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아프가니스탄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결론 ==== 단순히 [[양귀비꽃]]을 불태우거나 훼손하는 단속 및 다른 농작물을 대신 심으라는 종전의 행위는 일절 도움이 안 된다. 그렇게 해 봐야 들어오는 돈이 더 적고 무엇보다 전술한 생필품 자체를 구할 길이 없기 때문이다. 즉, 저런 문제까지 다 해결해야만 마약 단속에 도움이 되는데 열악한 곳에 물자를 수송하는 문제도 어렵지만 애써서 겨우 수송해 봐야 물자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걸 일부가 가로채서 배를 채울 게 뻔하다. 종전에 시행하던 밀이나 여러 농작물 씨앗조차도 대부분 착복되어 사라졌으며 이 때문에 양귀비가 많은 지역에서 재배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오죽하면 미국은 양귀비들을 아예 돈 주고 사서 불태우는 작전까지 구사했다가 비난 여론에 밀려 포기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미군 내부에선 차라리 우리가 양귀비를 사는 게 괜히 헛돈 버리는 것보다 훨씬 낫다는 주장이 거셌다. 참고로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의 이복아우이던 아흐마드 왈리 카르자이(احمد ولي کرزی)의 별명은 '''마약왕'''이었다. 카르자이가 [[파키스탄]]의 전 [[페르베즈 무샤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파키스탄이 마약 유통을 단속하지 못한다고 불평하자 무샤라프가 어이없어하며 "'''당신 동생이나 잘 단속하쇼'''"라는 비웃음을 들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나중에 왈리 카르자이는 나에겐 마약이 있기에 아무나 함부로 건드릴 수 없다고 자신만만했다가 [[2011년]] 7월 12일 경호원들이 배신하여 총알 수십여 발을 맞고 [[끔살]]당했다. [[탈레반]]이 경호원들을 매수 및 협박했다고 발표하면서 여전히 헬게이트임을 증명해 버렸으며 결국 권력층이 마약 거래에 깊이 관련되어 있고 저런 생활 문제가 깊숙히 들어간 아프가니스탄에서 마약 재배가 사라질 일은 요원하다. 특히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2014년 아프가니스탄의 양귀비 생샨량은 약 6,400t을 기록하여 지난해보다 재배량이 17% 늘었는데 이는 사상 최대의 재배 수치를 기록한 것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