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3.144.145.3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이세계아이돌/TMI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이세계아이돌]][[분류:TMI]] [include(틀:상위 문서,top1=이세계아이돌)] [clearfix] [include(틀:떡밥위키 오리지널)] [목차] == 개요 == [[이세계아이돌]]의 [[TMI]]를 기록하는 곳이다. 이 문서에서는 인터넷 상에서 이세계아이돌에게 제기된 아쉬운 점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 '버추얼 아이돌' 문제 == 나무위키에서는 이들이 버추얼 아이돌이냐 아니냐를 가지고 논의가 있었다. 중재자 [[Hoto_Cocoa]]가 이들을 '방송인'으로 규정해 '출시'라는 단어를 한때 사용했을 정도. == 역할 연기(Role Playing) 부재 == 이세계아이돌에게 RP라고 부를만한 설정이 없다는 점은 타 버추얼 방송인과 가장 다른 점이고, 다소 이질적이라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의 인격을 구성한다. 가상 공간에선 상호작용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완전히 새로운 인격을 처음부터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RP가 상세할수록 이들을 처음 접하는 시청자들이 가상 공간에서 새로운 인물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무리 많은 버추얼 방송인들이 RP를 초창기에만 쓰고 버린다고는 하지만 RP는 엄연히 버추얼 캐릭터의 중심을 지키고 있는 뼈대인 셈. 예를 들어, 이제는 버추얼 유튜버 계에서 고참 라인에 속하고, 시청자들과 솔직한 소통을 지향하는 바람에 RP가 거의 다 깨졌다고 봐도 무방한 홀로라이브 JP 3기생 우사다 페코라가 꼬박꼬박 자기 사는 곳을 '페코랜드'라고 부르는 것도 이러한 '설정'을 한번씩 상기시킴으로써 본인이 '버추얼' 방송을 하고 있음을 어필하는 행위이다. 오글거릴지언정 스스로의 버추얼 인격을 위한 일인 셈이다. 자기 나이도 그대로, 자기 사는 얘기도 그대로 해버리면 신규 시청자들이 '오그라드는' 상황을 피해 도망가는 걸 방지함으로써 진입장벽을 낮출 수는 있겠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버추얼', 내지는 '이세계'라는 이름을 굳이 붙일 필요가 없을 것이기에 기존 버추얼 유튜버를 시청하던 층에게서는 RP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걸 고려할 수 있냐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이세계아이돌의 아바타에는 '이세계'에 해당하는 컨셉이 없다. 방송용 아바타를 만들 때 VR Chat에서 사용하던 판매용 아바타들을 구매해 기반으로 만들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들이 VR챗 컨텐츠를 하면 아바타를 그대로 들고 오거나 색깔만 바꿔오는 모습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https://youtu.be/pzuA8rQ1rSU?si=V4L19s1TmHrbZAdG|가짜 아이네]]가 대표적인 예시. == 공연 컨텐츠 관련 == 자기 노래를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질문이 꾸준히 제기되는 점이 가장 큰 아쉬움이다. 라이브 컨텐츠에서 사전 녹음한 음원을 내보내기 때문에 제기되는 질문으로 보이는데, [[이세페|2023 이세계 페스티벌]]에서 [[비챤]]이 객석 사진[* [[파일:이세페_비챤.jpg|width=400]]]을 올리며 라이브가 아님을 인증하기도 했고, '악어의 놀이터' 당시에도 사전 녹음과 녹화한 영상을 내보내기도 했다. 멤버들의 댄스를 스탭[* 커뮤니티 등지에선 '[[오꾼도꾼]]'이라는 스탭이 유명하다]이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779982|대신 소화했다는 점도]] 의문으로 제기된 적이 있다. == 결론 == 이세계아이돌은 대한민국의 대표 버추얼 방송인으로, 국내 최대 커뮤니티인 DCinside에서 화제성 1위를 기록하는 등[[https://dctrend.ai/news/trend/detail/14/3008?origin=searhList|#]] 높은 파급력을 가진 그룹이다. 그러나 앞으로 다가올 대규모 공연에서 팬덤 내부의 '라이브' 공연 여부에 대한 의혹이 팬덤 내부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세계아이돌이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해 팬덤의 신뢰를 회복하고 이세계 페스티벌이 성공적인 공연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본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4.145.3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3.144.145.3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