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김장겸
(r1 RAW)
[[분류:김장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분류:1961년 출생]][[분류:김해 김씨 경파]][[분류:창원시 출신 인물]][[분류:마산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분류:MBC 전직 기자]][[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제22대 국회의원]][[분류:국민의힘 국회의원]][[분류:비례대표 국회의원]][[분류:국민의힘 소속]] [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설명1=해당 인물이 대표 발의한 나무위키 규제 법률안, 문서명1=나무위키 투명화법)] [include(틀:접근 제한, 문서명=김장겸)] [include(틀:다른 뜻, 설명1=동명의 프로게이머, 문서명1=김장겸(프로게이머))]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비례대표)] ||<-2><bgcolor=#15183c><color=#fff><tablealign=right><tablewidth=420><tablebordercolor=#e61e2b,#e61e2b><tablebgcolor=#fff,#1c1d1f> '''제33대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 || ||<-2><colbgcolor=#e61e2b,#e61e2b><colcolor=#fff>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br]{{{+1 김장겸}}}[br]金張謙 | Kim Jang-kyom''' || ||<-2><nopad> [[파일:국민의힘김장겸.jpg|width=100%]] || ||<|2><width=100> '''출생''' ||[[1961년]] [[5월 8일]] ([age(1961-05-08)]세) || ||[[경상남도]] [[마산시]] [[합포구]][br](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 || '''거주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 '''본관''' ||[[김해 김씨]] || ||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2> '''재임기간''' ||<bgcolor=#f5f5f5,#2d2f34>제33대 [[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 || ||[[2017년]] [[2월 28일]] ~ [[2017년]] [[11월 13일]] || || '''링크''' ||[[https://www.assembly.go.kr/members/22nd/KIMJANGKY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TV-pi2v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jangkyom.k|[[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jangkyom.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bgcolor=#fff,#1c1d1f><color=#373a3c,#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e61e2b,#e61e2b><colcolor=#fff><width=100> '''학력''' ||[[마산고등학교]] {{{-2 (졸업 / 38회)}}}[br][[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고려대학교 농과대학]] {{{-2 (농업경제학[* 현 식품자원경제학] / [[학사]])}}} [br][[고려대학교 대학원]] {{{-2 (신문방송학 / [[석사]][*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KDMT1198914721&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t=%EA%B9%80%EC%9E%A5%EA%B2%B8%3AALL_NI_TOC%3AAND&prevPubYearFieldText=&languageCode=&synonymYn=&refineSearchYn=&pageNum=&pageSize=&orderBy=&topMainMenuCode=&topSubMenuCode=&totalSize=61&totalSizeByMenu=61&seqNo=&hanjaYn=Y&knowPub=&isdb=&isdbsvc=&tt1=&down=&checkedDbIdList=&baseDbId=&selectedDbIndexIdList=&caller=&asideState=&dpBranch=ALL&journalKind=&selZone=ALL_NI_TOC&searchQuery=+%EA%B9%80%EC%9E%A5%EA%B2%B8|집권자의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언론의 역할: 제5공화국·서울신문의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중심으로]](1989)])}}} || || '''병역''' ||[[대한민국 육군|육군]] [[일병]] 복무만료[* [[소집해제]].][br]{{{-2 ([[1985년]] [[2월 4일]] ~ [[1986년]] [[3월 13일]])}}}[* 병무청 공직자등의 병역사항열람 참조.] || || '''가족''' ||남동생 김봉겸[* 지금은 폐업한 보광공구의 대표로 있었다.], 배우자, 아들[* 