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키노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여담 == * [[파일:TSOY_ZHIV.jpg]] [[모스크바]] [[아르바트 거리]]에는 [[빅토르 초이]]와 키노를 위한 일명 '초이 벽(Стена Цоя)'이 있다.[* 초이의 고향이기도 한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다른 도시에도 있는데, 아르바트 거리의 벽이 제일 유명한 편이다.] 초이가 사망한 당일(1990년 08월 15일) 이 벽에 누군가 '오늘 초이가 죽었다(Сегодня погиб Виктор Цой)'라고 적어놨는데, 이 아래 다른 사람이 ''''초이는 살아있다(Цой жив)!' '''라는, 훗날 초이의 상징이 될 문장을 적어놓은 게 시작이었다.[* 오늘날에도 그의 팬들은 온오프라인에서 그의 음악이 울려 퍼질 때마다 '초이는 살아있다'는 문구를 [[관용어]]처럼 거론한다.] 사족으로 이 곳을 방문할 때 그의 팬들은 [[담배]]를 하나 들고 가서 아래 배치된 재떨이에 반쯤 피운(혹은 반으로 부러뜨린) 불 붙은 담배를 두고 가는 게 전통이라고 한다.[* 왜 담배인지는 모르겠으나, 초이 벽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벽에 '담배 한 갑(Pachka Sigaret)' 가사가 그라피티로 자주 그려진 것에 대한 오마주일지도? 아니면 생전에 [[빅토르 초이]]가 엄청난 [[골초]]였기 때문에 그를 추모하는 의미에서 그런 것일수도 있다. 그가 출연한 영화인 [[이글라]]에서도 허구헌 날 빅토르가 담배를 태우는 장면이 나온다.] * 키노와 키노의 리더였던 [[빅토르 초이]]는 서로 뗄 수 없는 관계고, 나무위키에서 두 문서는 내용이 서로 섞여 있거나 연결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빅토르 초이]] 문서도 같이 읽는 걸 권한다. * 대체역사물인 [[일 베티사드]]에서는 소련의 위치를 대신한 백군이 승리한 러시아계열 대국인 SNOR에 저항하는 밴드인 [[http://ib.frath.net/w/NoMoreEagleZ|NoMoreEagleZ]]로 바뀌었다. * 조선일보 보도에 의하면 김정일은 생전 소련의 붕괴 이유 중 하나로 락 밴드 키노가 소련 젊은이들을 동요시켰기 때문이라고 믿었다고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빅토르 초이의 사망과 키노의 해체 1년 후 소련은 붕괴했다. 물론 북한 관련해선 현송월 처형설 등 틀린 기사도 많이 싣는 조선일보인만큼 걸러 들을 필요는 있다. * 빅토르 최와 키노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레토(영화)|레토]]가 2018년 개봉하여 2018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경쟁후보작까지 오르기도 했다. 빅토르 최 역할은 한국배우 [[유태오]]가 맡아 열연을 펼쳤다. 다만 항목에도 있듯 사실과는 다른 영화적 전개도 있으니 관람시엔 유의해서 볼 필요는 있다. * 서구권이나 아시아에서는 반전노래로 알려진 '[[Группа крови(노래)|혈액형(Группа крови)]]'이 키노의 가장 유명한 곡이라 해도 무방하지만, 2020년대 들어 반정부 시위가 일어나는 [[러시아]]나 [[벨라루스]] 등 구소련 소속 국가였던 곳에선 '[[https://www.youtube.com/watch?v=YV1Bw0oTMsM|변화를 원한다(Хочу Перемен)]]'가 [[민중가요]]로 유명하다고 한다.[[https://jinkorea.kr/news/view.php?no=4897|#]] * 2019년 빅토르 초이의 고향인 상트페테르부르크 팰리스 광장에서 '키노'의 음악을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협연 공연이 있었다. 기타 파트는 멤버 [[유리 카스파랸]]이 연주했으며, 빅토르 초이의 아들인 알렉산더 초이도 영상 시퀀스 제작에 참여했다. [youtube(Nby59SRBy44)] * 카고첼이라는 러시아 제약회사 측의 이벤트로 키노의 곡인 '네 여자친구가 아플 때'가 사용되었다. 곡에 맞춰 실제로 아픈 여자친구를 위해 남자친구가 이벤트를 열어준다는 방식. 곡 후반부에 검은 선글라스를 쓰고 나타나 흰색 [[Jazzmaster]] 기타를 들고 독주하는 사람은 키노 멤버 유리 카스파랸이다. [youtube(4GdkZw7Hbz0)] * 2020년대에도 [[러시아어]]권에선 키노의 노래를 [[커버]]한 영상들을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심지어 길거리 영상 중엔 어린이가 부른 커버 영상도 있다. [youtube(x12ktdPw4nc)]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키노(밴드), version=204, uuid=26fe3819-06ea-49c3-b78d-07c897d52f03)]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