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인수합병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10년 이후 분위기 == 2016년 1월 [[기업공개]] 건수는 제로를 기록했고 지난 2011년 9월 이후 처음으로 월별 기업공개 건수가 제로를 기록하는 등 최근 글로벌 금융 불안에 따른 IPO 시장의 침체기를 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s://mna.bridgecode.kr/blog/insight/jeongbu-jiweon-hwagdaero-jumogbadneun-jungsogieob-m-a-jeonryag-gieob-seunggyewa-gyeongjaengryeog-ganghwareul-wihan-saeroun-gihoe|정부 지원 확대로 주목받는 중소기업 M&A 전략 : 기업 승계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기회]] [[https://mna.bridgecode.kr/blog/insight/corporate-succession|기업승계, 중소기업의 새로운 도약]] [[https://mna.bridgecode.kr/blog/insight/babyboomer|대한민국 베이비부머 은퇴와 M&A의 연관성: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 방안]] 신생 스타트업들의 [[기업공개]]가 점점 줄어드는 추세와는 반대로 글로벌 [[대기업]]들의 인수합병 규모는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흐름을 이끄는 건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IT 기업들. 그래서 이들 기업들이 자본을 동원해 [[스타트업]]들이 자랄 수 있는 토양을 오염시키고 [[독과점]] 상태를 형성해 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사실상 21세기 들어서 [[제4차 산업 혁명]]을 명목으로 [[강도 귀족]]이 부활한 셈. 회사를 완전 인수해 [[자회사]]로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모회사가 경영상 간섭을 하지 않고 회사의 운영을 자회사에 일임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모회사는 돈을 대주는 역할만 하고 [[기획]] 및 제품 개발 같은 영역은 자회사에서 독립적으로 결정하는 식. 이런 경우는 피인수 회사가 자사의 경영적 독립성을 보장받는 조건으로 인수합병을 동의할 때 이루어진다. 대표적으로 [[텐센트]]와 [[라이엇 게임즈]], [[클래시 오브 클랜|슈퍼셀]]의 관계, 그리고 [[월트 디즈니 컴퍼니]]와 [[픽사]], [[마블 엔터테인먼트]]의 관계가 이에 해당한다. 2019년 들어서 여러 대기업들의 M&A가 화제가 되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는 거의 마무리되고 있었지만 2020년 예기치 못한 [[코로나19]] 사태로 항공업과 여행업의 불황 때문에 결국 인수가 무산되었고, 결국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시도|대한항공이 2024년 말에야 사실상 인수를 확정지었다.]] 또한 [[배달의민족]]은 독일 [[딜리버리히어로]]사[* [[요기요]]의 모기업이며, 전 세계 40개국에서 배달 앱을 운영하고 있다.]에게 매각되어 인수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