1997년생]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지역구''' ||[[비례대표]]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22대 국회의원|22]]''' || || '''소속 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 || '''경력''' ||[[문화방송]] 보도국 정치국제에디터 국제팀 런던특파원[br]문화방송 보도국 사회에디터 사건팀장[br]문화방송 보도국 정치국제에디터 국제팀장[br]문화방송 보도국 네트워크부장[br]문화방송 보도국 사회1부장[br]문화방송 보도국 생활과학부장[br]문화방송 보도국 취재센터 정치부장[br]문화방송 보도국장[br]문화방송 보도본부장[br][[대법원]] [[양형위원회]] 위원[br]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br]자유미디어국민행동 고문[br]공영언론미래비전100년위원회 공동대표[br]공정언론국민연대 상임고문[br]국민의힘 ICT미디어진흥특위 포털소위원장[br]국민의힘 가짜뉴스괴담방지특별위원장[br][[국민의힘]] 미디어정책조정특별위원회 포털 TF 공동위원장[br][[제22대 국회의원]] {{{-2 (비례대표 14번 / [[국민의미래]])}}}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 제22대 [[국민의힘]] [[국회의원]], 제33대 [[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다. == 생애 == === 초기 === 1961년 5월 8일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나 [[마산고등학교]](38회),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고려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경제학과]][* 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자원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1985년 2월 4일 [[대한민국 육군|육군]] [[방위병]]으로 입대하여 창원특별경비단[* [[경상남도의회]] 의원 [[장병국]]도 이곳에서 [[방위병]]으로 복무하였다.]에서 [[소총수]]로 복무했고, 1986년 3월 13일 [[일병]]으로 [[소집해제]]되었다. === 문화방송 시기 === 1987년 11월에 [[문화방송]] 공채 기자로[* 입사 동기 기자로는 최기화(현 EBS 감사), 박태경(현 MBC 부사장), [[송형근(언론인)|송형근]], 정형일(전 MBC 보도본부장), 송요훈(현 시민언론 민들레 편집위원), 임대근(전 안동MBC 사장), 조상휘(전 울산MBC 사장), 이보경(전 MBC 논설위원) 등이 있다.] 입사, 1988년 수습 기간 끝나고 제2사회부를 시초로 스포츠취재부(1990~1992), TV편집1부(1992~1993/1993~1995), 사회부(1993/1998~1999), 국제부(1997/1998/1999~2000/2002~2004/2007~2008), 정치부(1997~1998/2001~2002), 기획취재부(1998), 문화부(2000~2001) 등을 돌며 기자 생활을 했다. 1995년에 영국 카디프대학교 대학원으로 연수를 간 적도 있었다. 2003년에 차장으로 승진한 후 2004년 런던 특파원으로 부임, 2007년 귀국 뒤 국제팀으로 돌아왔다가 2008년 3월 인사 때 사회에디터 휘하 사건팀장을 시초로 첫 보직을 맡아 국제팀장(2008~2009), 네트워크부장(2009), 사회1부장(2009~2010), 생활과학부장(2010~2011), 정치부장(2011~2013)[* 2012년 12월 조직개편 후 보도국 취재센터 휘하가 되었다.] 등을 두루 거쳐 2013년에 보도국장이 됐고, 2015년에 보도본부장이 되었다. 2017년 2월 [[안광한]] 사장의 임기가 끝나가자 방송문화진흥회의 차기 사장 공모에 나서 23일에 상대 후보들인 [[권재홍]] 부사장, 문철호 당시 부산MBC 사장을 제치고 임기 3년의 대표이사 사장직에 선출되었고, 28일 정식 취임하여 '품격있는 젊은 방송'을 모토로 편향 보도/선정적 방송의 유혹에서 벗어난 철저한 팩트체크, PD에 대한 자율성 부여와 과감한 투자/지원, 강력한 평가/보상 시스템 확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한 모바일 플랫폼 사업 모색 등을 내걸었다.([[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7/02/28/2017022800077.html|취임사 전문]]) 임기 초반인 2017년 6월까진 27억 흑자로 경영/재정 면에서 순풍을 다는 듯했으나,[* 그러나 하반기 이후 총파업 등의 영향으로 565억원대 적자를 찍은 후, 2019년까지 3년 연속 적자만 찍어서 누적 적자만 2,700억원이 넘었다. MBC의 경영 상황이 개선된 건 [[박성제 체제]] 시기부터의 일로, [[안형준 체제]]에 들어와서 최전성기를 구가하게 된다.] 