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홀로코스트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강제 노동 수용소(Arbeitslager) === 강제 노동 수용소(Arbeitslager)는[* Arbeit([[아르바이트]]) 자체는 '[[노동]]'만을 의미하나, 본 맥락에서는 실태를 고려하여 '강제 노동'으로 번역한다.] 나치가 점령한 각국에 소재하였으며, 1차적인 목적은 나치에 반하는 인물들의 형벌 및 교화, 노동이라는 점에서 절멸수용소(Vernichtungslager)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강제 노동 수용소는 부차적으로 인체실험, 총살 등이 행해지긴 했어도 주된 운영목적은 아니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형이나 기아, 질병, 피로때문에 사망률이 높은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일부 수용소의 사망인원은 절멸수용소에 비견할 정도이나, 목적과 경향성 등에서 차이가 있어 절멸 수용소와 구분된다. 강제 노동 수용소는 나치 독일 법무부에서 운영하는 교도소와 관할권이 달랐으며, 나치 친위대 해골부대(Totenkopfverbände)의 관할 구역이었다. 나치 독일의 교도소에선 '적어도' 형사법에 따른 관리가 이루어진 반면 강제 노동 수용소에서는 나치 독일의 법 테두리를 벗어나는 초법적인 조치가 이어졌으며 해골부대원들은 강제 노동 수용소 수감자들에 대한 생사여탈권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아돌프 히틀러]]가 그들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했고 책임의 면제를 약속했기 때문이다. 절멸 수용소와 달리 강제 노동 수용소는 나치 독일 내에서도 비밀이 아니었으며, 독일 국민들은 강제 노동 수용소로 끌려간다면 '매우 혹독한 일'을 겪게 될 것이라는 것을 어느정도는 인지하고 있었다. 다만 그 것이 강제 노동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집단 살인이 발생하는 장소라는 사실 만큼은 일반 대중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비밀이었다. 일각에선[* 비단 일부 네티즌들이나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의 주장 뿐만 아니라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Nolte|에른스트 놀테]] 같은 독일의 역사 수정주의 학자들도 진지하게 주장하던 바였다.] [[소련]]의 [[굴라그]]와 비교하면서 [[양비론]]의 논리를 펼치긴 하나 그 것은 잘못된 주장이다. 소련의 굴라크도 인권 유린과 참혹한 현실이 있긴 했으나, 적어도 형기가 정해져 있었으며 결정적으로 학살이 목적은 아니었다. 반면, 나치의 강제 노동 수용소는 절멸 수용소와 방식과 규모가 달랐을 뿐 '''유대인에 대한 학살 그 자체가 목적 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었다. 나치는 이를 '노동을 통한 절멸'로 지칭했다. 나치가 강제 노동 수용소에 대해 어떻게 접근했는지는 나치 친위대 국가보안본부장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발언이 잘 증명하고 있다. >'''유대인 문제의 최종해결의 과정에서, 독일군의 감독하에 동유럽에서 유대인의 노동부대를 편성해야한다. 남녀별 대규모의 노동부대 안에서 노동이 가능한 유대인은 철도건설에 투입되지만 대부분은 자멸에 의해 결핍되겠지. 최후의 생존자는 의지가 강한 인간이니 그들에 대해서는 [[홀로코스트|상응한 대응]]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이 자연도태에 맡겨서 방치하면, 새로운 유대인의 피가 후세에 남겨질 것이기 때문이다.''' >---- >- 1942년 [[반제 회의]]에서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발언. [[제2차 세계 대전]] 중후반기에는 숙련공들이 크게 부족해지자 나치는 강제 노동 수용소의 수감자들을 강제 동원해 군수 공장에서 노역을 시켜 군수품을 생산하게 강요했다. [[이게파르벤]], [[BMW]], [[지멘스]], [[크루프]], [[라인메탈]], [[다임러-벤츠]], [[폭스바겐]]. [[휴고 보스]] 등 독일의 유명한 기업들이 직접적인 책임이 있다. 나치는 '''독일 내에 설립된 수용소에 한정해서'''[* 폴란드와 같은 점령지에서 설립된 강제 노동 수용소들에선 등급 분류 조차 없었으며 매우 가혹한 대우가 이어졌다.] 강제 노동 수용소들에게 등급을 부여해서 수감자들에 대한 대우 강도를 달리했다. 하지만 가장 낮은 등급에서 조차 수 많은 인권 유린과 학살이 발생했으므로 사실상 유명무실한 등급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강제 노동 수용소에 수감된 유대인들은 등급을 막론하고 죽어나가는 운명이었던 것은 마찬가지였다. '''1등급 수용소''': 가장 낮은 수용소 등급으로 [[다하우]], 작센하우젠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수감자들에 대한 통제 강도가 다른 노동 수용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했으며 정치범들이나 중범죄자들은 운이 좋으면 석방될 수도 있었다.