로 리셋되며, 때때로 사망 판정을 가진 오브젝트도 있어서 이들과 접촉해도 8층으로 되돌아간다. 게임 분류 태그에도 '심리적 공포'가 들어있는 만큼 약간의 점프 스케어 요소도 있다. 여러 홀로멤들의 네타들이 곳곳에 숨어있어서 이를 찾아보는 재미를 위해 일반 모드가 아닌 일상 모드도 있으며, 일상 모드에서는 상황에 따라 사망할 수 있는 이변이 등장하지 않는다. 출시 기준 가장 최근에 데뷔한 [[FLOW GLOW]]까지 졸업생들을 포함한 모든 홀로멤들이 작중에 나오며,[* 다만 졸업이나 활동 종료가 아닌 [[요조라 멜]], [[우루하 루시아]]처럼 계약이 해지된 멤버들은 나오지 않는다.] 이변 모드에서는 타란쨔마와 미코다니에 같은 괴수들도 볼 수 있다. 개발자 피드백이 빠른 편으로, 당장 게임 안에도 플레이 한 사람들이 추가했으면 좋겠는 이변을 건의할 수 있도록 QR 코드로 링크를 달아뒀고, 홀로멤들이 방송할 때 무언가 소스가 나오면 바로바로 작품 안에 추가하는 정성을 보였다. 일례로 [[사쿠라 미코|미코]]가 자신의 모델과 조우하는 장면이 나오자[* 심지어 이런 류 게임을 할 때 미코가 늘 하듯이 3D 모델링을 반대로 돌려서 미코가 화면을 바라보는 듯한(=리스너들이 미코의 뒤통수를 바라보게 되는) 구도로 방송을 하고 있었는데, 마침 처음 조우한 작중의 미코가 똑같은 구도로 방송중이라 두 명의 방송 중인 미코가 정면으로 마주치는 장면이 나왔다.] 이를 캡쳐해서 사무실 포스터로 추가해 다음 날 [[오토노세 카나데|카나데]]가 방송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며, 카나데의 방송에서 카나데의 대표적인 밈인 팔 돌리기에 관한 언급이 나오자 방송이 끝난 뒤 X를 통해 [[https://x.com/frog_blend_game/status/1892241585300963433/photo/1|해당 자세의 모델링을 올리며]] 추가를 예고했고, 이틀 뒤 [[하쿠이 코요리|코요리]]가 방송할 때 곧바로 추가된 것이 확인됐다. 사실상 hololive의 준공식 팬게임의 위치를 가져갔는데, 2025년 [[홀로라이브 페스티벌]]에서도 아래 holoRun과 함께 홍보되었으며, 2025년 2~3월 사이 수많은 홀로멤들이 게임을 플레이하는 방송을 진행했다. * '''{{{+1 holoRun}}}''' [[Only Up!]] 스타일의 게임. 그러나 원본 및 대다수의 [[항아리류 게임]]보다는 난이도가 많이 낮으며, 소위 '모르면 죽어야지' 트랩이나 [[태초마을]] 낙하 없이 중간중간 스테이지별로 자동 세이브 포인트가 나누어져 있어 게이머를 배려했다. 또한 여러 방송용 밈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고, 원본에는 없는 오브젝트 상호작용 기능으로 '들기' 와 '공격' 기능이 있다. 원본과는 달리 시간을 감속시키면서 컨트롤을 조절할 수는 없고, 왼쪽 위에는 진행 위치를 시청자 수로 비유하여 표시했으며, 클리어 순간의 시청자 수는 10만 명이다. 최초 플레이 시 JP 3기생 4명과 EN holoMyth 5명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며, 처음 클리어에 성공하면 곧바로 [[토키노 소라]]가 추가 해금된다. 또한 여러 액세서리들을 구입해서 자신의 멤버를 꾸밀 수 있다. 최단기록은 대략 13분대이고, 홀로라이브 멤버들과 일반 게이머들이 서로의 기록을 경쟁할 수 있다. 원본인 Only Up!이 그렇듯이 이 게임에도 가만히 살펴보면 주인공의 성장 서사가 담겨 있는데, 그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folding [ holoRun 줄거리 보기 ] > 홀로라이브를 동경하는 평범한 소녀인 주인공은, 어느 날 홀로라이브에서 신규 멤버를 모집중이라는 소식을 접하게 된다. 일상을 살아가면서도 틈틈이 여러 선배들의 방송을 시청하며 [[타카나시 키아라|KFP]], [[우사다 페코라|노우사기]], [[오오조라 스바루|스바토모]], [[시라누이 후레아|엘프렌드]], [[사쿠라 미코|미코피]] 등 팬덤에 소속되어 팬 활동을 하던 주인공은, 어느덧 나도 홀로라이브 멤버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갖게 된다. 