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브온라인/장비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본용어설명 == * 데미지 타입: 4가지 데미지 타입이 있다. 전자기 계열인 EM, 열 병기인 TH, 폭발계열 EX, 직접 타격 충격인 KN...레이저계열이 EM, TH데미지 속성이란건 두 가지 속성으로 공격한다는 의미. 일반적으로 데미지 속성이 2개가 있는 경우엔 앞이 주속성이고 뒤가 부속성이다. 하드너를 달 때 앞의 속성에 2개 뒤의 속성에 1개가 정석.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ki.png|width=20&height=20]]: Kinetic (KI, 키네)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th.png|width=20&height=20]]: Thermal (TH, 써멀)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ex.png|width=20&height=20]]: Explosion (EX, 익스)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em.png|width=20&height=20]]: Electronic Magnetic (EM, 이엠)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DPS.png|width=20&height=20]] DPS(Damage Per Second): 초당 데미지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캐패시터.png|width=20&height=20]] [[캐패시터]](Capacitor): 줄여서 캡(Cap). 각종 모듈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동력. 기본 단위가 GJ(기가줄)이라는 단위이다.[*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39|e-나라지표]]에 따르면 2018년 총 발전량은 570,645GWh이다. 1J은 1초에 소모되는 값이고 이를 1W로 표기한다. 1Wh는 3,600J이니, 2018년 기준 570,645GWh를 J로 환산하기 위해 3,600배로 늘릴 경우 무려 2,054,322,000GJ에 달한다. 짧게 줄이면 2,054PJ/s. 기가보다 두 단계 더 높은 단위다.][* 2019년 12월 기준으로 아마르 타이탄인 아바타의 기본 상태의 기본 캡이 169,000GJ이고, 초당 75GJ 만큼 발전한다. 이는 2010년도 기준 우리나라 모든 발전소를 돌려서 얻는 발전량과 동급이다. --이걸 와트로 변환할 경우 초당 회복캡이 20.8MWh인 셈. 적은 것 같지만 타이탄 크기가 도시 하나 정도 된다는 걸 생각하면 자체적으로 저 정도 분량이 나오는 게 놀라운 일이다.-- 피팅으로 발전량을 늘릴 수도 있으니 더욱.]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시드니처.png|width=20&height=20]] 시그니처(Signature): 적함의 센서에 자신의 함선이 얼마나 뚜렷하게 잡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 이게 높은 배는 적함에 더 빨리 락온당하고 더 큰 데미지를 입게 된다. 아래에 서술할 Target Painters가 적함의 이 수치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Signature Resolution: 위의 시그니쳐와는 의미가 다르며, 터렛 및 드론에만 존재한다. 런쳐계열이나 스마트밤 등의 다른 무기에는 없다. 목표로부터 탄이 흩어지는 범위를 나타낸다. 산포도, 탄착군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것이 크고 적의 시그니처가 작으면 명중률이 개판이 된다. 반대로 이것이 작고 적의 시그니처가 크면 아주 잘 맞는다.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스캔레졸루션.png|width=20&height=20]] Scan Resolution: 스캔 해상도. 높으면 락온속도가 증가한다.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트래킹스피드.png|width=20&height=20]] 트래킹스피드(Tracking Speed): 주포가 표적을 조준하며 쫓아가는 속도, 터렛의 회전속도를 의미한다. 트래킹이 높을수록 빠른 각속도(Angular Velocity)로 움직이는 목표물을 맞출 수 있다. 단, 탄착군에 비해 시그니처가 작은 적을 공격할 때에는 그 비율에 비례해서 더 높은 트래킹이 필요해진다.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옵티멀.png|width=20&height=20]] Optimal Range: 해당 무기의 사거리 개념 중 하나. 옵티멀 사거리 내부의 적을 공격할 때에는 사거리로 인한 명중률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다.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폴오프.png|width=20&height=20]] Falloff: 해당 무기의 사거리 개념 중 하나. 옵티멀 사거리 박의 적을 공격할 때 거리로 인하여 명중률이 감소하는 정도를 결정한다. (옵티멀 + 폴오프/4) 정도의 거리를 적정 교전 거리로 생각하면 좋다. [* (옵티멀 + 폴오프)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적을 공격할 때에는 명중률이 절반으로 줄어들며, (옵티멀 + 폴오프*2) 만큼 떨어진 적을 공격할 때에는 명중률이 3% 정도로 낮아져서 사실상 맞출 수 없다. 이 감소는 선형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로지스틱 그래프 형태로 나타난다. (옵티멀 + 폴오프/4) 정도의 거리의 적에게는 약 97% 정도의 명중률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이 거리를 적정 교전 거리로 본다.] *[[파일:attachment/EVE 온라인/장비/이너시아.png|width=20&height=20]] Inertia: 본래 뜻은 관성으로, 크기가 작은 배는 수치가 크고 큰 배는 작다. 함선의 질량과 곱셈을 해서 유효 질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함선의 가속도를 늘려주는 Evasive Maneuvering 스킬의 효과가 바로 이 Inertia를 레벨당 5%씩 줄여주는 것이다. 크기가 작은 배의 Inertia가 큰 이유는 자신의 체급보다 큰 애프터버너나 MWD를 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런스 조정이다. 자세한 것은 아래 AB와 MWD 참조.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