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한성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조선 후기~대한제국 === [[1751년]]([[영조]] 27년)에 동부 12개 방에서 연희방·천달방·덕성방·서운방·관덕방·흥성방 6개 방이 폐지되었고 남부에 정심방, 예성방, 성신방 3개 방이 폐지되고 둔지방(屯芝坊), 한강방(漢江坊), 두모방(豆毛坊)으로 다시 나누었다. 서부에 신화방을 폐지하고 용산방(龍山坊)과 서강방(西江坊)을 신설하여 8개 방에서 9개 방이 되었고, 북부에 명통방을 폐지하여 9개 방에서 8개 방이 되었다. 따라서 동부 6개, 남부 11개, 서부 9개, 북부 9개, 중부 8개, 총 43개 방이 되었고, [[1788년]]([[정조(조선)|정조]] 12년)에 동부에 경모궁방(景慕宮坊)을, 북부에 연은방·상평방·연희방 3개 방이 신설되어[[https://sillok.history.go.kr/id/kva\_11210016\_002|#]] 총 44개 방이 되었으나, 경모궁방은 갑오개혁 때에 폐지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성부 북부 관아와 건춘문1 (2).jpg|width=100%]]}}} || ||<bgcolor=#c00d45> '''{{{#f0ad73 1884년 한성부 북부관아와 건춘문 }}}''' || [[1895년]] [[6월 23일]]에는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기존의 [[도(행정구역)|8도]]를 폐지하고 [[23부제]]가 실행하였다. 한성부는 기존 한성부 지역과 [[고양시/역사|고양군]], [[파주시|파주군]], [[교하동|교하군]], [[적성면(파주)|적성군]], [[양주시/역사|양주군]], [[포천시|포천군]], [[영평군|영평]], [[가평군|가평]], [[연천군|연천]], [[광주군]]를 포함하게 되었고, 구 한성부 지역은 한성군(漢城郡)이 되었다. 동시에 기존의 5부(部)가 5서(署)로 바뀌고 여러 동리가 개편됨과 동시에 지금의 [[광진구]]와 [[면목동]], [[잠실]] 등도 두모방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896년]] [[8월 4일]] 자로 [[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 체제로 전환되며 한성부는 다시 원래대로 돌아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97bae3678fa785b1895d7ec2536c64.jpg|width=100%]]}}} || ||<bgcolor=#c00d45> '''{{{#f0ad73 한성부 돈화문 대로와 집집마다 걸린 태극기 }}}''' || >서울은 본모습이 점점 부서져 내리는 베이징이나 희석되어 특징이 없어진 도쿄보다 훨씬 더 매력적이다. 서울 거리에서 보는 삶의 색깔들은 베이징보다 훨씬 다채롭고, 그 형상은 도쿄보다 훨씬 순수하다. >---- >Siegfried Genthe, Korea: Reiseschilderungen 227p 1896년 9월 30일 당시 내각총리대신이었던 [[박정양]]의 명의로 한성부 주요 도로, 정확히는 종로와 남대문로를 중심으로 치도사업을 시작했다. 이는 한성부 판윤이었던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194|이채연]]의 주도 하에 벌어진 것으로, 도로 주변에 가설치된 불법 건축물인 가가 때문에 도로를 지나가기 힘든 지경에 이르자 이를 말끔히 정리하기 위한 것이었다. 도로의 규격은 55척으로 정했으며 도로 양편에 남은 땅은 백성들이 임시로 집을 지어 살 수 있게 해주었다. 이는 당시 활발히 벌어지던 한성부 도시개조사업의 일환으로 벌어진 것이었으며, 고종이 거주하는 경운궁 근처 도로들에 대한 정비도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경운궁과 남대문로를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공로]]가, 종로와의 연결을 목적으로 덕수궁길(덕수궁 돌담길)이 보행자용으로 신설되었다. 