그러다 마침내 준비가 되었다고 판단했을 때, 주인공은 부푼 꿈을 안고 홀로라이브에 지원서를 제출하게 된다. > > 그러나 주인공은 자신이 두툼한 서류철 속에 끼워진 한 장짜리 이력서 종이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 세계는 수없이 많은 재능있는 소녀들이 종이 한 장만으로 판단되어 불합격 도장이 찍히는 가혹한 세계였다. 그러나 주인공은 굴하지 않고, 계속해서 홀로라이브의 문을 두드린다. 마침내 꿈만 같은 합격 통보를 받고 나서, 주인공은 'hololive'라는 이름 아래 당당한 신인 멤버로서 [[YAGOO]]의 환영을 받으며 사무실에 들어선다. > > 주인공은 자리에 앉아 OBS를 켜고 헤드셋을 쓴다. 마침내 시작된 데뷔 방송. 이름 모를 수많은 시청자들이 남기는 챗방의 격려 코멘트들에 힘을 얻어, 주인공은 힘겹게 자신의 방송 생활을 시작한다. 콘트롤러를 들고서 아케이드 게임을 즐기기도 하고, 마인크래프트를 하면서 네모반듯한 낯선 세계를 탐험하기도 한다.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인기를 얻기 위해 주인공은 정신없이 달려올라갔지만, 그녀의 발밑에서부터 이미 흔들림은 시작되고 있었다. > > 시청자 수가 정체되면서 주인공은 방송에 슬럼프가 찾아오는 것을 느낀다. 주인공은 자신의 방송이 전부 TV 속의 쇼처럼 한바탕의 연기와 가식이 아니었을까 의심한다. 아차 하면 깊은 나락으로 추락할 것만 같은 불안이 엄습하면서, 어느덧 [[니노마에 이나니스|공허감]]이 주인공을 집어삼킨다. 이전까지는 즐겁게만 느껴졌던 방송 생활은 이제 분위기가 바뀌어, 어느 순간부터는 숫제 [[우사다 페코라|공포스럽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주인공은 마음 속의 [[아카이 하아토|무시무시한 괴물]]에게 쫓기기라도 하듯이 허겁지겁 방송을 이어간다. > > 이제 방송은 지옥불을 연상시킬 만큼 고통스럽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자신의 앞길을 밀쳐 떨어뜨리려는 수많은 장애물들이 눈앞에 나타나고, 이제는 거의 서커스나 묘기를 방불케 할 정도로 불안하게, 하루하루 외줄타기를 하듯 방송이 이어진다. 이제 좀 든든한 바탕 위에 올라서서 숨돌릴 수 있겠다 싶으면 일순간 그것이 옆으로 뒤집히면서 주인공을 추락시키려 하고, 주인공은 악착같이 다시 올라타고 매달려 가면서 버텨낸다. 그러다 결국 주인공은 자신의 모든 것이 뒤흔들리는 것을 느끼고, 이제는 정말로 마음이 꺾여 버리면서 위기가 닥친다. > > 위기의 순간, 포기하려던 주인공을 건져낸 것은 [[키류 코코|먼저 앞서나간 선배의 가르침]]이었다. 문득 정신을 차린 주인공은, 어느새 자신이 하늘 높은 곳까지 올라 있다는 것을, 그리고 어느새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주인공은 이제 그 불안함을 받아들인다. 마치 흘러가는 구름 위에 올라타듯이 종잡을 수 없이, 그러나 마음만큼은 확고하게, 주인공은 자신의 목표를 향해 나아간다. 첫 라이브라는 목표가 마침내 시야에 들어오기 시작하고, 이때부터 주인공은 제트 보드를 타듯이 시선을 정면에 맞추고서 전속력으로 전진한다. > > 드디어 주인공은 자신의 첫 라이브 무대에 서게 되고, [[Shiny Smily Story]]가 연주되는 동안 관객들의 뜨거운 응원과 환호를 받는다. 그러나 주인공은 이것만으로 만족하지 않고, 팬들의 응원으로 힘을 받아서 더욱더 높은 하늘을 향해 올라간다. > > 마침내 주인공은 넓은 [[츠쿠모 사나|우주]]와도 같은 세계에 도착하여 지구를 내려다본다. 이제는 아무것도 주인공을 낙담시키거나 막아서지 못한다. 주인공은 전세계 사람들을 향한 자신의 방송을 준비하고, 마침내 방송 시작 버튼을 누른다. 온 세상에 주인공의 방송이 송출되는 동안, 주인공의 방송에서 동시시청자 수가 10만을 돌파하면서 성장 서사는 끝을 맺는다. }}} * '''{{{+1 스타 소라이트 판타지 ~하늘에 닿는 마법~}}}'''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668950|링크]] 공연 도중 갑작스레 낮선 세계에 끌려간 토키노 소라가 본래 세계로 돌아가기 위해 여행을 하는 [[메트로바니아]] 액션 게임이다. 