[* [[동성애자]]들도 거세를 조건으로 강제 수용소에서 석방된 사례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 곳에서도 영양실조, 질병, 즉결총살과 가스실 처형이 발생했던 것은 마찬가지였다. '''2등급 수용소''': 나치 정권에 더 큰 위협이 된다고 판단된 '중한' 정치범, '보호 구금'이 필요한 인물, 그리고 일부 '반사회적' 수감자들이 대상이었다. 이 곳의 통제 강도는 1등급 보다 훨씬 가혹했으며 이 곳에 수감된 독일인들은 [[디를레방어 여단]]과 같은 [[무장친위대]] 형벌부대로의 입대 말고는 석방될 기회가 없다고 봐야 할 정도였다. 부헨발트, 플로센뷔르크, 라펜스브뤼크, 노이엔감메 등이 이에 해당했다. '''3등급 수용소''': 나치 이념에 따라 '교화가 불가능하고 가장 위험한'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했으며 반복적인 중범죄자, '반사회적' 인물, 그리고 정권에 가장 적대적이라고 판단된 정치범들이 이곳으로 보내졌다. '''"노동을 통한 절멸 (Vernichtung durch Arbeit)"'''이라는 개념이 가장 노골적으로 적용된 곳이다. 수감자들은 채석장과 같은 가장 위험하고 고된 노동 현장에 투입되었으며, 의도적으로 최소한의 식량만을 배급받았다. 사실상 수감자들을 의도적으로 죽음에 이르도록 설계된, 가장 치명적인 등급의 수용소였다. 독일인이라도 이 곳에 수감된다면 수용소에서 석방될 기회 조차 없었으며 매일 생명의 위협을 느껴야 했다. [[마우트하우젠 강제수용소]], 나츠바일러-슈트루트호프가 이에 해당되었다. * 당시 독일 영내 * '''[[https://en.wikipedia.org/wiki/Buchenwald_concentration_camp|부헨발트 수용소]]'''[* '부헨발트의 붉은 마녀'로 악명높은 [[일제 코흐]]가 이 수용소의 간부중 하나였다.] - 사망자 5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Lichtenburg_concentration_camp|리히텐부르크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lock_66|블록 66]] * [[https://en.wikipedia.org/wiki/Artern_Subcamp|아르테른 보조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erga_concentration_camp|베르가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Halle_concentration_camp|할레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Ohrdruf_concentration_camp|오르드루프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Niederhagen_concentration_camp|니더하겐 수용소]] (베벨스부르크 수용소)[* 이전에는 작센하우젠 수용소의 위성 수용소로 시작했고 이후에는 부헨발트의 위성 수용소 역할을 했다.]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Buchenwald|부헨발트의 부속 시설 목록]] * '''[[다하우 강제수용소]]''' - 사망자 3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Agfa-Commando|뮌헨-가이싱-아그파 카메라 공장 위성수용소]] ([[아그파]] 코만도)[* [[카메라]] 회사 [[아그파]]가 수용자들을 데리고 [[전범기업|노예 노동을 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 [[https://en.wikipedia.org/wiki/F%C3%BCssen-Plansee_work_camp|퓌젠-플란제 노동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Kaufering_concentration_camp_complex|카우퍼링 수용소 단지]] * [[https://en.wikipedia.org/wiki/Riederloh|리더로흐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Munich-Allach_concentration_camp|뮌헨-알라흐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M%C3%BCnchen-Schwabing_labor_camp|뮌헨-슈바빙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M%C3%BChldorf_concentration_camp_complex|뮐도르프 수용소 단지]]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Dachau|다하우의 부속 시설 목록]] * '''[[https://en.wikipedia.org/wiki/Bergen-Belsen_concentration_camp|베르겐-벨젠 수용소]]'''[* '안네의 일기'의 저자 [[안네 프랑크]]가 언니 마고 프랑크와 함께 여기에 수감되었다 [[장티푸스]]로 사망하였다.] - 사망자 3만 7000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Flossenb%C3%BCrg_concentration_camp|플로센뷔르크 수용소]]''' - 사망자 3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Happurg_subcamp|하푸르그 보조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Freiberg_subcamp|프라이베르크 