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키노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빅토르 초이의 사망 및 밴드 해체 === 신작 앨범의 녹음이 얼추 마무리된 1990년 8월 15일[* 알다시피 이 날은 한국의 광복절이기도 하다. 시기가 묘한데, 참고로 한소수교는 이로부터 약 1달 뒤인 1990년 9월 30일 이뤄진다.], '''[[빅토르 초이 의문사 사건|자차로 낚시를 하고 돌아오던 빅토르 초이가 버스와 충돌하며 사망]]''한다. 이에 당시 [[소련]]은 [[충격]]에 빠진다.[* 이 사건에 [[KGB]]가 연관되어 있다는 [[음모론]]이 있다. [[빅토르 최 의문사 사건]] 참고.] 같은 해 12월, 키노의 나머지 멤버들과 프랑스 스튜디오의 인원들[* 1989년 키노는 프랑스의 발 도르주(Val d'Orge) 스튜디오에서 리믹스 앨범 '마지막 영웅'을 녹음했는데 이 인원들이 마지막 앨범의 녹음을 마무리했다. 초이 사망 전부터 이 프랑스 인원들과 합작할 것이 예정되어 있었다.]이 손을 본 앨범이 발매된다. 공식적으로 이 앨범은 제목이 없는데, 이름이 필요하면 "키노"라고 부르거나[* 구리야노프 등 키노의 나머지 멤버들은 이 앨범을 굳이 부를 필요가 있을 때 "키노"라고 부르자고 말한 바 있다.] 올블랙 앨범 커버에서 따와 '검은 앨범(Чёрный альбом)'이라고 부른다. 원래 앨범 제목과 앨범 아트 또한 초이의 몫이었는데 결정하기 전 사고를 당했으니 미정으로 남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후 나머지 멤버들과 초이의 관계자들은 키노의 해체를 선언하는 기자회견을 가지고, 키노는 막을 내린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fff,#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dZ3_82pUmQ, 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mlRSWDUhZc, width=100%)]}}} || ||<bgcolor=#000> {{{#ffffff 2015년 유-피테르의 공연 영상. 연주곡은 키노의 대표곡인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Звезда по имени Солнце)'. 노래 부르는 사람이 부투소프.}}} ||<bgcolor=#000> {{{#ffffff 영화 '이글라 리믹스'에 삽입된 유-피테르의 곡 '시간의 아이들(Дети минут)'. 곡은 부투소프가 썼으며, 가사는 초이의 유고에서 가지고 왔다.[* 초이가 남긴 원고를 보면 멜로디를 붙이지 않은 가사들이 많이 남아 있다. --가사와 별개로, 해당 곡의 리듬이나 멜로디가 나우틸루스 폼필리우스의 또다른 곡 '[[https://www.youtube.com/watch?v=2Bv2KQrgt70&list=PLj0_J--B_sY6g3QISBOupRrNYL2Q7vmvg&index=3|물 위를 걷다(한국어 자막 포함]])'의 자기표절이라는 평도 찾아볼 수 있다--]}}} || 기존 멤버들 중 이고르 티호미로프와 게오르기 구리야노프[* 구리야노프는 이후 미술가로 활동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신 미술 아카데미에서 1993년부터 명예 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동성애자(혹은 동성애적 성향을 가진 사람)였기에 그의 그림에서는 동성애적 성향이 간간히 드러나는 편이다.]는 음악활동을 접었으며, 유리 카스파랸은 1997년부터 다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했고. 2001년에는 러시아의 또 다른 전설적인 락밴드 '[[나우틸루스 폼필리우스]](Наутилус Помпилиус)'[* 1983년부터 1997년까지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를 중심으로 활동한 포스트 펑크/뉴웨이브 계열 락밴드. 영화 [[브라트(영화)|브라트]] 1편의 OST 대부분을 맡은 걸로 유명하며, 영화에 리더 부투소프가 출연하기도 했다. 대표곡으로 '굿바이, 아메리카(Гуд-бай, Америка)' 등이 있다.]의 리드싱어 뱌체슬라프 부투소프와 함께 그룹 '유-피테르(Ю-Питер[* 러시아어로 목성을 의미한다.])'를 결성, 음악 활동을 재개했다.[* 이들은 키노 및 나우틸루스 폼필루스 당시의 노래들과 자작곡들을 공연했으며 2017년 활동을 중단했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50><table bordercolor=#000><bgcolor=#ffffff,#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K_bbH2AFFrc, width=100%)]}}} || ||<bgcolor=#000> {{{#ffffff 2012년 '아타만(Атаман)' 뮤직비디오.[* 후기 키노의 나머지 멤버들이 다시 모였으며, 인상적인 인트로 기타 부분은 카스파랸이 직접 작곡한 부분이다. 스튜디오 밖 조정실에 있는 사람(팔에 문신이 새겨진 사람)이 빅토르의 [[아들]]인 알렉산드르 초이.]}}} || 이후 2012년, 빅토르 초이의 50번째 생일을 맞아 밴드는 잠시 재결성해 미공개곡 '아타만(Атаман)'을 공개하였다. '아타만'은 원래 '검은 앨범'에 들어가려던 음악인데, 초이가 스튜디오 녹음을 하지 않아[* 곡은 완성이 되었으나, 당시 레닌그라드의 동료 음악가였던 킨체프(락밴드 "알리사"의 리더)의 스타일과 너무 흡사하다고 판단해 스튜디오 녹음을 유보했다고 한다. 초이와 킨체프는 서로 친한 사이였으며, 서로 음악에 영향을 주고받던 사이였다고 한다.] 실리지 못했으나 남은 멤버들이 편곡을 거쳐 공개하였다. 편곡이 되지 않은 어쿠스틱 버전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이후 2018년 12월 마시나 레코드(Maschina Records)에서 싱글 앨범 '아타만'을 발매하며 공개되었다. 이후 2013년 7월 20일, 드러머 게오르기 구리야노프가 C형 간염 및 췌장암 등의 질병으로 52세에 사망한다.[* 여담이지만 그의 사망 몇 주 전 러시아에서는 동성애를 처벌할 수 있는 법이 통과되었다.], [[유리 카스파랸]]이 소속된 유-피테르도 2017년 활동 중단을 선언한다. [youtube(DhEoT7TKKHQ)] 드러머 게오르기의 하관 영상. 배경 음악은 [[Группа крови|앨범 혈액형]]에 수록된 'Спокойная ночь'의 피아노 버전이다.[* 1분 1초 즈음에 나오는 선글라스를 착용한 사람이 유리 카스파랸이고 그 옆에 있는 사람은 이고리 티호미로프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