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홀로코스트/진행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발전 == ||<table align=center> [youtube(GPXPjZurupc)] || || '''"최종 해결책"의 발전'''[br]영상 출처: 야드 바셈 홀로코스트 박물관 공식 유튜브 채널 || [[히틀러]]는 젊은 시절 [[반유대주의]] 분위기가 팽배했던 오스트리아의 빈에 머무는 동안 반유대주의적 정서를 흡수했다. 그러나 인종론에 바탕을 둔 반유대주의가 히틀러의 세계관이자 이념적 목표가 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을 겪으면서부터였다. 히틀러는 독일이 전쟁에서 패한 뒤 당시 많은 독일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패전과 독일이 겪은 모든 수모의 책임을 [[유대인]]의 탓으로 돌렸다. 1919년 9월 [[나치당]]의 전신인 ‘독일노동자당’에 입당할 무렵에 이미 히틀러는 반유대주의에 대한 전문가로 불렸다. 이로 인해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내내 나치당의 반유대주의는 자주 물리적 폭력으로 표출되었고, 1933년 히틀러가 집권한 뒤로 나치의 극렬한 반유대주의는 단발적인 폭력이 아닌 일관성 있는 정책적 틀을 갖추기 시작했다. 나치가 패전과 혁명, 정치 위기, 극심한 사회적 빈곤을 초래한 것이 유대인이라고 지목하며, 유대인을 희생양으로 삼자 독일 사회 내에서 유대인에 대한 편견은 갈수록 커져 갔다. 이러한 나치의 선전과 활동으로 인해 유대인은 유난히 부자가 많고 경제를 장악하여 해악을 끼치고 문화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고정관념이 날이 갈수록 확산되었다. 그 결과 유대인은 종자가 다르며 독일을 이 지경으로 몰아넣은 것은 유대인이라는 생각이 벌써 히틀러가 정권을 잡기도 전에 널리 퍼졌다. 히틀러가 일단 정권을 잡은 후 나치의 반유대주의 구호는 그런 부정적 여론을 등에 업고 사회 구석구석에 스며들었고, 줄기찬 선전으로 부풀려져서 독일의 모든 곳에 퍼졌다. 이로 인해 독일이 다시 부흥하려면 민족을 순화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유대인을 독일에서 내몰아야 한다는 생각이 호응을 얻었다. 이 시기 'Juden Raus'(유덴, 라우스! 즉 "유대인은 꺼져라"라는 뜻)라는 보드게임이 나오기도 하였다.[[https://www.google.com/search?ie=UTF-8&client=ms-android-samsung-ss&source=android-browser&q=JUDEN+RAUS|#]] 이렇게 해서 1919년부터 히틀러가 추진해야 할 목표로 내세웠던 유대인 제거는 조금씩 실현 가능한 목표로 떠올랐다. 나치당은 히틀러 내각을 새우자마자 그 즉시 유대인 탄압을 시작했다. 그 시작은 1933년 4월 7일에 Gesetz zur Wiederherstellung des Berufsbeamtentums, shortened to Berufsbeamtengesetz[[http://www.documentarchiv.de/ns/beamtenges.html|전문(독일어)]] 법률 번역해서 직업공무원재건법을 공포하고 이 법률 3조에 따라 비아리안 공무원 즉 유대인 공무원들을 공직에서 추방한다. 법률안 통과 직전에 힌덴부르크 대통령이 이 법안에 반대하는 편지를 4월 4일에 히틀러 총리에게 보냈지만 히틀러는 거부하는 답신을 4월 5일에 보낸다.[* Walther Hubatsch, Hindenburg und der Staat, p375~378] 그러나 힌덴부르크의 반대가 껄끄러웠는지 답신에 참전용사나 유가족은 추방하지 않겠다고 넣었고 법안도 그렇게 만들었다. 여기에 4월 22일에 발표된 이법의 시행령에 따라 유대인 의사들이 의료보험공단에서 추방당해 사실상 자격을 잃는다. 