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통계학
(r4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사회과학 === 통계학은 [[사회과학]]에 있어 사회통계 및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이용된다. 영어이름부터가 State의 학문으로, 국가에 관한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몇천만에서 몇십억을 다루는 통계를 연구하는 통계학은 태생적으로 사회과학과 떼어놓을 수 없다. 실험분석이나 자료해석이 필요한 연구분야에서 논문을 쓰려면 통계 지식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논문은 통계 분석을 거쳐 논문의 결론을 제시하는 구조다. 따라서 대학원 진학시에는 기본적인 테이블 결과 해석 정도는 할 줄 알아야 하며, 최소한 기초통계학과 회귀분석에 대한 지식을 마련하는 것이 연구에 직/간접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자기 연구에 통계를 직접 써먹고 싶다면 [[SPSS]], [[SAS(통계)|SAS]], [[Stata]], [[R]], [[MATLAB]], JAMOVI 등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다루는 법도 배울 필요가 있다. 엑셀 함수(trend, slope, linest 등) 및 데이터분석 메뉴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지원한다. 특히 [[경제학]]에선 통계학이 빠질 수 없다. 통계를 다루는 주무부처인 대한민국 [[통계청]]부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나 [[행정안전부]]가 아닌 [[기획재정부]]의 외청이다. 학계에서도 완전히 이론적인 모형을 다루는 일부 전공[* 주로 [[미시경제학]], 그 중에서도 게임이론과 같은 통계와 직접 관계없는 연역 모델링을 하는 사람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물론 이것도 데이터를 돌리지만 않는 것이지 확률의 개념은 거의 모든 미시이론에 들어가 있으며, 같은 미시라도 응용성이 조금만 가미되면 현실의 데이터를 무조건 들여다봐야 한다.]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세부전공에서 끼고 사는 것이 데이터와 통계학이며, 실무에서는 중급 이상의 통계학 이론은 그렇게까지 강조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의 데이터를 직접 돌리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경제학에서 쓰이는 통계학을 [[경제통계학]](Statistics for Economics / Economic statistics) 혹은 [[계량경제학]](Econometrics)이라고 부른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