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스텔라이브
(r3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여담 == * 명칭인 스텔라이브는 [[별]]을 의미하는 라틴어인 [[스텔라]][* 영화 [[인터스텔라]]의 스텔라와 같은 단어이다. [[인터스텔라]]의 뜻 자체가 성간의, 별과 별 사이의 라는 뜻이다.]와 [[공연]]이라는 의미의 영단어 [[라이브]]를 합친 것('''Stel'''la+'''live''')으로, 각자의 개성을 지닌 별들이 모여 우주를 멋지게 꾸미듯이 여러 개성을 지닌 사람들을 모아 서로를 더욱 빛나게 하고 싶다는 꿈을 품고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아야츠노 유니]]가 처음 제안했다.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Uf8cWXwPSXQ?t=1m26s)] * 스텔라이브라는 이름이 정해지기 전에는 이름 후보군 중에 라이브12, 클러치, 플로리스 등이 있었다. * 한국에서 활동하는 그룹이지만, 과거 일본에서 활동한 1기생의 작명에 맞춰 멤버들 전원의 이름이 일본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소에는 풀네임보다는 이름만 따서 편하게 부르며, 특히 멤버들끼리는 사장인 강지의 성인 '정'을 붙여서 한국식 이름 느낌으로 부르기도 한다. * 칸나와 유니가 일본에서 데뷔했을 때는 다른 멤버들도 많아서 사적으로 친해질 기회가 없었지만 6개월을 거치며 같은 데뷔 동기라는 점 등도 있어서 점점 친분이 트였고 지금은 아주 죽이 잘 맞는 절친 겸 동료가 되었다. * 강지는 칸나, 유니와 동기(B기생)였던 후와리 도지코에게도 스텔라이브에 합류하자고 제안했으나, 도지코가 한국에서는 [[후즈|본캐]]로 활동하고 싶다며 거절했다는 사실이 훗날 밝혀졌다. * 1기생은 생방송 시청자 500명을 목표로 시작했는데, 데뷔 방송에서 모두 네 자릿수 시청자 수를 기록하며 기대 이상의 성공을 거두자 둘 모두 강지와 통화하면서 펑펑 울었다고 한다. 이후 2기생 데뷔 방송은 1만 중~후반대를 기록하고, 3기생 데뷔 방송은 동 시간대에 T1의 MSI 경기나 MSI 결승전이 겹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2만 명 이상의 시청 기록을 달성[* 심지어 이때 당시엔 치지직이 아직 애드가드 이용자 집계 누락 문제가 있던 시기임을 생각하면, 실제 시청자 수는 훨씬 많았을 가능성이 높다.]하면서 착실하게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2023년 2월 25일 [[아이리 칸나]]와 [[아야츠노 유니]]의 트위치 계정이 갑작스럽게 무기한 정지되었다가 [[https://twitter.com/airikannaKR/status/1629355886715211776|#]][[https://twitter.com/AyatsunoYuni/status/1629246139206873088|#]] 2월 28일 복구되는 해프닝이 있었다.[[https://twitter.com/AyatsunoYuni/status/1630350267073048577|#]] 트위치 계정이 정지된 동안 두 멤버는 유튜브 스트리밍을 사용하여 방송했다. * 원활한 방송 활동을 위해 유니가 한국으로 이사했음을 밝혔다. 짐을 다 옮기기 전에 잠시 강지의 집에서 지냈다. 칸나는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스텔라이브 멤버들과의 현실 합방과 유튜브를 통해 밝히지는 않았지만 한국에 살고 있음이 드러났다.[* 인천공항을 통해 일본 여행을 가는 영상을 남겼다.] * 2023년 4월 1일에는 강지, 칸나, 유니가 서로 모델을 바꿔 만우절 특집 방송을 진행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Qd4D3hd5YrM|#]] 강지는 유니, 칸나는 강지, 유니는 칸나를 맡았는데 유니는 칸나의 껍데기만 쓴 유니 그 자체였고[* 본인도 칸나를 연기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했는지, 아예 처음부터 '''"저 유니 성대모사할게요"'''라고 선언하고 시작했다. 애초에 누가 들어도 티가 날 만큼 어투에서부터 차이가 크기도 하고.], 칸나는 평소보다 더 인간 복사기 수준으로 강지를 흉내 내어 둘의 방송을 실시간으로 보던 강지 본인이 감탄하기도 했다. [[파일:안산유니.png]] * 이때 강지는 '이아프노 틀니' 등의 별명을 얻으며 시청자들에게 놀림을 당했는데, 그 와중에 유니의 모습으로 지은 눈을 희번뜩하게 뜨며 노려보는 표정이 소소하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명 '안산 유니.' 이후 유니 본인도 그 표정을 재현해보려고 했으나, 몇 번 시도하다 안 돼서 포기했다.[* 여담으로 유니는 저 때 날개와 표정이 연동되어 같이 움직인다는 걸 처음 알았다고 한다. 