또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들에 대한 가도 정비도 이루어져, [[북촌]], 즉 지금의 가회동과 삼청동 지역 및 정동, 구리개길(을지로), 남대문 주변 도로들이 그 대상이 되었다. [[파일:5D3E462B-4889-4275-8A76-E8893CF95B3A.jpg]] 이러한 일련의 도시정비사업은 박영효, 김옥균 등 급진개화파들이 처음 주장했고 실제로 이를 주도한 박정양, 이채연 등도 독립협회와 관련이 깊은 개화파였으나, 무엇보다도 근본적으로 고종의 지지와 추진력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고종은 칭제건원 이후 지은 환구단을 한양의 새로운 중심으로 정하고 여기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도로 체계를 기획했다, 이는 고종이 새롭게 기거하기 시작한 경운궁의 위상 상승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또 근처에 독립문 건설을 허가함으로서 대한제국이 자주국임을 알리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한양개조사업은 ①도로 및 하천 정비 ②새로운 중심 건축물 축조 ③공원 조성 ④서구적 시설 도입 ⑤산업지역 설정의 다섯가지 목표를 설정했다[* 이태진, 2000, 「대한제국의 서울 황성 만들기-최초의 근대적 도시개조사업」,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먼저 도로ㆍ하천 정비는 서울 안팎의 간선도로 정비와 은구(隱溝) 설치, 방사형 도로망 건설을 통해 이루어졌다. 종로ㆍ남대문로 등 기존 간선도로의 가가(假家)를 정리하여 본래의 모습을 회복하고, 남대문과 용산, 새문과 삼개, 염창교와 삼개를 연결하는 도로를 정비했다. 이것은 도성과 상공업지대를 연결하려는 시도였다. 한편 경운궁 대안문을 중심으로 한 방사형 도로망이 건설된 점도 중요하다. 방사형 도로망 체계는 근대 서유럽 국가들이 주로 활용하던 도시계획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성부와 외국인 고문관이 함께 서소문 일대를 측량했다는 『독립신문』 기사를 보면 이는 분명해 보인다. 다음으로 중요한 점은 공원 조성이다. 독립문과 함께 만들어진 독립공원이나 대한제국 정부 주도로 조성한 탑골공원이 대표적인 사례다. 대한제국기에 공원이 조성된 사실을 근거로 서울개조사업의 모델이 어느 도시인지를 추론할 수 있다. 서울개조사업에는 방사상 도로를 전제로 한 공원 조성까지 계획됐다. 사업을 주관한 박정양이나 이채연은 모두 미국 워싱턴에서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워싱턴은 방사상 도로망과 함께 공원을 많이 조성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런 점에서 대한제국의 서울개조사업은 워싱턴시를 모델로 삼았을 가능성이 높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369c9ef544eacbd503df2d7e8067e23.jpg|width=100%]]}}} || ||<bgcolor=#c00d45> '''{{{#f0ad73 한성전차 선로와 돈의문 앞 태극기 }}}''' || 서울을 근대적 도시로 개편하려는 가운데 서구적 시설들이 도입되기도 했다. 고종황제는 미국의 콜브란ㆍ보스트윅과 공동출자 형식으로 한성전기회사를 세워 이 회사가 전차ㆍ전등ㆍ수도ㆍ전화 등을 관리하도록 계약했다. 한성전기회사 출범 이후 서울에는 전차가 개통되고 전등이 부설되는 등 적지 않은 변화를 겪었다. 다만 왜 미국과 계약했는가 하는 의문이 남는다. 그 이유는 사업 주체들이 미국에서 근무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외에도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바로 철도다. 고종은 전차와 철도를 연결하여 ‘서울의 교통체계를 전국 교통체계에 연결’하려고 했을 뿐 아니라 경원선 경의선 경인선 등 다양한 철도를 개발함으로써 서울을 ‘산업의 중심지로 삼는다는 목적의식’을 보였다. 아울러 용산은 공장지대로 개발함으로써 전환국ㆍ인쇄국ㆍ양잠소ㆍ한성전기회사 발전소 등 다양한 관영 산업시설이 들어섰다. 한편으로는 산업의 유통과 확대를 위해 도시 경제의 주요 거점이었던 마포와 용산을 [[서대문역(폐역)|서대문역]]을 중심으로 잇고자 했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nopad> [[파일:A1692193366447215082.png|width=100%]]|| [[경술국치]] 이후인 [[1910년]] [[10월 1일]], 한성부는 [[경기도]]로 편입되며 이름을 경성부(京城府)로 바꾸고 장관직은 한성부판윤에서 경성부윤(京城府尹)으로 바뀌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