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홀로코스트/진행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1944년 === 5월, 헝가리 왕국의 이탈 움직임이 가속화되자 독일은 마르가레테 작전을 통해 헝가리 전역을 통제하는 데 성공한다. 침공이 시작된 날, 중앙에서 유대인 이송 작업을 총괄하던 [[아돌프 아이히만]]이 국가보안본부 요원들과 함께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에 도착한다. 이때부터 그동안 보호받던 헝가리 유대인들 또한 본격적으로 학살당하기 시작한다. 헝가리는 자체적인 유대인 인구도 많았으나, 그동안 유럽 내에 몇 안 되는 안전지대 중 하나로서 많은 수의 외국 유대인들이 망명을 온 곳이기도 했다. 이들은 아이히만의 통제를 받는 독일군과 헝가리 헌병대에 의해 아우슈비츠로 이송된다. 5월에서 7월 사이 고작 2개월 동안, 44만명 가량의 헝가리 유대인들이 잡혀 살해된다.([[루돌프 회스|회스 작전]]) 이송된 이들의 80퍼센트는 아우슈비츠의 가스실에서 목숨을 잃었고, 20퍼센트는 아우슈비츠 1수용소나 부헨발트 같은 노동수용소로 보내졌다. 6월, 소련군이 [[바그라티온 작전]]을 개시하며 소련 영내에서 독일군을 완전히 몰아내고 폴란드와 몰도바에 다다른다. 동시에 서부 지역에서는 서방연합군이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통해 프랑스를 해방한다. 이제 폴란드 지역이 전선이 되면서 마이다네크 수용소와 잠시 다시 운영했던 헤움노가 폐쇄되지만, 아우슈비츠만은 계속 운영된다. 이 시기 아우슈비츠는 유일한 절멸수용소로서, 어마어마한 수준의 유대인들, 정치범들을 살해한다. 화장터의 처리 용량을 한참 웃도는 수준의 시체들을 처리하기 위해 공터에 구덩이를 파고 임시 화장장을 만들어 대량으로 불태우던 게 바로 이 시기이다. 8월, 소련군이 제2차 이아시-키시너우 작전으로 루마니아와 자카르파탸 통로를 통해 발칸 반도로 진입하기 시작하자 패닉에 빠진 [[발칸반도]] 동맹국들이 루마니아와 불가리아를 시작으로 추축국에서 연달아 이탈한다. 이때부터 루마니아에서의 유대인 학살이 끝난다. 같은 달 [[우스타샤]] 또한 추축국을 이탈하려다 진압당해 실패한다. 9월에는 세르비아가 파르티잔과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헝가리에서마저 이탈 움직임이 감지되자 독일은 10월에 [[화살십자당]]의 쿠데타를 유도하여 헝가리를 강제 점령하지만, 헝가리는 곧이어 몰려온 소련군에 의해 대부분의 지역이 해방된다. 그러나 소련군의 진격은 [[부다페스트 공방전]]으로 인해 막히게 되며, 남은 부다페스트와 서북부 헝가리 유대인들에 대한 학살은 1945년 2월 헝가리 전역이 해방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헝가리 유대인들은 이미 살해된 상태였으므로, [[아돌프 아이히만]]은 12월에 부다페스트에 소련군이 당도하기 직전 베를린으로 돌아간다. 연합군이 급속히 진격해오자 [[독일군]]은 학살수용소를 파괴해 증거를 인멸하고 수감자 및 포로들을 이송했다. 이를 죽음의 행진이라 한다. 이 과정에서 기아, 구타, 병, 추위로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 약 60,000명이 생존한 것으로 보인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