이미 정치부장 때부터 언론노조 MBC본부(1노조)로부터 보도 공정성 시비 등을 받는 바람에 노사분규를 겪다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퇴진 위기에 몰렸고, 결국 2017년 11월 13일 방문진 임시이사회에서 재임 8개월 만에 해임당했다. ==== [[김장겸 체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장겸 체제)] === 법적 공방 시기 === 2018년 1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다. 2018년 6월 5일,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2부 공판에 출두해 노조 개입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80605096900004|#]] 2019년 2월 19일,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2부가 김장겸 전 사장에게 징역 8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https://www.imaeil.com/page/view/2019021917304158450|#]] 2019년 9월 30일, '자유미디어국민행동'이 발족되면서 고문으로 위촉되었다. [[https://dailian.co.kr/news/view/830250/|#]] 2020년 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후보로 나서려 했으나 3월 6일 컷오프됐고, 2022년 이후 공정언론국민연대 상임고문, 공영언론미래비전100년위원회 공동대표, 국민의힘 ICT미디어진흥특별위원회 포털소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20년 8월 26일, 서울고등법원 2심에서도 같은 형량이 확정되었다. 2023년 10월 12일, 대법원 3심에서도 같은 형량이 확정되었다. 2024년 2월 6일, [[윤석열 정부]]에 의해 [[특별사면]]이 되었다. [[https://m.yna.co.kr/view/AKR20240206082900004|#]] === 국회의원 시기 === 2024년 3월 18일,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공천에서 안정권인 14번을 부여받으며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2024년 5월 19일과 6월 6일, [[김정숙 외유성 해외 순방 및 관광 논란]]과 관련해 비판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519021500001|#1]], [[https://www.yna.co.kr/view/AKR20240606051400001|#2]] 2024년 6월 12일, 첫 법안으로 "가짜뉴스 차단 의무화법" 이름의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네이버와 유튜브 등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허위조작정보 유통을 방지하고 관리할 책임자를 지정하도록 하는 내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612083100001|#]] 2024년 6월 24일, 배우자(남성) 출산휴가를 10일에서 30일로 늘리고, 난임휴가의 급여신설 및 비밀누설금지를 담은 남녀고용평등법/고용보험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624139000001|#]] 2024년 7월 17일, "청소년 필터 버블 방지법" 이름의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알고리즘을 '중독성 컨텐츠'로 규정하고 미성년자에겐 금지하자는 내용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717116000001|#]] 2024년 8월 6일, "공공 소프트웨어 참여제한 완화법" 이름의 소프트웨어진흥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공공분야에 대기업의 SW사업 참여를 허용하는 내용이다. [[https://www.etnews.com/20240806000092|#]] 2024년 8월 29일, "딥페이크 표시 의무화법" 이름의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일정 규모 이상의 포털·플랫폼 사업자는 AI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진 가상 정보는 가상 정보임을 표시하는 기능 제공을 의무화하는 내용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829116900001|#]] 2024년 9월 26일, "디지털포용법" 제정안을 발의했다. 철도 등의 대중교통 예약, 은행업무 등에서 비디지털 방식 제공을 의무화하고, 관련 R&D사업을 지원하자는 내용이다. [[https://www.hantoday.net/news/articleView.html?idxno=44528|#]] 2024년 10월 15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나무위키 제재]]와 관련해 나무위키에 대한 비난을 시작하더니, 11월 3일 [[나무위키 투명화법]]이라는 이름의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발의를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같은 달 21일 실제로 발의가 이루어졌다. 2025년 6월 26일, 애플·구글 등 해외 사업자의 국내대리인 제도의 실효성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의 '해외플랫폼 투명화법'을 발의하였다. 텔레그램·나무위키 등 해외 플랫폼까지 국내대리인 지정을 의무화해 책임성을 강화하는 내용이라고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72575?sid=100|#]] == 논란 및 사건 사고 == === [[문화방송|MBC]] 언론노조원 부당전보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 앵커=파업 이후)] 2018년 1월, 그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 혐의로 [[안광한]] 전 사장 등 나머지 임원 3명과 함께 서울서부지방검찰청에 불구속 기소되었다. 