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홀로코스트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희생자 수 == >{{{#!folding [ 클릭하여 원문 펼치기 · 접기 ] '''라울 힐베르크''' '''홀로코스트 연구의 권위자인 미국 역사학자 | 미국 벌링턴''' '노선 지침' 제587호입니다.[* 강제개행된 부분은 오류가 아니며, [[클로드 란츠만]]이 일부러 그렇게 구성했다. ''이탤릭체'' 부분은 란츠만 감독 본인의 대사이며 기본 서체는 라울 힐베르크의 대사다.] 특수 열차를 운행하려면 항상 작성해야 했던 서류죠. 587번이라는 숫자가 그 전에 얼마나 많은 지침이 있었는지 보여줍니다. 여기 아래에는 누어 퓌어 덴 딘스트게브라우흐(Nur für den Dienstgebrauch)라고 쓰여 있어요. '내부 관계자용'이라는 뜻인데 기밀의 정도로 따지자면 사실상 하급 수준에 해당하죠. 그런데 제가 놀랐던 부분은 죽음의 열차와 관련된 서류인데도, 이것뿐만 아니라 다른 서류들에서도 마찬가지지만, '기밀'을 뜻하는 단어 게하임(Geheim)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만약 문서에 '기밀'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면 그걸 읽는 사람들이 그게 뭔지 더 궁금해해서 아마도 더 많은 의심을 사게 됐을 겁니다. 주의란 주의는 다 끌었겠죠. 이 작전을 진행하는 동안 심리적인 차원에서 명심해야 했던 게 수행하고 있던 임무를 절대로 명명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아무 말 말고 그냥 하라는 거였죠. 뭘 하는지 부인하지도 말고요. 그래서 '내부 관계자용'이라고 적혀 있는 겁니다. 여기 보시면 이 서류가 얼마나 많은 사람의 손에 들어갔는지 알 수 있는데요. 'Bfe'. 기차역을 말하죠. 이 노선에만 기차역이 총... 8개나 돼요. 여기가 트레블링카에 도착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들렀던 마우키니아 기차역입니다. 그러니까 라돔(Radom)을 지나서 바르샤바 구역까지 이렇게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데도 문서를 수신한 곳이 8곳이나 되는 거죠. 여기 8개의 역을 지나갈 때마다 각 기차역 담당자에게 통보해야 했으니까요. 그런데 한 장이면 충분한 것을 왜 두 장씩이나 썼을까요? 여기 보이는 PKR은 목적지를 향해 달리는 죽음의 기차를 뜻하는 약자예요. 그런데 트레블링카에 열차가 도착하면 곧바로 비워냈기 때문에 거기서 새로 출발하는 빈 열차가 하나 더 생기게 되는 거죠. 아시다시피 비어 있다는 뜻인 단어 레어(leer)를 나타내는 알파벳 L이 여기 이렇게 표시되어 있고요. ''뤽라이퉁 데어 레어추게스(Rückleitung der Leerzuges)'' '''빈 기차의 귀환'이라고 쓰여 있군요.'' 여기 보세요. 숫자를 매기는 방식에서 교묘함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9228번에서 9229번, 이어서 9230번, 9231번, 9232번. 전혀 특별할 것 없이 일반 열차를 운행하는 거나 다름없었던 거죠. ''죽음의 열차였는데도요!'' 네, 죽음의 열차였는데도 말이에요. 이제 이 부분을 살펴보시면 어느 한 게토에서 내부를 비우는 작업이 진행 중이었고 거기서 기차가 출발해 트레블링카로 향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1942년 9월 30일 4시 18분에 출발한 거죠. 적어도 계획된 일정표상으로는 그렇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 오전 11시 24분에 트레블링카에 도착해요. 이건 길이가 아주 긴 열차였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늦게 도착한 거고요, 여기 '50G' 표시가 보이시죠. 사람들을 가득 채운 화물칸이 50개였다는 뜻입니다. 중량이 굉장히 '무거웠던' 수송이었던 거죠. 트레블리카에 도착한 시간이 11시 24분, 오전이지 않습니까? 그리고 15시 59분에 열차가 다시 출발합니다. 그사이에 기차에 실려 있던 것을 내리고 청소까지 한 다음 다시 출발할 수 있도록 준비를 마친 거죠. 그렇게 빈 기차에 다시 일련번호를 매긴 거고요. 그러니까 이 기차는 오후 4시경에 트레블링카에서 또 다른 작은 도시를 향해 출발했고 그곳에서 또 다른 희생자들을 실은 겁니다. 그리고 여기 보시면 새벽 3시에 다시 트레블링카를 향해 출발해서 다음 날 도착했어요. ''그러면 이 두 열차가 같은 열차라고 볼 수 있는 건가요?'' 아 그럼요. 같은 열차죠. 이 둘은 같은 열차입니다. 매번 번호만 바뀐 거고요. 그렇게 트레블링카로 다시 돌아가고 나면 새로운 수송이 또 있었겠죠. 도착하자마자 다른 곳으로 다시 출발하는 식이었던 겁니다. 매번 똑같은 상황에 똑같은 방식으로 운행을 반복했으니까요. 이 기차는 또다시 트레블링카로 돌아가서는 최종적으로 9월 29일 쳉스트호바에 도착합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온 거죠. 