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카츄샤(노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여러 가지 음원들 == ||<table align=center> [youtube(vOpOVT5bIdk, width=432, height=240)] || [youtube(3xC5Njniwo0, width=432, height=240)] || || 러시아 & 한국어 버전 || 걸즈 앤 판처 || [[걸즈 앤 판처]]에서는 위에서 보는 것처럼 8화에서 [[현립 오아라이 여학원]]과 [[프라우다 고교]]가 대결할 때 프라우다 소속의 [[T-34-76]] 7대, [[T-34-85]] 6대, [[IS-2]], [[KV-2]]가 눈밭에서 진격하는 씬에서 나오고 이후 [[걸즈 앤 판처 극장판|극장판]]에서도 오아라이 우승 기념 익시비전 매치 때 오아라이&치하탄 학원 연합의 포위를 프라우다 본대가 돌파할 때, 고교 연합군 중 프라우다 고교의 [[T-34-85]] 두 대와 [[KV-2]], [[IS-2]]가 합류할 때 다시 나왔다. [[걸즈 앤 판처 최종장|최종장]]에서도 프라우다 팀이 바이킹 고교를 상대할 때 또 다르게 편곡한 곡이 나왔다. 아무래도 부르는 둘 모두 일본인이다보니 발음은 조금 어색하지만 논나의 성우인 [[우에사카 스미레]]가 러시아어학과 출신에 러시아 덕후라서 그럭저럭 나은 편이다. 한국 [[마이씨앗TV]] 2012년 동시방영 VOD판에서는 음악 사용에 관해 뭔가 문제가 있었던 탓인지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통째로 삭제됐었던 전적이 있었으며, 북미 더빙판에서는 해당 장면의 작화에서 입을 벌리는 장면을 입을 벌리지 않고 나아가는 장면으로 수정한 뒤, 원곡인 카츄샤의 멜로디를 제거하고 [[코로베이니키]] 반주 버전으로 대체하였다. 다만 이후 2018년에 마이씨앗TV에서 해당 작품을 재수입하여 [[애니박스]]에서 방영할 때는 저작권 문제가 잘 해결되었는지 무삭제로 나왔다. 그것도 러시아어 원어 가사와 한국어 번역을 동시에 표기하는 정성까지 들였다. 넷플릭스 한국에서는 나오지 않지만, 넷플릭스 북미판에서는 문제없이 나온다. 2015년 5월 5일, [[MBC 뉴스데스크]]에서 러시아의 [[승리의 날]]에 대해 소개하면서 배경음악으로 [[Soviet March]]와 함께 [[https://youtu.be/pJjvCBzVxt0|깔렸다]].[* 26초부터 [[Soviet March|소비에트 마치]]가 작은 소리로 깔리며, 걸판 버전 카츄샤는 링크 영상의 3분 15초부터 나온다. 3분 46초부터는 현대의 전승기념일 행사 장면에 소비에트 마치가 대놓고 나온다. 제목만 보고 소련/러시아의 합창곡 정도로 착각한 모양이지만, 걸판 버전 카츄샤도 있는 것으로 보아 덕이 많으신 분이 [[MBC/평가|삽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당연히 판덕후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2020년 9월 4일 [[나 혼자 산다]]에도 [[걸즈 앤 판처]] 버전 카츄샤가 재생되었다. [[https://m.youtube.com/watch?v=PIiOkyPFxZ0&t=142s|링크]] ||<width=50%> [youtube(nabYYdQkS58, width=432, height=240)] ||<width=50%> [youtube(Sy1K9U4MJkg, width=432, height=240)] || || 댄스 리믹스 버전. 러시아의 여성가수 [[http://www.varvara-fanclub.ru|바르바라]]가 [[승리의 날]] 기념행사에 선보인 공연. || 러시아 남성 밴드 Челси(첼시로 발음됨)가 2008년 [[승리의 날]] 기념행사에 선보인 공연. || || [youtube(v_yri6KvTbY, width=432, height=240)] || [youtube(_iu2dSeHIBg, width=432, height=240)] || || 1993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알렉산드로프 앙상블]]과 [[Leningrad Cowboys|레닌그라드 카우보이즈]]의 합동공연. || [[크라잉넛]]도 연주했다. 미니 콘서트의 인트로로 쓰였기 때문에 가사는 개사한 걸 사용. || || [youtube(FRESFjASjsQ, width=432, height=240)] || [youtube(9cY2VybnyNE, width=432, height=240)] || || 아코디언으로 연주한 것. 중간에 다른 곡도 조금씩 섞여있다. || Russian [[Nyan Cat]]. 바로 위의 아코디언 연주 버전에서 피치를 내리고 속도를 빠르게 한 것이다. || || [youtube(jzLm2SHn6pA, width=432, height=240)] || [youtube(0dcddz4FZqM, width=432, height=240)] || || 일본의 야구선수 [[니시오카 츠요시]]가 [[치바 롯데 마린스]] 시절에 응원가로 쓰기도 했다. || [[숙명여대]] [[가야금]] 연주단에서도 가야금으로 연주했다.[* 1분 20초부터. 그 전에는 연주되는 음악은 [[만주의 언덕에서]] 이다.] || || [youtube(LKWotstYOFU)] || [youtube(xSjnN39Qhmc, width=432, height=240)] || || [[세묜 체르네츠키]]가 작곡한 '''"<<Марш гвардейцев-миномётчиков>>(근위 박격포병 행진곡, 1943년)"'''으로도 편곡되었다. || 이외에도 게임 등의 OST로 쓰이기도 한다. [[Hearts of Iron 4]]의 DLC No Step Back의 OST중 하나이다. 음은 다른 걸 보니 게임사에서 변형시켜서 더욱 웅장하게 만든 듯 하다. || || [youtube(sYjoGjylRPE)] || [youtube(EQD1bc0DC3U)] || || Фирма Мелодия에서 만든 디스코 버전의 노래이다. || 중세 느낌을 살린 버전. || || [youtube(FkIV4fsagCA)] || [youtube(VIFVbOB9PWc)] || || [[오르골]] 버전. || 러시아 전통 악기인 [[발랄라이카]]와 [[기타]]로 합주한 버전. || || [youtube(7vrVWrjcSR4)] || [youtube(Yf92bKSmlIk)] || || 러시아 승전 퍼레이드 버전. || [[카자크]] 버전. || || [youtube(pdB8aZ_pAL4)] || [youtube(VZec_PqXXzo)] || || 기타 버전. || 오케스트라 버전. || || [youtube(XD7z8VPmPBQ)] || [youtube(kFJMab0Objk)] || || [[핑거스타일]] 버전. || 8bit 버전. || 이외 [[여동생이 만든 괴로운 RPG]]의 시리즈 중 하나인 로리타 공주에도 사용된 적이 있다. [[유리 가가린]]이 죽지 않고 달을 개조해서 지구와 맞짱을 뜬다는 황당한 설정탓에 전투음악으로 사용되었다. [[분류:러시아 노래]][[분류:소련 및 러시아의 군가]][[분류:NHK 홍백가합전 가창곡]][[분류:1938년 노래]]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