소라의 공식 3D 모델링을 받아 제작하였다. * '''{{{+1 코로상의 홈WAN! 더비}}}'''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732150|링크]] 코로네가 계속해서 야구공을 받아쳐 홈런더비를 하는 게임이다. 투수 역할로는 게이머즈의 동료들과 오니기랴, 스콘부, 미오파가 나온다. * '''{{{+1 홀로라이브 데굴데굴 마운틴}}}'''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511130/|링크]] 홀로라이브 보물산의 후속작으로 [[The Game of Sisyphus]] 스타일의 게임이다. 2025년 7월 24일 발매. === [[HoloCure|HoloCure -Save the Fan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loCure)] == 관련 문서 == * [[버츄얼 유튜버]] * [[버츄얼 유튜버/목록]] * [[hololive 프로덕션]] * [[hololive CHINA]] * [[hololive INDONESIA]] * [[hololive ENGLISH]] * [[HOLOSTARS]] * [[HOLOSTARS ENGLISH]] * [[hololive 프로덕션/오리지널 곡]] * [[홀로라이브 채널]] * [[Kanauru]][* 외주제작자이지만 홀로라이브의 버튜버 3D쇼케이스나 메인 이벤트 PV를 적극적으로 맡을 정도로 홀로라이브의 관여도가 크다.] * [[https://mochipoyochan.hololivepro.com/|모치포요쨩]]: 홀로라이브 공용 마스코트 프로젝트로 주로 홀로라이브 버튜버들의 디자인 토대로 꾸미는 게 컨셉이다. 현재 버튜버 컨셉 리스트는 후부키, 스바루, 스이세이, 마린, 클로에이다. == 여담 == 2023년 3월 19일, 홀로라이브의 공식 유튜브 채널이 구독자 200만 명을 달성하였다. 이는 홀로라이브 멤버를 포함하여 6번째 200만 구독자 달성이다. 2020년, 당시 설립된 소속 그룹 외에 hololive KOREA([include(틀:X(SNS) 로고, 링크=hololive_Kr, 크기=15)])와 hololive INDIA([include(틀:X(SNS) 로고, 링크=hololive_In, 크기=15)])를 설립하여 한국과 인도에 직접 진출하려 한 정황이 있다. 그러나 해당 공지 후 아무런 진행사항도 공개되지 않았고, 이후 사장인 YAGOO도 여러 매체를 통해 진출국가를 늘리기보다는 현재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는데, 이를 볼 때 취소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국 그룹을 만들지 않았다 뿐이지 현 소속 멤버들을 통한 한국 진출 사업은 활발히 벌이고 있다. 홀로라이브측에서 공식으로 출시하는 굿즈는 한국 기준 홀로라이브 샵에서 구매가 가능하다.[[https://shop.hololivepro.com/|#]] 이전에는 GeekJack을 통해 구매 후 ECMS를 통해 배송되었지만 현재는 DHL[* DHL 발송이 불가한 국가는 EMS.]로만 발송이 가능하다.[* 홀로라이브 샵은 해외에서 구매할 때 Global-e라는 국제 PG사를 이용하는데 이 회사는 DHL과 협력관계이기에 DHL로만 배송되는것.] 기본적으로 신용카드, [[페이팔]] 결제를 지원하며, 한국은 NHN KCP와 카카오페이 결제가 가능하다. 단, 후자는 Alipay+를 추가로 경유하므로 찜찜하다면 KCP를 추천한다. 엔화로 결제되던 GeekJack 당시와 달리 현재는 한국 IP로 결제 시 [[DCC]]가 강제된다. === 홀로라이브가 개운해졌다 === ||<table bordercolor=#2a4b6f><colbgcolor=#2a4b6f><table align=center><nopad> [youtube(9kQ2GtvDV3s)] || ||<color=#fff> '''【장난기 기능】홀로라이브가 개운해졌다''' || 2020년 4월 6일에 홀로라이브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된 [[장난기 기능]]이 홀로라이브의 비공식 주제가(anthem)로 여겨진다.[* 이 곡 이외에 홀로라이브의 주제가로 여겨지는 곡들로는 [[Shiny Smily Story]], [[ホロライブ言えるかな?