분명 공무원 법 시행령으로 민간 의사의 자격을 박탈하는 것은 분명한 월권이었지만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지 못했다. 1933년 4월 22일에는 유대인 특허 공증인을 금지하는 법이, 5월 6일에는 세무사를 9월 이후에는 변호사를 금지하는 법안이 차례대로 공포되었다. 유대인 예술인의 경우 나치 집권직후 괴벨스를 중심으로 선전부가 만들어졌고 1933년 9월 22일 선전부 산하에 제국문화회의소가 설립되어 여기서 독일의 예술활동을 총괄하게 되는데 한스 힝켈 같은 나치당원들이 문화회의소 총재로 군림하면서 유대인 예술가들은 독일 예술시장에서 추방당한다. 여기에 1933년 10월 4일에는 유대인 신문 편집자를 해고하는 행정명령이 발표된다.[* 출처 라울 힐베르크, 홀로코스트, 유럽 유대인의 파괴, 5장 1편 해고.] 1938년 6월 14일에는 유대인들이 기업의 소유나 이사직을 금지하는 법안을 공포했고, 11월 12일에는 무조건 유대인 이사를 해고하는 법률을 공포한다.[* 출처 라울 힐베르크, 홀로코스트, 유럽 유대인의 파괴, 5장 1편 해고.] 한편 ‘[[돌격대]]’를 비롯한 나치당 과격파들이 저지른 유대인 박해는 1933년 나치의 집권이 시작되고 나서 유대인 상점 불매운동이나 유대인들을 길거리에서 폭행하고 모욕하는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일어났다. 특히 1933년과 1935년, 1938년 세 차례에 걸쳐 대규모 폭력사태가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수정의 밤]]’으로 불리는 1938년 11월 9일과 10일에 벌어진 유대교 회당 파괴와 유대인 살해, 유대인 상점 습격은 반유대주의 폭력의 정점이였던 사건이었다. 크리스탈나흐트 사건 이전 인종 학살을 통한 유대인 절멸이 처음부터 목표는 아니었다. 하지만 크리스탈나흐트 사건 이후 나치는 유대인에 대해 독일에서 살 권리를 박탈하는 것에서 아예 인간으로써 살 권리를 박탈하는 쪽으로 나아가기 시작한다. 반유대주의 폭력이 확산되고 갈수록 과격해지고, 전쟁 발발 후 나치의 유대인 정책이 독일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유대인을 이주시키는 영토 해법에서 1942년 1월 ‘[[반제 회의]]’를 거치며 대량 학살을 통한 절멸 해법으로 바뀐 것은 모두 나치 독일의 전형적인 '누적적 급진화'의 사례였다. 사실 히틀러가 별로 나서지 않았어도 반유대 운동은 저절로 번졌으며, 독일인들이 알아서 유대인 탄압을 이끌고 주도하고 밀어붙였다. 물론 거기에는 이것이 [[나치즘]]의 위대한 사명을 완수하는 길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었다. 지도자의 뜻을 좇아 일하는 전형적 사례였다. 물론 사람들은 대개는 실리를 따져서 그렇게 했지만 유대인을 제거할 목적으로 나온 조치는 히틀러의 장기적 목표를 이루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었으므로 당연히 히틀러의 승인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반유대 차별의 급진화를 밀어붙인 조직이나 기관, 개인은 저마다 이해관계가 걸려 있었고 또 노리는 것이 있었다. 이것들을 모두 묶어내고 그럴듯한 명분을 주는 것이 인종 정화의 구상이었고 유대인 없는 독일 건설의 목표였다. 그리고 그 구심점은 [[히틀러|지도자]]였다. 그래서 때로는 영향이 간접적이었을지라도 히틀러의 역할은 중요했다.[* 2인자 괴링이 하이드리히에게 모호한 표현인 '최종 해결'을 요청하자 하이드리히가 여러 장관들을 모아 [[반제회의]]를 열어 절멸 정책이 시행된다. 이렇게 보면 히틀러 밑선에서 이루어진 것처럼 보여 히틀러의 책임이 모호해져 보이지만, 그렇다고 히틀러가 책임을 면할 수는 없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