당시 검찰 기소상 문제를 제기한 건 2017년 3월 평사원 인사 당시 노조원 8명 중 7명을 뉴미디어포맷개발센터 휘하 월드와이드제작팀, 나머지 1명을 신사업개발센터에 보낸 점이었는데 1노조 조합원들은 이른바 '유배지'라고 하여 부당 전보라고 주장한 반면, 김장겸 본인은 부사장 전결 사안이라고 했으며 당시 인사권자인 나머지 간부들도 그가 평사원 인사에 개입하거나 인사상 불이익을 준 적 없다고 주장했다. 2019년 2월 19일 서울서부지방법원 1심(2018고합3)에서 징역 8개월 및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이에 그는 항소에 상고까지 했지만 2020년 8월 26일 서울고등법원 2심(2019노808), 2023년 10월 12일 대법원 상고심(2020도12582)에서 같은 형량이 확정되었다.([[https://www.scourt.go.kr/news/NewsViewAction2.work?pageIndex=1&searchWord=&searchOption=&seqnum=1458&gubun=702|대법원 공식 보도자료]], [[https://www.yna.co.kr/view/AKR20231012084552004|연합뉴스]], [[https://www.lawtimes.co.kr/news/192024|법률신문]], [[https://www.facebook.com/jangkyom.k/posts/pfbid02iLizybd4vJLUus15wN5m8Dtat1s5kZduCNANf1bEJ7pn9vaHbnn5mUUGX4Y8yZz8l|#]]) [youtube(5-V5bvMwymQ)] 2024년 2월 6일, 판결이 확정된 지 석 달 만에 [[윤석열]] 대통령의 설 특사 명단에 오르면서 사면되었다. [[https://www.facebook.com/jangkyom.k/posts/pfbid02XqBPAXCc45hf3y34nUM21F6fQRowUP7qscc4VsWrFHktvv4xjEzHyn7DLxvKHwGcl|김장겸 의원의 페이스북 입장문]],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527409|SBS 보도]], [[https://m.yna.co.kr/view/AKR20240206082900004|연합뉴스 보도]] === 나무위키에 대한 검열 및 제재 관련 행보 === [include(틀:관련 문서, 문서명1=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나무위키 제재)] 2024년 10월 15일 [[한국경제신문|한국경제]] 보도[*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44767|성착취물 온상 된 '나무위키', 덩치 커지는데…"규제 사각지대"]], 한국경제, 2024년 10월 16일]를 시작으로 가짜 뉴스와 불법 콘텐츠를 유포한다며 나무위키에 대한 규제를 다각도로 시도하고 있다. [[파일:국정감사_2024_방송통신심의위원회_김장겸_221501.png|width=600]] 2024년 10월 21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국정감사 중 발언에서 "저에 관해 [[MBC|회사]] 내에서 [[전국언론노동조합|특정 노조원]]들이 하던 거짓말이 그대로 다 들어가 있었다"[* 상술한 MBC 사장 재직 시절 노동조합 탄압 논란을 가리킨다. 이미 대법원 판결까지 난 문제에 대해 "노조원들의 거짓말"이라 일축한 것이다.]며 "허위 정보가 있어서 [[나무위키:투명성 보고서/요청/김장겸|세 번이나 삭제 요청]]을 했는데 매번 [[나무위키:권리침해 도움말#신청 방법|우리나라 운전면허증]]을 보내라고 한다", "허위사실이나 개인정보를 다수가 돌아가면서 올리는데도 이메일로만 소통할 수 있는 정체 모를 해외 기업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https://w3.assembly.go.kr/vod/main/player.do?menu=1&mc=356&ct1=22&ct2=418&ct3=A6|2024년도 국정감사(방송통신심의위원회)]], 대한민국 국회 영상회의록, 2024년 10월 21일 22시 15분] 또, 나무위키의 운영사 [[umanle S.R.L.]]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주무관을 살해 협박했다며 스크린샷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는 당연히 나무위키 운영진을 사칭한 가짜 글이다. 기초적인 사실 검증도 하지 않았던 것이다.[* 해당 스크린샷은 3년 전 [[https://archive.md/5VCkw|나무위키 마이너 갤러리에 있었던]], 정확히는 '''나무위키 피해자 연대'''라는 네이버 카페의 한 유저가 [[https://m.dcinside.com/board/namuwiki/13292|나무위키 마이너 갤러리에다가 악의적으로 분탕을 친 것]]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당사자가 누구인지 오리무중이며, 현재는 해당 매니저에 의해 삭제된 지 오래된 글이다. 당시 나무위키 측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자료제출 요구에 관련 내용은 메일로 문의 바란다는 답변 외에 별다른 입장이나 성명문을 내지는 않았다.] 그리고 "저희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나무위키) 1일 방문객이 250만 명, 페이지뷰는 최대 400만 회가 나온다고 한다. 웬만한 언론사 10개 규모"라며 "[[조세포탈|소재지가 파라과이에 있어 국내법도 안 따르고 세금도 안 낸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6/0000126599?sid=100|#]] 2024년 10월 30일에는 "좌편향 매체는 나무위키의 불법과 인권침해를 방치하자는 얘기입니까?"