|홀로라이브 말할 수 있을까?]] 등이 있다. Shiny Smiley Story는 소개 문구부터가 '공식적으로' 홀로라이브를 대표하는 최초의 곡이고, '홀로라이브 말할 수 있을까?'는 홀로라이브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된 영상 중 장난기 기능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그 목적부터 홀로라이브를 소개하기 위해 만든 곡이다.] 2021년 10월 조회수가 '''3천만'''을 돌파했으며, 공개된지 몇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홀로라이브 노래 인기 랭킹에서 상위권을 굳건히 지키고 있다. 등장한 멤버는 총 28명[* 5기생이 들어오기 이전, 키류 코코가 나가기 이전의 JP 멤버 수이다.]이지만 노래를 부른 것은 24명인데, [[시라카미 후부키]]는 휴가중이라, [[아카이 하아토]]는 호주에 거주중이라 녹음 일정을 잡지 못했고, [[키류 코코]]는 사전에 연락은 받았지만 일본어에 아직 익숙하지 않았던데다 [[장난기 기능]]이 노래라는 것을 모르고 있었던 탓에 회사로부터 어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업데이트 되었다는 공지를 받은 것으로 착각해 참여하지 못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4PiOrNsxPCQ|#]] 그리고 [[이누가미 코로네]]는 녹음날 늦잠을 자는 바람에 가지 못했다고 한다. 노래를 부를 당시 [[시라누이 후레아]]와 4기생들은 아직 3D 모델링이 없어서 라이브 2D 모델링을 썼다. --그래서 영상을 잘 보면 이들만 유독 목 움직임이 뻣뻣하고 부자연스럽다.-- 이후로 새로운 멤버들이 들어오면 동기들끼리 장난기 기능을 부르는 것이 일종의 전통이 되었고, EN은 [[IRyS]]와 2기생까지 합류한 다음 단체로 불러 2022년 1월 1일에 공개했다. [[우루하 루시아]]의 계약해지로 인해 관련 영상이 내려간다는 이야기가 나와 이 영상은 지워질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었지만, 루시아의 유튜브 채널만 비공개로 처리하고 그 밖에 루시아가 등장했던 동영상들에는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 이 커버 동영상도 남게 되었다. 비공식 주제가 & 홀로라이브의 전통이라는 말에 가려졌지만 생각보다 부르기 힘든 노래이다. 중간중간 랩처럼 빠른 템포인 가사[* 마린이랑 크로니가 부른 파트를 생각하면 된다.]가 있는데 마린의 경우 모국어라서 그리 어렵진 않았지만 크로니는 자기 파트 연습을 미친듯이 했다고 말할정도로 힘들었다고 하였다. ID 3기생, EN 3, 4기생이 추가되고 DEV_IS가 출범하는 등 긴 시간이 지나고도 해당 멤버들이 이 노래를 부르지 않아 완전히 잊혀져가는 듯했으나, 2024년 9월 9일 ReGLOSS가 2년 8개월 만에 커버를 공개하였다. * JP 5기생 [[https://www.youtube.com/watch?v=IixAr5W3TIc|링크]][* [[마노 알로에]]가 안타깝게 일찍 졸업해버리고, [[모모스즈 네네]]의 이미지가 갑작스럽게 바뀌는 등 동영상이 업로드된 후 원치 않는 변화를 많이 겪어 비교적 언급되지 않는 동영상이 되었다.] * JP 6기생 [[https://www.youtube.com/watch?v=nCyKjz-ie3c|링크]] * ID 1기생 [[https://www.youtube.com/watch?v=uf9YfzyLG2Q|링크]] * ID 2기생 [[https://www.youtube.com/watch?v=eJjz3owWnbU|링크]] * EN 1, 2기생 [[https://youtu.be/uFJHdT_ie9U|링크]] * ReGLOSS [[https://youtu.be/t8Y1xl4AiNI?si=nE1k-0h8PgqsLSo0|링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ololive 프로덕션, version=1910, uuid=4c7b7404-31a2-4453-8d67-ebe3c2910e8b)]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