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케이온!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인기 == 원작의 경우 작가가 [[동인 작가]] 출신에다가 [[4컷 만화]]의 한계인지 전개가 다소 엉성하고, 지나치게 캐릭터성에 의존하는 면이 있어서, 인지도가 높지 않았다. 그러나 쿄애니에 의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이후 인기가 급등해[* 당시 화제의 제작사였던 쿄애니의 애니메이션 제작 발표가 없었다면 그대로 사장될 분위기였다고. 원래 쿄애니는 마이너 작품을 메이저로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여담으로 이 때 애니화의 큰 혜택을 받은 캐릭이 [[아키야마 미오]]로 긴 생머리와 청초한 미인 설정으로 인해 인기가 급증했고 한 때 역사에 남을 고점을 찍었다.] 4권까지 250만 부가 팔렸으며, 초판본은 10배의 프리미엄이 붙는다. 망가타임 키라라도 이전까지는 마이너한 만화 잡지였다가 이 만화로 인해 판매량이 2배로 뛰어올랐다. 만화를 살린 애니메이션의 인기는 2009-2010년 두 해를 휩쓸었다. BD 평균 판매량은 1기 '''43,878장'''[* 이는 쿄애니의 상징인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보다도 많다!], 2기 '''39,519장'''을 기록하며 2년간 판매량 1위를 석권했고, 특히 1기 BD 1권은 초동판매 33,000장을 찍으며 당시 기준 초동판매량 역대 1위에 올랐다.[* 현재 1위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2기 2권의 '''150,390장'''.] 2차 미디어 믹스는 '''누적 판매량 5,600만장'''을 기록했다. 현재까지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단 한 작품]]을 제외하면 쿄애니의 어떤 작품도 케이온 이상의 상업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TVA의 영향이 원작을 아득히 능가하는 상황]]이다 보니 작가도 애니메이션화 이후로는 애니에서 변경이나 추가된 설정들을 원작에서도 따르게 되었고, 캐릭터 디자인도 애니판 디자인에 유사해지는 등 원작이 애니메이션을 따라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케이온은 작품 외적인 요소로도 큰 임팩트를 남겼다. [[인기투표]]와 [[모에 토너먼트]]에서 '''2010년 한 해를 완벽히 지배했던''' 작품이기도 하다. 그 해 1세대 [[최고모에토너먼트|메이저]] [[사이모에 토너먼트|인기]][[국제 사이모에 리그|투표]]를 '''모두''' 케이온이 싹쓸이하며,[* 최모토와 국사모는 미오, 사이모에는 아즈사. 국사모 우승의 경우는 최초의 로열로더 타이틀까지 건졌다.] 총 9관왕의 역사적인 기록을 남겼다. 모토 우승 총합도 '''32회'''[* 미오 V16, 유이 V12, 아즈사 V3, 츠무기 V1. 특히 미오는 단일 캐릭터 기준으로도 '''쿄애니 진영 최다 우승 및 최고 커리어 보유자'''. 2위는 [[오레키 호타로|쿄애니 남주 최대 아웃풋]]과 [[지탄다 에루|미오 다음으로 우승이 많은 여주]] 합산 V28의 [[빙과(애니메이션)|빙과]].]로 쿄애니 작품 중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결정적으로 이후 2010년의 케이온처럼 '''한 해의 모든 __메이저__ 모토를 한 작품에서 휩쓰는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았다.''' 인기 측면의 통일로 자주 비교되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이나 [[기동전사 건담 SEED]]는 아예 모토 태동기 이전의 작품이고. 인기 작품답게 여러 제품들의 광고 모델로도 활약하고 있는 듯하다. 앞선 항목에서 소개된 라데온!도 그렇고 일본 [[교토부]]의 국세조사(国勢調査, 한국의 [[인구주택총조사]])에서 [[http://gall.dcinside.com/list.php?id=ani1_new&no=4662810|홍보대사]]를 맡은 바 있다. 물론 지역 기업에서 만든 애니메이션이기는 하지만, 평균적으로 기업보다 보수적인 공무원 집단에서 벌인 일이라는 점을 주목하자. 헌데 이 포스터의 도난사고가 빈발하고 있다고 한다. 심지어는 도난품이 분명한 이 포스터가 경매사이트에 올라오기까지 했다. 그리고 [[http://good.chuing.me/zboard/view.php?id=aninews&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50|이제는 쌀도 판매한다는 모양이다.]] 판매자는 [[TBS 테레비]].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