보조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Helmbrechts_concentration_camp|헬름브레흐트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Leitmeritz_concentration_camp|라이트메리츠 수용소]] ([[체코]] [[수데티]] 지역) * [[https://en.wikipedia.org/wiki/Neurohlau_concentration_camp|노이로흘라우 수용소]] ([[체코]] [[수데티]] 지역) * [[https://en.wikipedia.org/wiki/Regensburg_subcamp|레겐스부르크 보조수용소]] (콜로세움 보조수용소)[* 5주 가량만 사용한 임시 수용소였기 때문에 특이하게도 그냥 여관 건물을 징발해다가 수용소로 사용했다.] - 사망자 70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Flossenb%C3%BCrg|플로센뷔르크의 부속 시설 목록]] * '''[[https://en.wikipedia.org/wiki/Gross-Rosen_concentration_camp|그로스-로젠 수용소]]''' ([[폴란드]] [[실레시아]])- 사망자 4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Gabersdorf_labour_camp|가베르스도르프 노동 수용소]] ([[체코]]) * [[https://en.wikipedia.org/wiki/Grafenort_concentration_camp|그라페노르트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Mittelsteine|미텔슈타인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r%C3%BCnnlitz_labor_camp|브륀리츠 노동 수용소]] - 그 유명한 '''[[오스카 쉰들러]]가 운용했던''' 수용소였다. SS에 의한 즉결처형과 가혹행위도 없었으며 강제노동도 없어서 공장 가동이 거의 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쉰들러가 계속 자신의 재산을 털어서 나치 상층부에 뇌물을 바친 덕에 1200명이 넘는 유대인들의 생명을 지킬 수 있었다.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Gross-Rosen|그로스-로젠의 부속 시설 목록]] * '''[[https://en.wikipedia.org/wiki/Hinzert_concentration_camp|힌체르트 수용소]]''' - 사망자 1000명 이상 * '''[[마우트하우젠 강제수용소|마우트하우젠 수용소]]''' ([[오스트리아]])[* 마우트하우젠 강제 노동 수용소(KZ-Mauthausen)는 오스트리아 린츠 근처의 마우트하우젠 마을에 위치해 있으며, 오스트리아 합병 직후인 1938년에 설치되었다. 근방에 있던 40개 이상의 수용소 시스템에서 중심 역할을 했으며, 독일 나치 SS 친위대가 직접 관리하던 곳이었고, 1940년에는 수용소 중 가장 높은 등급의 카테고리3 수용소로 분류되었다. 특히 이 수용소에는 [[스페인 제2공화국]] 출신 공산주의자들, 폴란드인, 오스트리아인, 네덜란드군 포로, 독일 정치범 등 다양한 국적과 신분의 사람들이 있었으며 1945년 미군에 의해 해방될 때까지 약 33만 명이 수감되었으며, 그 중 12만 명 이상이 죽었다. 이와 관련하여 "마우트하우센의 사진사"라는 책이 출간되었고, 이 책을 원작으로 2018년 넷플릭스에서 동명의 영화로 개봉되었다. 더 자세한 정보는 공식 박물관 사이트 참조[[https://www.mauthausen-memorial.org/en|#]] 여담으로 [[안네 프랑크]]와 같이 살던 소년 페테르 반 펠스(페테르 판 단)가 사망한 곳이기도 하다.] - 사망자 '''12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Gusen_concentration_camp|구젠 수용소]]'''[* 마우트하우젠의 보조 수용소 역할이었다.] ([[오스트리아]]) - 사망자 3만 5000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Bretstein_concentration_camp|브레트슈타인 수용소]] ([[오스트리아]]) * [[https://en.wikipedia.org/wiki/Steyr-M%C3%BCnichholz_subcamp|슈타이어-뮌히홀츠 수용소]] ([[오스트리아]]) * [[https://en.wikipedia.org/wiki/Ebensee_concentration_camp|에벤제 수용소]] ([[오스트리아]]) * [[https://en.wikipedia.org/wiki/Granitwerke_Mauthausen|그라니트베르커 마우트하우젠]]이 관리하던 채석장 시설들 * [[https://en.wikipedia.org/wiki/Accumulatoren-Fabrik_AFA|아쿠물라토헌-파브리크 AFA]]의 배터리 제조 공장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Mauthausen|마우트하우젠의 부속 시설 목록]] * '''[[https://en.wikipedia.org/wiki/Mittelbau-Dora_concentration_camp|미텔바우-도라 수용소]]'''[* 원래는 부헨발트의 보조 수용소 역할이었다. 