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조지아인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문화 == || [youtube(rg8xrdbnH8E)] || || 조지아인의 전통적인 다성음악인 차크룰로(ჩაკრულო)를 소개하는 영상. || 문화적으로 동유럽과 서아시아의 특징이 모두 나타난다. 조지아는 고대부터 그리스, 로마, 동로마와 교류가 많았고 근대에는 러시아의 영향을 받았다. 종교적으로는 [[정교회]]권이기 때문에 동유럽적인 분위기가 더 많이 나지만 동부 지역이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어 페르시아의 영향도 받았다. 때문에 일부 건축[* 비잔틴 양식을 기본으로 하지만 페르시아 건축에서 보이는 특징도 일부 건축물에서 발견된다. 유심히 보면 모스크를 정교회 성당으로 개조한 건물도 많다.], 의상, 회화[* 중세 시기의 조지아 회화는 중동 지역에서 유행하던 세밀화의 영향이 보인다.], [[조지아 요리]]의 향신료등에서 서아시아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유럽 기독교 국가들 중에서 [[성문화]]가 가장 보수적인 나라'''로 유명하다.[* 당연히 [[포르노]] 산업 역시 불법이다.][* 반면 [[이웃나라]] 아르메니아인 여자들은 러시아인들의 시각 기준으로도 성문화가 개방적이라고 한다. 다만 [[아르메니아]] 역시 [[조지아]]처럼 [[포르노]]가 불법이다. 세속적이긴 해도 [[시아파]] 이슬람이 다수인 [[아제르바이잔]]은 말할것도 없다.] 조지아의 젊은 여성들은 보통 남자를 만날 때 '''항상 자기 동성 친구를 같이 데려오는 걸로''' 유명했다. 이는 조지아가 한 때 외부인들을 보기 힘든 산악 지형에 폐쇄되고 고립된 마을이 많다 보니 보수적인 성문화가 자리잡을 수밖에 없었던 환경도 있다. 조지아의 해변에서 비키니 입고 수영하는 사람들은 거의 다 [[러시아인]]이나 [[우크라이나인]]이나 [[벨라루스인]] 아니면 [[이란인]][* 이란 본국의 [[이슬람 근본주의]]에 질려서 일탈하려고 온 관광객들이 많다.] 관광객이라고 보면 된다. 보수적인 성문화가 EU 가입 승인이 지연되는 원인이기도 하다. EU의 평가 기준 중 하나가 인권, 소수자 존중인데 LGBT에 적대적인 조지아의 문화가 EU 가입 심사에 걸림돌이 되어 국내 중요한 정치이슈가 되고 있다. 조지아인들은 조지아가 예술가들이 많은 나라라고 자부심을 갖는 걸 좋아한다. 조지아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순수하게 조지아어로 만들어진 예술 작품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 편이지만 시인 [[쇼타 루스타벨리]]가 유명하며 조지아계 예술가들이 러시아에서 활동하면서 만든 작품들은 꽤 된다. 조지아인들은 [[푸쉬킨]]이나 [[레르몬토프]]를 비롯한 러시아의 유명 작가들이 트빌리시 온천에서 휴양을 즐긴 것을 광고하기도 하는데 아무래도 조지아에 주로 여행 오는 관광객들이 동구권 관광객이기 때문이다. 빠른 속도로 추는 조지아 특유의 전통 무용들과 남성 전통의상인 [[초하]](ჩოხა)가 유명하다. 조지아인의 이름은 유럽 국가들처럼 기독교 기원인 이름들이 많지만 페르시아 기원 이름들도 있다. 이를테면 아프탄딜(ავთანდილ), 안조르(ანზორ), 바두르(ბაადურ), 바흐탄그(ვახტანგ), 자우르(ზაურ), 주라브(ზურაბ), 타마즈(თამაზ), 테이무라즈(თეიმურაზ), 마누차르(მანუჩარ), 무르타즈(მურთაზ), 로스톰(როსტომ), 루수단(რუსუდან), 잔수그(ჯანსუღ) 등이 있다. 조지아인의 성씨는 -제(-ძე), -슈빌리(-შვილი)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제는 -아제(-აძე)나 -이제(-იძე), -슈빌리는 -아슈빌리(-აშვილი)나 -이슈빌리(-იშვილი)로 형태가 바뀌며 쓰인다.] 전자는 서부인, 후자는 동부인들에게 주로 나타난다. 예외로 메그렐인들은 -이아(-ია), 스반인들은 -아니(-ანი)로 끝나는 성씨를 가진다. 이를테면 [[니노 부르자나제]](ნინო ბურჯანაძე; Nino Burjanadze), 미헤일 사카슈빌리(მიხეილ სააკაშვილი; Mikheil Saakashvili), 주라브 주바니아(ზურაბ ჟვანია; Zurab Zhvania), 오타르 이오셀리아니(ოთარ იოსელიანი; Otar Iosseliani) 같은 식이다. [[쇼타 루스타벨리]](შოთა რუსთაველი; Shota Rustaveli), 바자프샤벨라(ვაჟა-ფშაველა; Vazha-Pshavela)와 같이 지명에서 따온 별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조지아계 러시아인]]들도 -시빌리(-швили), -제(-дзе), -이야(-ия)로 끝나는 성씨를 주로 가지고 있는데 이 경우 성씨의 표기나 발음이 바뀌기도 한다. [[이오시프 스탈린]]의 본명인 주가슈빌리(ჯუღაშვილი [d͡ʒuɣɑʃvili])는 [[외래어 표기법/러시아어|러시아어 표기법]]상에서 자음 앞에 오는 ш를 '슈'가 아닌 '시'로 표기하므로 이를 러시아어로 옮긴 표기는 주가시빌리(Джугашви́ли [d͡ʐʐʊɡɐˈʂvʲilʲɪ])가 된다. [[라브렌티 베리야]]도 베리야(Бе́рия [ˈbʲerʲɪɪ̯ə])는 러시아어, 베리아(ბერია [bɛriɑ])는 조지아어식이다. 조지아인의 이름에는 동슬라브계 이름처럼 가운데 부칭이 붙는 경우도 있는데, 남자는 부칭에 아들이라는 뜻의 '제(ძე)', 여자는 부칭에 딸이라는 뜻의 '아술리(ასული)'를 붙인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