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혼혈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특성 == 혼혈의 정의 자체가 서로 다른 [[인종]] 또는 [[민족]] 간 결합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종, 민족을 구분하는 뜻이다. 따라서 [[인종주의]]나 [[민족주의]]에서 파생되어 쓰이는 개념이다. 사람은 누구나 부모의 피([[유전자]])가 섞여서 태어나기 때문에 말 그대로 혼혈(混血)이지만 여기서 의미하는 혼혈은 반드시 [[인종]]과 [[민족]]의 구분 개념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런 구분은 대다수의 나라에서 차별로 이어진다. 혼혈 [[인구]]의 규모가 큰 경우 조상들의 인종 집단과는 구분되는 다른 인종 집단을 이루고 그들을 지칭하는 표현이 널리 사용되기도 하는데 [[중남미]]의 [[메스티소]], [[물라토]], 삼보(Sambo), [[남아프리카]]의 컬러드가 대표적이다.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족]]의 많은 집단은 오랜 기간 동안 혼혈이 이루어져 그들만의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데 이들을 [[유라시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혼혈은 유전적 다양성을 높인다는 인식이 있지만, 이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서로 다른 인종 간의 유전적 결합은 한 인종 내에서 발현되던 고유한 형질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인간이 발현할 수 있는 유전 정보에는 총량의 한계가 있으며, 특정 인종이 오랜 시간 동안 그 지역의 환경에 적응하며 형성한 유전적 특성은 이종 간 결합을 통해 일부만 전달되거나 희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간은 유전적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오히려 자신과 비슷하게 생긴([[유전자]]가 유사할 가능성이 높은) 이성을 더 선호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물론 닫힌 국가, 민족 안에서만 [[교배]]되어 똑같은 유전자풀에서만 형질이 반복 강화(반복 약화)되다 보면 [[키(신체)|키]]와 [[수명]]을 포기하고 [[번식]] 능력을 강화시킨 [[피그미]]족이나 [[합스부르크 가문]]의 [[주걱턱]] 등 '''[[유전병]]'''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http://www.dailymail.co.uk/sciencetech/article-1265949/Mixed-race-people-attractive-finds-British-study.html|혼혈을 더 매력적으로 선호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데 출처가 [[위키백과]]에서 근거로 제시하는 것을 금지하는 [[유사과학]]과 사이비 의학, [[가짜 뉴스]]로 유명한 [[황색 언론]]인 [[데일리 메일]]이니 조심해서 보자. 혼혈아는 (한국 기준으로) 대개 부모가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살았으므로 더욱 다양한 [[문화]]를 접하게 된다. 어릴 때부터 2개 국어를 익힌다든지, 다른 나라의 문화가 일상에 스며들어 있다든지. [[복수국적]]과 두 나라의 이름을 갖는 경우도 흔하다. 자세한 내용은 [[TCK]] 문서로. 아주 먼 [[미래]]에도 인류가 존재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혼혈일 것이라는 주장도 심심찮게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다인종 국가인 [[미국]]의 경우에는 [[백인]]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으며 혼혈 수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서 머지않아 인종 간 구분의 소멸이 예상된다고 한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1008018003|#]] 하지만 사람들은 대개 [[경로 의존성]]을 가지고 있고 혼혈이 흔하지는 않은 국가들에서는 대체로 그 나라 안에서 같은 민족의 [[배우자]]를 만나는 경향이 있으며 [[순혈주의]]나 인종에 따른 [[우월 의식]]을 가진 극단적인 이들도 있기 때문에 범세계적 혼혈이 어떤 속도로 진행될지는 미지수이다. 네안데르탈인의 선례를 생각해 보면 결국 환경에 적응한 형질만 선택되다 보니 지역별로 재분화되면서 완전한 균일화는 불가능할 듯하다. [[황인]]과 [[흑인]], 황인과 백인의 혼혈 1세대는 황인의 특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금발벽안 같은 밝은 색상보다는 흑발, 갈발 같은 멜라닌이 많은 유전자가 우성이다.] 모델 한현민이 그 예시다. 물론 케이스 바이 케이스라서 황인의 특징이 강하게 나타날 때도 있고 둘이 적절히 섞일 수도 있다. [[샘 해밍턴]]의 두 아들 [[윌리엄 해밍턴|윌리엄]]과 [[벤틀리 해밍턴|벤틀리]]는 백인의 특징이 많이 보이지만 피부색에서는 황인의 특징이 조금 보인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