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브온라인/장비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블라스터(Blaster) ====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블라s.png]]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블라m.png]]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블라l.png]]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블라xl.png]] ~~[[쿨라 다이아몬드|속지마,개똥이야]]~~단거리 무기로써 게임 내 터렛 중 수치상 최고의 DPS.(어느 정도냐 하면 해적팩션 순양함 비질란트가 DPS피팅을 할경우 전함보다 높은 미친 공격력을 자랑한다. 하지만 탱킹이 망...) 이 점 때문에 일단 '''적함과 거리를 좁힐 수만 있으면''' 블라스터의 우위.(어째 아이콘부터 생긴게 다른 터렛들과 달리 총구가 무지막지하게 크고 아름답고 파괴력을 지닌 듯 하다!!) 따라서 스테이션 입구에서 대기하면서 싸우거나[* 이런 전술을 Station Ganking이라 부른다. 다만 서버 랙등으로부터의 억울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30초간 무적인 상태로 언독하게 되는데 적이 보인다 싶으면 무적이 풀리기 전에 재도킹해버리면 말짱 도루묵.], 아군이 적을 붙잡은 상황에서 아군에게 워프해서 싸우는 등의 활용 방안이 존재한다.[* 블래스터가 주 무기인 데이모스 등은 아군이 적에게 붙은 후에 그 아군에게 워프하여 싸우는 것이 보통.] 특수한 경우로 갈란테 T3인 프로테우스는 클로킹 상태에서 웬만한 전함/T3 크루저급 화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클로킹/블래스터 피팅으로 웜홀 지역에서 방심하는 유저를 사냥하는 용도로 자주 쓰인다. 이런 탓에 블라스터는 PvP에선 굉장히 유용한 무기. 근거리 퍽치기용으로 많이 쓰인다.하지만 너무 심각하게 짧은 사거리로 인해 일반 미션에서는 사용하기 힘들다는 평이 많다. 블라스터의 사거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대개 초 근거리라 간주하는 10km[* Warp Scrambler / Web이 들어가기 시작하는 거리] 근방에서도 옵티멀 사거리 내에 들어가지 않아 명중률 페널티를 받는다. Mercenary Overlord 같은 예외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랫들은 이 무기의 옵티멀 + 펄오프 사거리를 넘는 거리에서 오빗을 돈다. 그나마 적에게 빨리 다가갈 수나 있으면 좋겠는데, 이 녀석이 속도 1등인 민마타의 무기가 아니라, 민마타를 제외한 나머지 3종족 중 도토리 키재기로 1등(즉, 전체에선 꼴지에 가까운 2등)인 갈란테의 무기라는 것이 문제이다. 속도가 빨라 근거리 무기인 오토캐논 사용이 용이한 민마타 함선과 비교되는 부분. 하지만 양키들은 이 무기가 PVP에서는 엄청난 능력을 뽐낼 뿐만 아니라 다른 무기체계들보다 우월하다고 평가한다.[* 실제로 2011년에 MWD를 장착해서 이 단점을 개성이라고 부르며 미션에서 꿋꿋이 블라스터를 쓰던 한국인 유저(리그베다 위키에서도 밴을 당한 사람이며 블라스터의 볼드모트화에 크게 기여하였다.)가 있었다. 물론, MWD 및 블라스터 조합이 불가능한 것은 결코 아니며 어느 정도 경험이 쌓인 미셔너라면 뿜이라는 불상사를 겪지 않고도 충분히 클리어할 수 있다. 그러나 탱킹, 데미지 딜링, 소요 시간 등의 문제에 있어서 이브 온라인에는 블라스터 및 MWD 조합보다 훨씬 효율적인 조합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냥 다른 선택지를 택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수치상으로는 트래킹이 높지만 사거리가 너무 구려서 옵티멀 사거리 내로 들어가게 되면 트래킹이 각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거리를 좁혔을 때 알아서 일직선으로 도망가주는 일반 AI 적일 경우에는 신경 쓸 필요 없지만, 각속도를 벌려 회피 기동을 하는 슬리퍼 계열 적이나 유저와 싸울 때는 의외로 심각한 문제.] 이러한 문제는 Quantum Rise 확장팩 당시 웹의 속도 감소 비율이 최대 90%에서 60%로 줄어버리면서 발생한 것이다. 함선들 대다수의 속도는 느려졌지만 웹을 걸었을 때의 속도는 오히려 늘어났기 때문.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