이후 독립 수용소가 된다.] - 사망자 2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Boelcke-Kaserne_concentration_camp|뵐케-카제른 수용소]] - 사망자 3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Mittelbau|미텔바우-도라의 부속 시설 목록]] * '''[[https://en.wikipedia.org/wiki/Neuengamme_concentration_camp|노이엔감메 수용소]]''' - 사망자 4만 2000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W%C3%B6bbelin_concentration_camp|뵈벨린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Ladelund_concentration_camp|라델룬트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Husum-Schwesing_concentration_camp|후줌-슈베싱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Arbeitsdorf_concentration_camp|아르바이츠도르프 수용소]] (노동촌) * [[https://en.wikipedia.org/wiki/Dessauer_Ufer|데사우어 우퍼]] * [[https://en.wikipedia.org/wiki/Farge_concentration_camp|파게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Hamburg-Steinwerder_concentration_camp|함부르크-슈타인베르더 강제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ullenhuser_Damm|불렌후저 담 학교]]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Neuengamme|노이엔감메의 부속 시설 목록]] * '''[[https://en.wikipedia.org/wiki/Ravensbr%C3%BCck_concentration_camp|라벤스브뤼크 수용소]]''' - 사망자 3만 ~ 9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Malchow_concentration_camp|말호프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Uckermark_concentration_camp|우커마르크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Hartheim_killing_centre|하르트하임 학살 센터]] - 사망자 3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Ravensbr%C3%BCck|라벤스브뤼크의 부속 시설 목록]] * '''[[https://en.wikipedia.org/wiki/Category:Sachsenhausen_concentration_camp|작센하우젠-오라니엔부르크 수용소]]''' - 사망자 5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Oranienburg_concentration_camp|오라니엔부르크 수용소]][* 작센하우젠 수용소의 전신격인 초기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Emslandlager|엠슬란트 수용소 단지]] * [[https://en.wikipedia.org/wiki/Esterwegen_concentration_camp|에스테르베겐 수용소]] * 뵈르거무어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Sonnenburg_concentration_camp|존넨부르크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Kemna_concentration_camp|켐나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Sachsenburg_concentration_camp|작센부르크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Vaihingen_an_der_Enz_concentration_camp|바이힝엔 안 데어 엔츠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Kislau_concentration_camp|키슬라우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reitenau_concentration_camp|브라이테나우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randenburg-G%C3%B6rden_Prison|브란덴부르크-괴르덴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randenburg_Euthanasia_Centre|브란덴부르크 안락사 센터]] * [[https://en.wikipedia.org/wiki/Vulkanwerft_concentration_camp|불칸베르프트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Osterstein_Castle_(Zwickau)|오스터슈타인 성]] * [[https://en.wikipedia.org/wiki/Nohra_concentration_camp|노흐라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Moringen_concentration_camp|모링겐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Missler_concentration_camp|미슬러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erlin-Marzahn_concentration_camp|베를린-마르차흔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Lager_Heuberg|호이베르크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Columbia_concentration_camp|콜룸비아 