라는 제목의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시[* [[https://www.facebook.com/jangkyom.k/posts/pfbid02rXExy8k3a1Ac6q5hCKcKMSB8GiQa4SnVAKDcbuLCFq8qP87AKmJuUPmJThvXBsqfl|좌편향 매체는 나무위키의 불법과 인권침해를 방치하자는 얘기입니까?]], 김장겸, 2024년 10월 30일, [[https://n.news.naver.com/article/448/0000485995|TV조선 인용]], [[https://www.yna.co.kr/view/AKR20241101046500001|연합뉴스 인용]]]했다. 게시물 내용 중 "좌편향 매체"는 2024년 10월 30일 [[한겨레]] 보도[*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164945.html|여권·방심위 “나무위키 접속차단 검토”…비판 통제 의도?]], 한겨레, 2024년 10월 30일]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작 기사에서 나무위키 옹호해줬는데 그게 한겨레라고 일반적으로 좌편향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아직도 미련을 버리지 못했는지, 2025년 6월 26일에 관련 법을 [[https://m.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626010013657|또 발의했다.]] 그러나 계엄령 선포 직전에 나무위키탄압을 시도한 전적과 갑작스러운 군 간부 개별 문서 집단 삭제건 등의 정황과 맞물리며 반응은 이전보다 더더욱 싸늘하다. ==== 나무위키 투명화법 발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 투명화법)] 2024년 11월 3일 국내대리인 지정제도를 강화하여 나무위키를 그 대상에 넣고[* 국내 개인정보를 다루는 일정 기준 이상의 국외 사업자가 국내에 대리인을 두도록 하여 개인정보 관련 사무와 피규제를 담당하게 하는 [[https://www.privacy.go.kr/front/contents/cntntsView.do?contsNo=92|제도]]로, 원래는 이용자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이유로 만들어진 것이다. 때문에 현재는 매출과 이용자 수가 기준인데, 이를 방문자 수와 트래픽으로까지 기준을 확대ㆍ전용하겠다는 것이다.], 불법 정보 유통 방지 의무 및 과징금 제도와 불법 정보 유통 사업자의 서비스에 광고한 광고주에 대한 제재 규정 등을 포함하는 "[[나무위키 투명화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1103042800001|與김장겸, '나무위키에 국내법 적용·불법수익 환수' 추진(연합뉴스)]] 이에 대해 나무위키 이용자들을 비롯한 일부 대중들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알 권리 및 표현의 자유 침해에 대해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https://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173|'나무위키 규제' 공세 이어가는 여권, 우려 의견은?]] 일각에서는 허위사실을 빙자한 정치인들의 과거 이력을 숨기려는 거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또 다른 곳에서는 나무위키부터 시작해서 모든 커뮤니티를 제한하는 거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 수상 경력 == * 제1회 대한민국 언론인 대상 '특별상' (2023.12.19.) - [[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 주최 [[https://www.thepublic.kr/news/articleView.html?idxno=211024|#]] == 저서 == * 정권의 품에 안긴 노영방송 MBC: 김장겸 전 MBC 사장의 증언 (2019.12.01.) - [[펜앤드마이크|펜앤북스]] == 참고/관련 자료 == * 문화방송 연감 1988 ~ 2002 * 한국언론 인물사전: 1883~2009 - 한국언론재단. 2009. p321. * [[https://youtu.be/dw36AIngQjU|국회방송 <300인의 희망인터뷰> 2024년 11월 19일자 영상]] == 선거 이력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e61e2b><tablebgcolor=#fff,#1c1d1f><rowcolor=#fff><rowbgcolor=#e61e2b,#e61e2b>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 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국민의미래)] || '''10,395,264 (36.67%)''' || '''당선 (14번)''' || '''초선'''[* 2024.4.26. [[국민의힘]] 합당.] || == 둘러보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1e2b,#e61e2b><tablebgcolor=#fff,#1c1d1f><bgcolor=#e61e2b,#e61e2b> {{{#fff '''김장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문화방송 대표이사 사장)] [include(틀:제5기 양형위원회)] }}} ||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비례대표)]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국민의힘)]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