이게 바로 '노선 지침'이라고 부르던 서류입니다. 열차 안에 사람들이 꽉 차 있었다는 가정으로 계산을 하면 이런 식으로 '노선 지침'을 한 번 시행할 때마다 약 1만 명 정도의 유대인이 죽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만 명은 훌쩍 넘을 것 같은데요!'' 최소한으로 잡아서요. ''그런데 이런 문서에 이렇게까지'' ''주목할 만한 이유가 있을까요?'' ''실제로 트레블링카에 다녀온 입장에서'' ''거기 현장과 이 문서를 동시에 보니까...'' 지금 제가 이 종이를 이렇게 손에 들고 있지 않습니까? 더군다나 이건 서류 원본이에요. 당시 행정을 집행하던 관료들도 이걸 두 손으로 직접 들고 있었다는 걸 생각해 볼 수 있죠. 유물이나 다름없습니다. 남아 있는 건 이것뿐이니까요. 죽은 사람들은 더는 말이 없으니까요.}}} >---- >- [[트레블링카 절멸수용소]]로의 희생자 이송 과정에 대한 사학자 [[https://www.ushmm.org/information/press/in-memoriam/raul-hilberg-1926-2007|라울 힐베르크]]의 설명. [[클로드 란츠만]]의 <[[쇼아(영화)|쇼아]]> 195~199p에서 발췌 나치 독일은 유대인 절멸에 관한 명령과 보고를 서면으로 기록하는 것을 꺼렸기에 학살 명령 다수는 구두로 전달되었다. 그럼에도 생산된 수많은 문서들은 1944년경부터 조직적으로 삭제되었으며, 학살과 관련된 여러 시설들 또한 의도적으로 해체되거나 파괴되었다. 이 외에도 광범위하게 벌어진 집단 학살 사건들과 그 희생자들에 대한 기록은 매우 단편적이다. 그렇기에, 홀로코스트의 정확한 피학살자 수를 집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현재의 홀로코스트 희생자 집계는 주요 집단 매장지에서 발굴된 희생자 수, 독일 제국철도의 운송량과 운송 횟수, 그리고 전후 집계된 인구를 이민자 숫자와 전쟁 전 인구수와 비교하는 연구 등을 토대로 한 추정치에 기반한다. [[https://encyclopedia.ushmm.org/content/ko/article/documenting-numbers-of-victims-of-the-holocaust-and-nazi-persecution#-1|미국 홀로코스트 박물관에서 발표한 희생자 숫자]]는 다음과 같다. 해당 박물관은 전후의 인구 집계 결과를 토대로 추산하였다. ||<-3><tablebordercolor=#000><bgcolor=#000000> '''{{{#FFF 인종과 집단에 따른 홀로코스트 희생자 수}}}''' || ||<bgcolor=#000000> {{{#FFF 인종 또는 집단}}} ||<bgcolor=#000000> {{{#FFF 희생자 수}}} ||<bgcolor=#000000> {{{#FFF 비고}}} || || [[유대인]] || 600만 명 || || || [[소련]] 민간인 || 약 700만 명 || 130만명의 유대계 소련인 포함 || || [[소련군]] [[포로]] || 약 300만 명 || 5만명의 유대계 소련군 포함 || || 비유대 [[폴란드]] 민간인 || 약 180만명 || 5만~10만명의 [[폴란드 제2공화국|폴란드]] 엘리트 계층 포함 || || [[세르비아]] 민간인 || 312,300명 || [[크로아티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지역 || || 격리시설 [[장애인]] || 약 25만 명 || || || [[로마족]]([[집시]]) || 약 25만 명 || || || [[여호와의 증인]] 신도 || 약 1900명 || || || [[재범|재범죄자]] 및 [[반사회성 성격장애와 품행장애|비사회인격장애인]] || 최소 7만 명 || || || 추축국 점령 지역의 [[파르티잔]] 및 [[레지스탕스]] || 불명 || || || [[동성애자]] || 수백 및 수천 명 || 상기된 재범죄자 및 비사회인격장애인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 또한 해당 박물관에서는 유대인들의 사망 장소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를 제시한다. ||<-3><tablebordercolor=#000><bgcolor=#000000> '''{{{#FFF 장소에 따른 유대인 희생자 수}}}''' || ||<bgcolor=#000000> {{{#FFF 장소}}} ||<bgcolor=#000000> {{{#FFF 희생자 수}}} ||<bgcolor=#000000> {{{#FFF 비고}}} || ||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 || 약 100만명 || || || [[트레블링카 절멸수용소]] || 약 925,000명 || || || [[베우제츠 절멸수용소]] || 434,508명 || || || [[소비보르 절멸수용소]] || 최소 167,000명 || || || [[헤움노 절멸수용소]] || 156,000 ~ 172,000명 || || || [[폴란드 총독부]] 지역의 총살 작전 || 최소 20만 명 || || || 바르테란트 관구 지역의 총살 작전 || 최소 2만 