수용소]] (콜룸비아-하우스) * [[https://en.wikipedia.org/wiki/Hainewalde_concentration_camp|하이네발데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Hainichen_concentration_camp|하이니헨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HASAG|HASAG]]사의 강제노동시설 * 구 [[https://en.wikipedia.org/wiki/Industriewerke_Ludwigsfelde|루트비히스펠데]] 공장 (현 인더스트리베르커 루트비히스필데) * 라켄바흐 수용소 ([[오스트리아]]) * 지겐도르프 수용소 ([[오스트리아]]) * [[https://en.wikipedia.org/wiki/St._Pantaleon-Weyer_concentration_camp|장크트판탈레온-바이어 수용소]] ([[오스트리아]]) * [[https://en.wikipedia.org/wiki/Krieglach_forced_labour_camp|크리클라흐 강제 노동수용소]] ([[오스트리아]]) * [[https://en.wikipedia.org/wiki/Oberer_Kuhberg_concentration_camp|오버러 쿠흐베르크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Werl_Prison|베를 교도소]] * 독일 점령지 * [[발트 3국]]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 '''[[https://en.wikipedia.org/wiki/Kaiserwald_concentration_camp|카이저발트 수용소]]''' ([[라트비아]]) * '''[[https://en.wikipedia.org/wiki/Salaspils_camp|살라스필스 수용소]]''' ([[라트비아]]) - 사망자 2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Jungfernhof_concentration_camp|융페른호프 수용소]]''' ([[라트비아]]) - 사망자 4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J%C3%A4gala_concentration_camp|예갈라 수용소]]''' ([[에스토니아]]) - 사망자 5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Klooga_concentration_camp|클루가 수용소]]''' ([[에스토니아]]) - 사망자 1천 8백 명 ~ 2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Vaivara_concentration_camp|바이바라 수용소]]''' ([[에스토니아]]) - 사망자 1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Kauen_concentration_camp|카우엔 수용소]] ([[카우나스]] 수용소)''' ([[리투아니아]])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Kauen|카우엔 수용소의 부속 시설 목록]] * [[https://en.wikipedia.org/wiki/Kailis_forced_labor_camp|카일리스 강제노동수용소]] ([[리투아니아]]) - 사망자 1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HKP_562_forced_labor_camp|HKP 562 강제노동수용소]] ([[리투아니아]]) - 사망자 750명 * [[https://en.wikipedia.org/wiki/Ninth_Fort|9호 요새]] ([[리투아니아]]) - 사망자 4만 5천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Kovno_Ghetto|코브노 게토]] (카우나스 게토) ([[리투아니아]]) * [[그리스]] ([[그리스 군정청]]) * [[https://en.wikipedia.org/wiki/Haidari_concentration_camp|하이다리 수용소]] - 사망자 2천 명 이상 * [[러시아]] ([[소련 군정청]]) * [[https://en.wikipedia.org/wiki/Oryol_Prison|오룔 감옥]][* [[오룔]]에 있던 교도소로 원래는 19세기 [[러시아 제국]] 시절에 세워진 유서깊은 교도소였다. 나치가 [[독소전쟁]] 중 오룔을 점령한 후 인수하여 강제 수용소로 사용하였다. 해방 후에는 반대로 추축국 포로들을 수감하는 포로수용소가 되었다.] * [[네덜란드]] ([[네덜란드 국가판무관부]]) * '''[[https://en.wikipedia.org/wiki/Herzogenbusch_concentration_camp|헤르초헨부쉬 수용소]]''' - 사망자 700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Kamp_Erika|에리카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Kamp_Amersfoort|아메르스포르트 수용소]] * [[폴란드]] ([[폴란드 총독부]]) * '''[[https://en.wikipedia.org/wiki/Warsaw_concentration_camp|바르샤바 노동 수용소]]'''[* 말리 트로스테네츠 수용소처럼 절멸 수용소로 분류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으나 