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테라리아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마인크래프트와의 관계 == 무한히 큰 월드로 인해 모험, 대규모 건축, 생존에 초점을 맞춘 마인크래프트와 달리, 테라리아는 전투와 사냥, 보스 레이드, 랜덤 이벤트 등에 신경을 많이 썼기 때문에, 테라리아만의 고유한 특색이 매우 강하다. 이 때문에 별개의 게임임이 확실히 보일 정도로, 두 게임의 시스템은 서로 다르다. 마인크래프트 제작팀과 테라리아 제작팀은 우호적인 관계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다. [[마인크래프트]]로부터 영향을 받은 부분이 많으며,[* 특히 [[테라리아/아이템/치장품#크리퍼 코스튬|크리퍼 코스튬]]의 경우는 공식적으로 [[마르쿠스 페르손|노치]]의 허락을 받고 출시되었다.] 제작진도 이를 인정했다. 반대로 마인크래프트 제작진 역시 [[위더]]의 소환법에 있어서 테라리아의 영향을 받았다. 재미있는 점은 게임의 "발매일" 자체는 테라리아가 마인크래프트보다 더 빠르다는 것. 이것은 마인크래프트의 개발 기간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발매일은 둘 다 2011년이지만 마인크래프트는 2009년부터 개발되어 왔고, 이후 테라리아에 영향을 주었다. 국내에서 2D 마인크래프트라고 종종 불리는 이유는 아프리카 BJ들의 홍보성 표제와 마인크래프트가 좀 더 인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테라리아의 콘텐츠 유사성이 마인크래프트와 자연히 비교되면서 아류작으로 취급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컨텐츠양으로 따지면 테라리아가 마인크래프트보다 10배는 많다.[* 사실 이는 어찌 보면 당연한 게, 마인크래프트가 흥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한한 월드에서 나오는 어마어마한 자유도, 그리고 알파 버전부터 개발된 [[마인크래프트/모드|모드]]로 대표되는 가히 압도적인 양의 유저 콘텐츠가 있었기 때문이다. 테라리아는 마인크래프트 만큼의 자유도와 유저 콘텐츠를 가지진 못했지만 게임 자체의 컨텐츠가 매우 많다. 두 게임의 추구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것.] 물론 여러 업데이트를 거쳐서 마인크래프트와는 완벽하게 다른 개성을 지닌 게임이 되어 아류작으로 비판하는 사람들도 적어졌다. 각 게임의 제작진끼리는 서로 친밀해 Re-Logic에서는 테라리아 화면의 제목 옆에 'also try minecraft'(마인크래프트도 해 보세요)라는 문구를 삽입하기도 했으며, 모장 역시 'also try terraria'(테라리아도 해 보세요) 라는 비슷한 스플래시 문구를 마인크래프트 메인 화면에 넣은 적이 있다.[* 팬덤 또한 이에 따라 서로 굉장히 돈독한데, 그냥 둘 다 재미있으니 해보라고 하는 팬덤이 대다수다. 하지만 몇몇 극성 팬덤들은 여전히 치고박고 싸우고 있기도 하다.] 1.4.1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크레딧의 Special Thanks 부분에 [[마르쿠스 페르손|노치]]의 이름이 추가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