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쿠데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여담 == * 국가 / 정부의 중추만을 공격하여 들어엎었기 때문에 파급력에 비해 실제 쿠데타에 동원되는 병력은 그리 많지 않은 경우가 많다. 성패가 결정되는 시간도 기껏해야 하룻밤 정도. 그 이상이 되면 좌절하거나 [[역사]]에 쿠데타가 아니라 [[내전]]이란 이름으로 남게 된다. 교과서적인 경우가 처음에는 쿠데타로 시작해, 국토의 반쯤은 장악했으나 수도를 비롯한 나머지 핵심 지역 장악에 실패해, 3년간 기나긴 피비린내나는 [[내전]] 끝에야 전국을 장악했을 때는 이미 쿠데타 세력의 구성도, 목적도 확연하게 변해 있었던 [[스페인 내전]]이다. 6개월 정도 걸린 대한민국의 [[12.12 군사반란]]이 '''세계에서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린 쿠데타'''라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니다.[* 이건 정권 장악까지 걸린 시간이 6개월이라는 것이지 실제로 쿠데타가 6개월이 걸렸다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12.12 사태 당시 군부의 장악에 걸린 시간은 불과 10시간 정도였다. 12.12 사태의 결과는 군부의 장악에만 제한되어 있었으며 실제로 정권을 완전히 장악하기 위해 [[5.17 내란]]을 또 일으켜야 했다.] * 위험성면에서 본다면, 당연히 반란군과 진압군 사이의 전투도 위험하지만, 사실 일개 보병으로서는 결국 쿠데타 세력도 조금 전까지는 정부군 또는 세력의 일부였다는 점이 정말 위험하다. '''[[피아식별]]이 안 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특제 전투복이라도 만들면 당연히 도중에 들킨다. 그래서 쓰는 방법이 그냥 사단 하나를 통째로 빼돌려서 "X, Y, Z사단 빼곤 다 적이다!"로 단정하거나, 원래는 안 쓰는 아이템(예: 완장[* 5.16 쿠데타 당시 박정희는 쿠데타군 팔에 혁명군이라는 검은 글씨가 쓰여진 하얀 완장을 메게 하였다.], [[머리띠]][* [[여수·순천 10.19 사건]] 때 진압군의 방탄모에 하얀띠를 두르게 하였다.] 등)을 착용시키거나 반대로 빼도 되는 장비를 빼는 방법을 택한다. * 《[[공수부대]] 이야기》라는 책에는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1공수여단의 모 [[원사(계급)|원사]]가 갑자기 한밤중에 비상이 걸려서 '''"뭥미? [[북한]]이 쳐들어온건감?"'''하고서 갔더니[* 지금 보면 우스운 이야기지만 1970 ~ 1990년대까지만 해도 [[북한]]에 대한 공포심은 어느 정도는 정부에서 부채질했던 것을 감안해도 현재로서는 짐작하기 어려울 정도로 컸다. 70년대까지만 해도 휴전선 일대에서는 크고 작은 교전이 끊이지 않았다. 어느 정도였냐면 일부 학자들은 한국 전쟁의 연장선인 DMZ 분쟁으로 묶어서 취급할 정도다. 심지어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1990년대 중반에는 정말로 직접 북한 전투부대가 침투해서 국가 전체에 비상이 걸리기도 했다.]] 당연히 그만큼 특전사의 대간첩작전도 잦을 수밖에 없었다. 그걸 감안하면 저런 반응은 그리 이상한게 아니다. [[평화의 댐]] 같은 사기극이 먹혀들 수 있었던 데는 이런 배경이 있었다.] 그 날은 [[12.12 군사반란|1979년 12월 12일]]이었고 그들은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에 도착했던 것이다. 이렇듯 부대원들에게는 쿠데타 측에서 거사직전까지 전혀 낌새를 주지를 않는다. 병사들중 누군가 기무부대에 편지나 전화 한통 때리면 그대로 [[GG]]니까.[* [[12.12 군사반란]]은 좀 특수한 사례다. 군부 쿠데타를 막아야 하는 기관이 오히려 군부 쿠데타를 일으킨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전국 각지의 부대에 죄다 [[하나회|전두환 사람들]]이 주요 직위자로 박혀있었기 때문이었고 특히 [[특전사]]는 사령관만 [[정병주]]였지 휘하 여단장들이 싸그리 전두환 사람들이었으며 9사단은 숫제 [[전두환]]의 친구인 [[노태우]]가 사단장이었다. 박혀있는 인간들이 모조리 한 패였기 때문에 군부 쿠데타를 막아야 하는데도 그걸 지휘하는 사람들이 쿠데타를 일으킨 놈과 한 패라서 되려 다들 도와준 상황이 된 것이다.] 오죽하면 장병들에게 [[스마트폰]]을 지급한 이유가 쿠데타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이유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다. * 쿠데타에 대한 전체적으로 큰 오해가 하나 있는데, 징병제 국가에서는 어려울 것 이라는 주장이다. 한국처럼 고등교육이 기본 전제로 깔려 있어도 쿠데타가 터지는데 징병인지 모병인지는 따지는건 의미가 전혀 없다. 쿠데타 자체가 허술하거나 완벽하거나 아무튼 시작 자체는 국민이건 정부건 상황파악 하기전에 기습적으로 진행 해야하는데, 국민도 모르고 정부도 모르는 쿠데타를 '''동참 하지 않은 징병된 군인들이 그 사실을 이미 알고 있다면 그 시점에서 쿠데타는 끝난거거나, 브레이크가 박살난거다'''. 결국 쿠데타는 결과적으로 국민 설득 이전에 장병들이 이게 뭐하는건지 눈치 챈 시점에서 전부 공범이 되어 있어야 성립되는 면도 있다. 그러면 얼떨결에 참여해버린 징집병들의 선택지는 [[성즉군왕 패즉역적|쿠데타 실패와 위의 법적 면책을 믿고 탈영 혹은 항명, 그딴거 없을거 같으니 쿠데타 성공시켜서 면책되기 등 둘 중 하나만 남게 된다.]] *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는 고대 등장인물이 쿠데타를 '국대타'([[國]][[大]][[打]])로 음차하여 운운하는 개그가 나온 적 있다. 쿠데타의 의미를 생각하면 해당 한자어가 의외로 적절한 번역인데, "나라(國)를 크게 때린다(大打)"는 뜻의 '국대타'는 쿠데타의 프랑스어 원문 뜻인 '나라(État)의(de) 타격(Coup)'과 일맥상통하기 때문. * 비유적 의미로 회사나 단체에서 최상위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아랫사람들에게 끌려 내려가거나 쫓겨나는 것도 쿠데타로 부른다. * [[땅벌]]은 쿠데타를 일으키는 유일한 사회성 곤충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