마찬가지로 희생자 숫자나 경향 등에서 논쟁이 많다.] - 사망자 2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Serbia_Prison,_Warsaw|세르비아 감옥]][* 원래 [[프리비슬린스키]] 시절 [[러시아 제국]]에 의해 만들어진 [[정치범수용소]]로 훗날 [[게슈타포]]가 인수하여 사용했다.] * [[https://en.wikipedia.org/wiki/Pawiak|파비악 감옥]] * [[https://en.wikipedia.org/wiki/G%C4%99si%C3%B3wka|게시우프카 감옥]] * '''[[https://en.wikipedia.org/wiki/Krak%C3%B3w-P%C5%82asz%C3%B3w_concentration_camp|크라쿠프-프와슈프 수용소]]'''[* [[쉰들러 리스트]]에 나오는 그 수용소다. [[아몬 괴트]]가 수용소장으로 있었고, [[오스카 쉰들러]]가 구해낸 유대인들도 대다수가 이곳에 있었다.] - 사망자 8000 ~ 1만 2000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Krak%C3%B3w-P%C5%82asz%C3%B3w|크라쿠프-프와슈프의 부속 시설 목록]] * '''[[https://en.wikipedia.org/wiki/Soldau_concentration_camp|솔다우 수용소]]''' - 사망자 1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Stutthof_concentration_camp|슈투트호프 수용소]]''' - 사망자 6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Bromberg-Ost|브롬베르크-오스트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Au%C3%9Fenarbeitslager_Gerdauen|게르다우엔 외부 노동 수용소]] ([[칼리닌그라드]]) * [[https://en.wikipedia.org/wiki/Kolkau|콜카우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Heiligenbeil_concentration_camp|하일리겐바일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Malken_Mierzynek|말켄 미에르시넥 수용소]] * 니스키 수용소 * 나비츠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Trawniki_concentration_camp|트라브니키 수용소]]''' - 사망자 1만 2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Poniatowa_concentration_camp|포니아토바 수용소]]'''[* 1943년 후반기부터는 [[마이다네크 절멸수용소]]의 보조 수용소가 되었다.] - 사망자 6만 3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Budzy%C5%84_concentration_camp|부진 수용소]][* [[마이다네크 절멸수용소]]의 보조 수용소였다가 독립 수용소가 되었다.] *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 소속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ubcamps_of_Auschwitz|보조 수용소들]] * '''[[아우슈비츠 수용소]]''' (제1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Monowitz_concentration_camp|모노비츠 수용소]]''' (제3수용소) - 사망자 2천 5백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Bobrek_concentration_camp|보브렉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Eintrachth%C3%BCtte_concentration_camp|아인트라흐튀테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lechhammer_concentration_camp|블레흐하머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Jaworzno_concentration_camp|야보르스노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F%C3%BCrstengrube_subcamp|퓌르스텐그루베 보조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Fort_VII|7호 요새]]''' - 사망자 2천 5백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Lipowa_7_camp|리포바 7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Potulice_concentration_camp|포툴리체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Zas%C5%82aw_concentration_camp|자스와프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Kinder_KZ|어린이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Theresienstadt_family_camp|테레지엔슈타트 가족 수용소]]''' - 사망자 1만 4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Lublin_airfield_camp|루블린 