명 || || || 기타 강제수용소들 || 최소 15만 명 || || || 독일에 점령된 소련 지역에서의 총살 작전 및 가스 밴 || 최소 130만 명 || || || 소련에서의 총살 작전 || 약 55,000명 || 소련으로 추방된 독일, 오스트리아 및 체코계 유대인 || || [[세르비아 군정청|세르비아]]에서의 총살 및 가스 밴 || 최소 15,088명 || || || [[크로아티아 독립국|크로아티아]]에서 [[우스타샤]] 정권의 총살 또는 고문 || 23,000 ~ 25,000명 || || || [[게토]]에서 사망 || 최소 80만 명 || || || 기타 || 최소 50만 명 ||1) 1939년에서 1940년까지 폴란드에서 살해된 이들[br]2) [[유고슬라비아]], [[그리스]],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빨치산으로 활동하다 살해된 이들[br]3) [[헝가리 왕국(1920년~1946년)|헝가리]]의 노동대원으로 사망한 이들[br]4) [[전간기]] [[바이마르 공화국|독일]]과 [[오스트리아 연방국|오스트리아]]의 [[반유대주의]] 운동으로 인해 사망한 이들[br]5) 1940~41년간 [[국민군단국가|루마니아]] [[철위대]]에 의해 살해된 이들[br]6) 전쟁 후반 6개월간 죽음의 행진에서 사망한 이들[br]7) 독일 점령지역에서 숨어 지내다 살해된 이들|| 홀로코스트 과정에서 과정에서 유대인 외에 [[나치당]]이 보기에 [[우생학]]적으로 열등한 자들, 혹은 반(反)나치즘적이라고 여겨진 사람들 또한 함께 기소 및 학살되었다. 그러한 예로 1938년 시행된 [[장애인]] 학살인 [[T4 작전]]의 경험을 거친 인력들이 [[독소전쟁]] 발발 이후 홀로코스트에 본격적으로 투입되었다. [[폴란드인]] 등 슬라브족 또한 학살당하여 약 180~190만 명의 비(非)유대계 폴란드인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측된다.[* [[https://encyclopedia.ushmm.org/content/en/article/polish-victims|"Polish Victims"]]. Holocaust Encyclopedia.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연합군이나 레지스탕스의 [[포로]], 특히나 유대인, 슬라브인, 유색인 포로의 경우 현장에서 처형되거나 강제 노동·절멸 수용소로 보내졌다. 소위 '[[집시]]'라고 불리는 [[롬인]]들도 주요 학살 대상 중 하나였으며, 최대 50만여명이 학살되어 유럽 롬인의 절반 가량이 사망하였다.[* [[https://encyclopedia.ushmm.org/content/en/article/genocide-of-european-roma-gypsies-1939-1945|"Holocaust Encyclopedia – Genocide of European Roma (Gypsies), 1939–1945"]]] 이 롬인 학살은 [[롬어]]로 '파괴'를 뜻하는 '포라이모스(Porajmos)'라고 불리기도 한다.[* 다만 해당 용어를 거부하는 롬인 권익 활동가나 역사학자들도 존재한다. 러시아나 발칸 반도의 롬인 활동가 일부는 '포라이모스'라는 단어가 동유럽의 상당수 [[롬어]] 방언에서 '능욕' 내지는 '강간'을 의미하는 '포라비페(poravipe)'와 유의어로 쓰인다는 점을 들어 해당 용어를 거부한다. 대체어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집단 살해'을 뜻하는 '사무다리펜(samudaripen)' 혹은 '로마니 홀로코스트'와 같은 중립적인 표현을 제안한다.] 나치당을 정치적 이유로 거부한 [[공산주의자]] 등의 정치범들도 함께 학살되었다. [[게이|남성 동성애자]]를 위시한 [[성소수자]]들 또한 학살 및 수감되었다.[* 이들은 해방 이후에도 [[동성애]]를 불법화한 동서독 정부에 의해 나치의 기록을 바탕으로 '''다시 수감되었다'''. 유럽에서의 동성애자 인식이 나아진 것은 최소 [[68운동]] 전후이다.] 이러한 나치의 기소에 의해 사망한 총 희생자의 수는 홀로코스트로 사망한 유대인 600만여 명을 포함하여 약 1,100만 명이다. 좀 더 넓게 정의할 경우 [[독소전쟁|동부전선]]에서 군사작전 중에 죽은 민간인을 제외한 나치 점령지에서 조직적으로 학살당한 소련인까지 포함해 약 1,700만 명까지 추정하기도 한다.[* A figure of 26.3 million is given in Service d'Information des Crimes de Guerre: Crimes contre la Personne Humain, Camps de Concentration. Paris, 1946, pp. 197–198. Christopher Hodapp, Freemasons for Dummies, 2005; Raul Hilberg, The Destruction of the European Jews, 2003; Martin Gilbert, Atlas of the Holocaust, 1993; Israel Gutman, Encyclopedia of the Holocaust, 1995.]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