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국호 === 정식 [[국호]]는 이란 회교 공화국[* 대한민국 외교부의 표기.] 또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표기며, 주한 이란 대사관의 정식 명칭이 주한 이란이슬람공화국 대사관이기도 하다.](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 Jomhuri-ye Eslāmi-ye Irān)이다. '이란(ایران / Irān)'의 유래는 초기 인도이란조어로 '[[아리아인]]'을 뜻하는 '아리아스(''*Áryas'')'이다. 이것이 이란조어의 '아리아흐(''*Áryah'' 또는 ''*Ā́ryah'')'를 거쳐 아베스타어 '아리이아(𐬀𐬌𐬭𐬌𐬌𐬀 / a^^i^^riia)'·박트리아어 '아리아(αρια / aria)'·파르티아어 '아리(𐭀𐭓𐭉 / ary)'·고대 페르시아어 '아리야(𐎠𐎼𐎡𐎹 / ariyaʰ)'와 같이 옮겨졌고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가 되면서 이란계 사람들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거의 굳어졌다. 베히스툰(Behistun) 비문이나 [[낙쉐 로스탐]](Naqsh-e Rostam) 비문을 보면 [[다리우스 1세]]와 [[크세르크세스 1세]]가 아리아인이라고 써 있다. 즉 인도이란조어에서 유래된 '아리아스'가 이란조어의 '아리아흐'와 고대 페르시아어 '아리야'를 거쳐 사산 왕조 시대의 중세 페르시아어, 혹은 팔라비어로는 '에르(𐭠𐭩𐭫 / ēr)'로 이어지며 이 민족명에 복수형 접미사가 더해진 것이 '에란(𐭠𐭩𐭥𐭠𐭭 / Ērān)'이다. 이 표현이 현대 페르시아어의 '이란'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란은 어원적으로 '아리아인의 땅(سرزمین آریاییان / Sarzamin-e Āriyāyiyān)'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https://iranicaonline.org/articles/aryans|관련 자료]], [[https://borderlessblogger.com/2023/05/19/hidden-in-plain-sight-illuminating-indo-european-words-in-persian/|관련 글]]. 이란 바깥에서는 오랫동안 [[페르시아]]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명칭은 고대 이란계 부족의 이름 혹은 지명인 [[파르스]]에서 유래했다. 이들이 주로 살던 이란 서남부의 땅을 고대 페르시아어로 파르사(𐎱𐎠𐎼𐎿 / Pārsa), 중세 페르시아어로 파르스(𐭯𐭠𐭫𐭮𐭩 / Pārs)라고 했는데, 이 파르스 출신의 [[키루스 2세]]가 [[아케메네스 왕조]]를 개창하면서 파르스 사람들이 주도세력이 되었다. 이 파르스를 [[고전 그리스어]]로는 페르세스(Πέρσης / Pérsēs), 페르시케(Περσική / Persikḗ), 페르시스(Περσίς / Persís)와 같이 기록하였다. 이것을 [[라틴어]]로 페르시아(Persia)라고 쓴 것이 서구 세계에 완전히 정착된 것이다. 이 두 이름 중 현지인이 전통적으로 써 온 것은 '이란'이다. 당시 이란계 종족은 출신 지역이나 종족별로 쪼개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문화적으로 유사성을 갖고 있었다. 이들 중 특히 현대의 이란 국경과 비슷한 강역을 지배했던 파르티아 시대에 '아리아인'이라는 종족 관념이 점차 확대된 것 같다. 전술했다시피 아리아인이라는 개념은 훨씬 이전부터 있었지만, 아케메네스 왕조는 지배층인 페르시아인들이 아리아인의 한 분파였을 뿐이지 공통적인 민족 정체성 따위가 확산되지 않은 다민족 제국이었다. 파르티아 역시 다민족 제국이기는 마찬가지였지만 다하/파르니 정복자들, 파르티아인, 페르시아인, 메디아인, 박트리아인, 소그드인 기타 등등의 여러 이란계 종족들이 하나의 국가 범주 안에서 수세기 동안 부대끼면서 공통적인 정체성을 갖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것이 구체적 형태로 나타난 것이 파르티아를 멸망시킨 에란샤흐르 제국, 즉 [[사산 왕조]]의 국가 건설 과정인데, 사산 왕조는 '아리아인/이란인의 국가(𐭠𐭩𐭥𐭠𐭭𐭱𐭲𐭥𐭩 / Ērānšahr)'이라는 개념을 이용했다. 종교적, 추상적 개념에 가까웠던 "아리아인의 땅"이라는 개념을 현실 정치에 끌어들여, '사산 왕조의 지배를 받고, 조로아스터교를 믿으며 페르시아어를 쓰는 이란 사람들이 사는 나라'라는 구체적인 개념으로 바꾼 것이다. 또한 비(非)아리아인(𐭠𐭭𐭩𐭥𐭠𐭭 / Ānērān)이라는 개념을 통해 다른 종족들(사산 왕조의 지배 하에 있든 아니든 간에)을 타자화함으로써 이란의 정체성을 강화하였다. 사산 왕조의 군주들이 '이란과 비이란의 왕중왕(𐭬𐭫𐭪𐭠𐭭 𐭬𐭫𐭪𐭠 𐭠𐭩𐭥𐭠𐭭 𐭥 𐭠𐭭𐭩𐭥𐭠𐭭 / šāhān šāh ī Ērān ud Anērān)'이라는 칭호를 쓴 것도 이를 잘 보여준다. 이후 아랍의 정복과 이슬람 시대의 도래로 이란인은 이슬람 세계의 일부분으로 흡수되었다. 아랍 문자와 이슬람을 받아들였으며, 오래 부대끼고 사는 통에 생활 습관의 변화, 혼혈도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문자는 바뀌었을지언정 언어와 학문 분야는 대부분 유지되었고, 중세 이슬람 황금기의 '실질적 축'을 담당한 이란 출신 학자들과 문인들에 의해 이란이라는 이름과 독자적 문화, 정체성이 기억되었다. 7세기 아랍의 대홍수가 거쳐간 뒤에도 11세기 이후 튀르크의 대홍수, 13세기 몽골의 침공 등으로 인해 이란은 대대적인 변화를 겪었으나, 그 와중에도 이란의 독자적 정체성은 살아남아 현대에 이르게 되었다. 그리고 1935년 [[팔레비 왕조]]에서 공식적으로 국호를 '이란 제국(کشور شاهنشاهی ایران / Kešvar-e Šāhanšāhi-ye Irān)'으로 못박았다. 물론 이는 나라 이름을 페르시아에서 이란으로 바꿨다는 뜻은 아니며, 다른 국가에 스스로를 페르시아가 아니라 이란이라 불러 달라고 요구한 것이다. 오늘날 페르시아라는 이름은 이란이라는 나라 이름보다는 이란 지역의 역사적인 지명이나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들의 총칭으로서 더 많이 쓰인다. 팔레비 왕조가 1979년에 [[이란 혁명]]으로 무너지고 [[호메이니]]가 이슬람 공화국을 세우면서 나라 이름도 이란 이슬람 공화국으로 바꿨다. 단, 하나 특이할 만한 점은 이란 내부에서는 아니지만 이란에서 외부로 나온 사람들은 Iranian이라는 말보단 Persian이라는 말로 자기를 소개하는 경우도 종종있다.[* 당연하겠지만 조지 부시 대통령의 악의 축 선언 및 이런 저런 이슬람 문화로 이란의 대외적인 이미지가 그렇게 탐탁지 않기 때문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