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언어유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대중매체에서 == * [[춘향전]]: 변사또 왈 [[러시아식 유머|"문 들어온다, 바람 닫아라. 물 마르다, 목 들여라."]] * 만화 《[[슬램덩크]]》에서, [[강백호(슬램덩크)|강백호]]가 '[[덩크 슛|덩크]](ダンク, 단쿠)'라는 농구용어를 구별하지 못해서 '[[탱크]](タンク, 탄쿠)'처럼 비슷한 표현으로 대응하는 것. 이쪽에서는 아주 전형적이다. [[목수]](大工, 다이쿠)로 알아듣기도 했는데 탱크는 한국어로도 통하는 만큼 무난하게 번역했지만 목수는 도저히 언어유희를 살리며 번역이 안 되는 관계로 목수와 덩크가 뭔 관계인지 의아하게 만들기도 했다. 그냥 말로 [[장난]]만 쳤다면 얼렁뚱땅 넘길 수 있지만 강백호가 목수 변장을 하고 나왔다. * 한 술 더 떠서 애니메이션에서는 50번째 실연에 의기소침해 있던 강백호가 상대 [[여학생]]이 농구부 [[남학생]]을 좋아한다며 거절했던 [[트라우마]] 때문에 [[농구]](바스켓토)와 발음과 [[음절]] 수가 겹치는 단어인 다이어트(다이엣토), 비스켓(비스켓토), 바그다드(바그닷도)만 들어도 노발대발하는 장면이 나왔다. * [[식물 vs 좀비 2]]에선 대부분의 [[식물]]들의 [[이름]]과 도감설명이 온통 언어유희로 점철되어 있다.[* 하지만 미국식 유머라 영어를 잘 해도 재미가 별로 없는 경우도 많다.] [[미치광이 데이브]]와 타임머신 페니의 만담에도 언어유희가 매번 등장한다.[* 페니: 이 [[좀비]]들은 위장(Camouflage)을 하고 있어요. 미치광이 데이브: 그래, [[낙타]] 위장(Camel-flage)을 하고 있군.] * [[명탐정 코난]]의 [[아가사 히로시]] 박사는 언어유희 퀴즈를 좋아해서 [[소년 탐정단]]에게 자주 낸다. 당연히 일본어를 알아야 [[이해]] 가능한 것들이라 타국에선 가차없이 잘라 버리지만 스토리와 연계되는 중요한 것은 최선을 다해 번역한다. * 웹툰작가 [[메가쑈킹]]의 작품들은 언어유희가 아주 진국이다. * [[유희왕 ZEXAL]]은 월드 챔피언십 등 유희왕 관련 [[게임]]에서 알게 모르게 이어지던 [[코나미]]의 [[오마주]]/말장난에 대한 집념이 그야말로 폭발한 작품으로, 주요 카드군인 [[No.|넘버즈]]부터 주인공이 쓰는 몬스터들에 조역 단역들이 쓰는 수많은 몬스터들에게 온갖 장인정신으로 말장난을 넣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No./말장난]] 문서 참고. * [[어노잉 오렌지]] 오렌지에 사람 [[얼굴]]을 [[합성]]한 전설의 그 [[UCC]]. [[과일]]들을 말로 괴롭히면서 내뱉는 언어유희가 참으로 끝내주게 짜증난다. * [[따끈따끈 베이커리]] 중반 모나코컵 무렵부터 나타나는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말장난 개그.[* 타이야키([[붕어빵]])을 만들었는데 타이식(타이시키) 마사지로 개그를 이끌어내려고 한다. 재미도 없으며 번역가도 포기하고 주석으로 도배를 했다. 이는 [[하시구치 타카시|작가]]가 억지로 만화를 더 그려야 했기 때문이다.] * [[킬미, 힐미]]의 신세기가 회의 중 "오리진 너는 별로. 내 [[마음]]의 [[별]]로..."라는 낙서를 한다. * [[부장]]님이나 [[선임]], [[상사]] 등 자기보다 [[높으신 분]] 캐릭터들이 높은 확률로 시전한다. 이 때는 재미없어도 무조건 웃어야 하는게 암묵의 룰.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에서도 말장난성 [[별명|닉네임]]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드렁작은 타이거나 [[나 오늘 감 잡았어]], [[이 밤의 끝을 잡고(복면가왕)|이 밤의 끝을 잡고]] 등. * [[크레용 신짱]]의 '일루미네이션을 보러 가요' 에피소드는 [[단역]] 캐릭터명부터 단역 [[캐릭터]]의 일부 [[대사]]까지 말장난으로 이루어져 있다. * [[따개비 한문숙어]]에서는 연상기억법을 응용한 언어유희로 숙어를 다시 한 번 말하는 장면이 많다. * 게임 [[컵헤드]]는 모든 캐릭터들에게 언어유희가 들어간 것이 특징으로 캐릭터마다 각자의 모습이나 성격 등을 상징하는 언어유희가 등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한국어 번역판의 질은 좋지 못한 편이다. * 게임 [[도미네이션즈]]에서 [[CL3V3R-G1RL(도미네이션즈)|CL3V3R-G1RL]](Clever Girl), [[G00D-80Y(도미네이션즈)|G00D-80Y]](Good Boy)로 로봇공학 유닛들이 언어유희로 등장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