비행장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reslau-D%C3%BCrrgoy_concentration_camp|브레슬라우-뒤르고이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Mielec_forced_labor_camp|미엘레츠 강제 노동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SS-Truppen%C3%BCbungsplatz_Heidelager|SS-트루페뉘붕스플라츠 수용소]][* [[슈츠슈타펠]] 기지를 겸했다.] * [[https://en.wikipedia.org/wiki/German_camps_in_occupied_Poland_during_World_War_II|그 외 2차 대전 당시 폴란드 강역 내 나치 수용소 목록]] * [[체코]]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https://en.wikipedia.org/wiki/Hodon%C3%ADn_concentration_camp|호도닌 수용소]][* 최소 4천 여명의 [[롬인]]들이 이 곳에서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로 옮겨져 사망했다.] - 194명 사망 * [[https://en.wikipedia.org/wiki/Lety_concentration_camp|레티 수용소]][* 최소 5백 여명의 [[롬인]]들이 이 곳에서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로 옮겨져 사망했다.] - 약 326명 사망 * [[https://en.wikipedia.org/wiki/Small_Fortress_(Terez%C3%ADn)|'작은 요새']] - 사망자 2천 6백 명 이상 * [[벨라루스]] 지역 (중부 [[벨라루스 중앙 라다]], 동부 [[소련 군정청]], 남부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 '''[[https://en.wikipedia.org/wiki/Maly_Trostenets|말리 트로스테네츠 수용소]]'''[* 1941년 강제 노동 수용소로 만들어졌고 추후 총살 등의 홀로코스트 행위가 행해졌으므로 절멸수용소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희생자 숫자나 경향 등에서 타 강제 노동 수용소에 비해 뚜렷히 구분되는 측면이 없어 최신 경향에서는 위의 6곳만 절멸수용소로 분류하고 있다.] - 사망자 '''10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Koldichevo|콜디셰보]] - 사망자 2만 2천 명 이상 * [[벨기에]]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 * [[https://en.wikipedia.org/wiki/Fort_Breendonk|브렌동크 요새]][* 1,734명은 종전 전까지 부헨발트 등 타 수용소로 보내져 사망했다.] - 사망자 303명 * [[우크라이나]] 지역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 '''[[https://en.wikipedia.org/wiki/Janowska_concentration_camp|야노프스카 수용소]]''' - 사망자 4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Syrets_concentration_camp|시레츠 수용소]] * [[크로아티아]] 지역 ([[크로아티아 독립국]]) * [[https://en.wikipedia.org/wiki/Sajmi%C5%A1te_concentration_camp|사이미슈테 수용소]][* [[크로아티아 독립국]]과 공동 운영.] - 사망자 2만 명 ~ 2만 3백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Sisak_concentration_camp|시사크 수용소]] (제1수용소)[* [[크로아티아 독립국]]과 공동 운영. 이후엔 통제권을 크로아티아에 넘겼다.] * [[세르비아]] 지역 ([[세르비아 군정청]]) * [[https://en.wikipedia.org/wiki/Banjica_concentration_camp|바니차 수용소]] - 사망자 3,849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Crveni_Krst_concentration_camp|츠르베니 크르스트 수용소]] - 사망자 1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Mili%C5%A1i%C4%87%27s_brickyard|밀리시치 벽돌공장]] - 사망자 500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Topovske_%C5%A0upe_concentration_camp|토포브스케 수용소]] - 사망자 4천 3백 명 이상 * 북[[이탈리아]]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https://en.wikipedia.org/wiki/Fossoli_camp|포솔리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orgo_San_Dalmazzo_concentration_camp|보르고 산 달마초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Risiera_di_San_Sabba|리시에라 디 산 사바]] - 사망자 3천 ~ 5천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San_Vittore_Prison|산 비토레 교도소]] * [[프랑스]] ([[비시 프랑스]], [[프랑스 군정청]]) * '''[[https://en.wikipedia.org/wiki/Natzweiler-Struthof|나츠바일러-스트루토프 수용소]]''' - 사망자 2만 2000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KZ_Walldorf|발도르프 수용소]] ([[독일]] [[헤센]]) * [[https://en.wikipedia.org/wiki/Drancy_internment_camp|드랑시 수용소]][* 1943년까지 [[비시 프랑스]]가 운영. 