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헌혈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전혈 헌혈 === [[파일:external/media.moddb.com/IMG_1271.jpg]] [[https://www.moddb.com/groups/solar-reactor/images/blood1|출처]] 전체 헌혈 중 약 7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헌혈로, 헌혈 버스에서 이루어지는 헌혈도 이것이다. 백혈구[* 백혈구는 수혈자의 면역 체계를 자극하기에 채혈 현장에서 필터(위 사진에서 관 중간에 끼워진 분홍색의 동그란 플라스틱)로 거르거나, 일단 채혈하고 차후 혈액원에서 별도로 여과하기도 한다. 그렇게 거치더라도 림프구는 남을 수 있기에 방사선으로 림프구를 파괴하는 작업도 거친다. 적혈구와 혈소판에는 핵이 없으므로 방사선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를 제외한 혈액 전부를 뜻한다. 채혈량은 320mL와 400mL의 2가지가 있고, 직접적인 채혈 시간은 5분 ~ 10분, 문진과 휴식 시간 포함 30분 ~ 40분으로 성분 헌혈에 비해 매우 짧다. 바늘을 삽입하고 있는 시간도 짧고, 성분 헌혈과 달리 혈액이 나오기만 할 뿐 도로 들어가지 않으므로 혈관에 주는 부담은 적다. 대신 헌혈도 결국엔 출혈이며, 단시간에 적지 않은 혈액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성분 헌혈에 비해 신체적인 피로는 크다. 모든 헌혈이 다 그렇지만 전혈 하고 나서는 더더욱 무리해서는 안 된다. 전혈 헌혈을 하고 나면 8주 이후에 다시 헌혈 가능하며, 1년 이내 최대 5번까지만 가능하다. 이는 혈액의 철분 회복 주기를 고려해 헌혈량을 제한하기 때문. 성분 헌혈(2주)에 비해 헌혈 주기가 매우 길기 때문에, 헌혈을 자주 많이 하려는 사람이라면 아래의 성분 헌혈을 알아보는 게 좋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971721&memberNo=5565159|헌혈을 다룬 네이버 포스트]]에 따르면 400mL의 전혈 헌혈을 1회 실시할 때, 여성은 213mg, 남성은 236mg의 [[철분]]이 소모된다. 손실된 철분이 정상 수치로 되돌아오는 데는 평균적으로 50일 정도가 걸리기에 8주 주기로 전혈 헌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의료기관에서 전혈을 수혈하는 경우는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6444|극히 제한적]]이며 대부분 적혈구를 수혈하는데, 현재 한국에는 적혈구 성분헌혈이 존재하지 않으며 전부 전혈에서 분리한 농축적혈구를 사용하기에 결국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용도로 쓰이는 것이 맞다. 헌혈한 혈액백을 그대로 수혈하는 것이 아닐 뿐이다. 전혈에서는 적혈구 외에도 여러 성분을 얻을 수 있는데, [[혈액원]]에서 성분별로 분리한 후 혈액제제 형태로 가공한다. 전혈은 혈액의 모든 성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농축 적혈구, 농축 혈소판, 신선동결혈장 등 [[https://www.bloodnet.or.kr/%ED%95%9C%EB%A7%88%EC%9D%8C%EC%A7%80%EC%8B%9D/%ED%97%8C%ED%98%88%EC%9D%B4%EB%9E%80/%ED%98%88%EC%95%A1%EC%A0%9C%EC%A0%9C/|무궁무진한 종류의 혈액성분제제로 분리되어]] 수혈에 사용되고, 혈장제제는 수혈 외에도 의약품 생산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설령 부적격 혈액으로 분류되어 폐기된다고 해도 [[https://bloodinfo.net/knrcbs/cm/cntnts/cntntsView.do?mi=1151&cntntsId=1026|연구용 혈액]]으로 공급되어 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320ml 전혈 헌혈은 16세부터, 400ml 전혈 헌혈은 성분 헌혈과 마찬가지로 17세부터 가능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