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폴란드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폴란드/경제|경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폴란드/경제)] 폴란드는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와 함께 [[비셰그라드 그룹]](Visegrád Group)이라 하여 지역협력기구를 창설했는데, 이 네 나라는 옛 공산권에서 체제 전환을 경험한 나라들 중 가장 성공적으로 시장경제를 받아들이고 성장을 이루었다고 평가받는다. 역시 비교적 성공한 사례들 중 [[발트 3국]]은 인구가 적은 편이고, [[러시아]]나 [[카자흐스탄]]은 천연자원 위주 경제인 반면, 비셰그라드 그룹은 인구도 적지 않고[* 비셰그라드 네 나라의 인구는 6천만 명 가량으로서 독일을 제외한 다른 EU 대국들에 견줄만 하고 EU 총인구의 약 12%를 차지한다.] [[제조업]] 위주 경제구조로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쟁력을 갖추었다고 여겨진다. [[중진국 함정]] 탈출 가능성이 있는 국가들 중 하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3년]] 기준으로도 [[서유럽]]/[[북유럽]] 국가들에 비해 소득수준이 낮은 편이다. 대략 [[대한민국|한국]]의 절반 정도. 비셰그라드 그룹 중에서도 명목 소득이 가장 낮다. 주변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고 [[유럽연합]]으로 묶인 덕에 국민들의 노동 이주가 쉬우며, 소득 수준이 높은 [[서유럽]], [[중부유럽]], [[북유럽]] 등지로 가서 일하고 있다. 그래도 [[중국]]보다 조금 낫고 [[멕시코]]와 비슷하던 시절도 있었던 데에 비하면 엄청나게 따라잡은 것이다. 사실상 [[헝가리]]와 함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경계선 역할을 하는 나라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옛 동구권 국가들처럼 [[출산율]]이 1.3명대에 불과해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그래서 2020년대가 되면 노동력 부족 현상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로 인해 옆 나라인 [[우크라이나]] 등지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거 들이고 있으며 [[동남아]] 등 아시아계 이민자들도 받아들이는 추세다. 유럽 연합에 속하지만 유로를 쓰지는 않는다. Złoty([[즈워티]])라는 화폐를 사용하며, [[폴란드어]]에서 즈워티는 황금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