비시 프랑스가 멸망한 이후에는 [[슈츠슈타펠]]이 넘겨받아 운영했다. [[알로이스 브루너]]가 한 때 이 곳의 사령관으로 있었다.] * [[https://en.wikipedia.org/wiki/Pithiviers_internment_camp|피티비에 수용소]][* 1942년까지 [[비시 프랑스]]가 운영. 이후엔 독일이 넘겨받아 6,800여명의 수감자를 아우슈비츠로 넘겨 죽였다.] * [[https://en.wikipedia.org/wiki/Camp_Vernet|베르네 수용소]][* 1942년까지 [[비시 프랑스]]가 운영.] * [[https://en.wikipedia.org/wiki/Merignac_internment_camp|메리냑 수용소]][* 1942년까지 [[비시 프랑스]]가 운영.] * [[https://en.wikipedia.org/wiki/Fort_de_Romainville|로맹빌 요새]] - 사망자 152명. * '''[[https://en.wikipedia.org/wiki/Royallieu-Compi%C3%A8gne_internment_camp|로얄리외-콩피에뉴 수용소]]''' - 사망자 5만 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Camp_de_Rivesaltes|리브살트 수용소]][* 1942년까지 [[비시 프랑스]]가 운영.] * [[https://en.wikipedia.org/wiki/Beaune-la-Rolande_internment_camp|보네라롤랑드 수용소]][* 1942년까지 [[비시 프랑스]]가 운영. 이후엔 독일이 넘겨받아 6,400여명의 수감자를 아우슈비츠로 넘겨 죽였다.] * [[노르웨이]] ([[노르웨이 국가판무관부]], [[크비슬링 정권]]) * [[https://en.wikipedia.org/wiki/Falstad_concentration_camp|팔스타드 수용소]] - 사망자 202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Grini_detention_camp|그리니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Ulven_detention_camp|울벤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Espeland_detention_camp|에스펠란드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Trondheim#Prison|볼란 감옥]] * [[https://en.wikipedia.org/wiki/Bredtveit_Prison|브레트베이트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erg_concentration_camp|베르크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Kv%C3%A6nangen_concentration_camp|크베낭엔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Sydspissen_detention_camp|시드스피센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Tromsdalen_detention_camp|트롬스달렌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Fannrem_concentration_camp|판렘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Beisfjord|베이스피오르 수용소]] - 사망자 700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Bardufoss_concentration_camp|바르두포스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C3%85nebyleiren|오네빌리에렌 수용소]] * [[영국]] ([[채널 제도]])[* 노더니와 실트는 노이엔감메 수용소의 보조 수용소 역할을 했다. 영국 본토는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상륙을 당한 적은 없었지만 만약 상륙이 이루어질 경우 영국 본토 내 유대인 역시 학살이 이루어질 예정이었다.] * '''[[https://en.wikipedia.org/wiki/Alderney_camps|올더니 수용소]]''' - 사망자 700명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Lager_Borkum|보컴 노동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Lager_Helgoland|헬골란트 노동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Lager_Norderney|노더니 수용소]] * [[https://en.wikipedia.org/wiki/Lager_Sylt|실트 수용소]]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