이후 여권 분실로 스텔라이브 단체 여행에서 한국에 유기된 유니가 이 표정을 재현해 내는 데 성공했다!] * 2기생들은 데뷔 전 사석에서 강지 사장은 물론, 1기생들과도 안면을 텄다고 한다. 2기생끼린 일주일 가량 합숙까지 했다고 덧붙였다. * 스텔라이브를 시작하면서 디렉터 감기가 1기생에게 소원을 물어봤는데, 칸나와 유니가 회사에 전달한 것은 각각 오리지널 음원 발매(칸나)와 팬미팅(유니). 결국 2023년 5월 둘의 소원이 나란히 이뤄졌다. * 2023년 11월 27일 강지는 경향게임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1기생 3D 데뷔 당시 3D 기술에 대한 독자적인 경쟁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자체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https://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822|#]] * 사장 및 각 기수마다 데뷔 플랫폼이 모두 다르다. 사장 강지는 아프리카TV에서, 1기생은 유튜브에서, 2기생은 트위치에서 데뷔했다. 그리고 [[트위치 대한민국 사업 철수 사건|24년 1분기에 트위치가 한국에서 철수함에 따라]] 3기생은 [[치지직]]에서 데뷔했다. 이런 기연 때문인지 우연히 이미지 색이 각 플랫폼과 비슷한 3기생은 각각 아프리카, 트위치, 치지직, 유튜브를 상징하는 게 아니냐는 농담이 나오기도 했다. * 2024년 5월 4일 일본의 [[VSPO!]]와 [[히메히나]]가 소속된 일본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 '브레이브 그룹'과 업무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는 기사가 공개되었다. [[https://vroznews.com/v/202405141715661707|#]] 제휴 프로젝트 1탄으로는 [[아야츠노 유니]]의 생일 기념 3D 콘서트를 제작 지원한다고 또한 밝혔다. * 처음에 1기생의 유닛명이 따로 없었으나 2기생 유니버스 데뷔 후 새로 추가되었다. 각 기수명을 살펴보면 미스틱은 상상의 동물인 [[아이리 칸나|용]]과 [[아야츠노 유니|유니콘]], 유니버스는 [[시라유키 히나|지구인]], [[아라하시 타비|이세계인]], [[아카네 리제|뱀파이어]], [[네네코 마시로|외계 고양이]] 등 전 우주 범위이며 3기생 클리셰는 [[유즈하 리코|힘을 잃은 용사]], [[텐코 시부키|여우신]], [[아오쿠모 린|메이드 컨셉 지하아이돌]], [[하나코 나나|어린아이처럼 생긴 비밀요원]] 등 유닛명 그대로 클리셰로 구성되어 있다. * [[도둑질|스틸라이브]] 라는 별명이 있다. 스텔(Stell)과 비슷한 단어인 스틸(Steal)을 이용한 [[말장난]]이며, 마인크래프트나 러스트 등의 대형 스트리머 서버에서 스텔라이브 멤버들이 자주 도둑질을 하거나 다른 스트리머에게 금전을 갈취하는 장면이 나오기 때문에 생긴 별명이다.[[https://youtu.be/k93fONccx3E|#]] * 1~3기생 중 '아'자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멤버는 5명으로[* [[아이리 칸나]], [[아야츠노 유니]], [[아카네 리제]], [[아라하시 타비]], [[아오쿠모 린]]] 전체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많고, 각 기수마다 이름의 끝자가 '나'인 멤버들이 있다.[* 1기생 [[아이리 칸나]], 2기생 [[시라유키 히나]], 3기생 [[하나코 나나]].] * 이브가 말하길 3기생 클리셰 멤버 전원은 딕션이 굉장히 좋고, 깔끔한 편이라 말이 귀에 쏙쏙 박힌다고 한다. * 유니버스 1주년 Q&A에서 나온 공통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시간 관계상 대답이 패스된 경우도 있다. * '첫인상과 현인상이 가장 다른 멤버는?' 이라는 질문에 타비는 리제, 시로는 딱히 없음, 히나는 타비라고 답했다. * '가장 청초한 멤버는?' 이라는 질문에 리제는 리제, 히나는 히나라고 답했다. 이브는 리제가 가장 청초하다고 답했는데 히나의 청초 집착 때문에 청초 타이틀은 히나로 넘어갔다. * '여자력이 가장 높은 멤버는?' 이라는 질문에 리제를 제외한 모두가 리제를 꼽았다. * '멤버들의 유행어에 대한 첫인상은?'이라는 질문에 히나는 뿡빵띠가 의미를 알 수 없는 이상한 말이라고 답했다. * '과거의 나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이라는 질문에 타비는 과거의 자신에게 스페에서 자지 말라고 했으며 히나는 즐겁게 살라고 답했으며 리제는 “사장님한테 물어보지 마[* 초창기 유행어를 사장님한테 물어보고 귀엽다는 대답이 와서 썼는데, 현재는 흑역사라고 생각한다.]”, 시로는 화이팅! 이라고 답했다. * '별명이나 칭찬 중에 가장 좋았던 말은?' 이라는 질문에 시로는 밍 대장, 히나는 초사이어인, 리제는 리쪽이, 타비는 폐급[* 좋았던 별명이 아닌 기억에 남았던 별명.]이라고 답했다. * '만약 아이돌을 하지 않았다면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라는 질문에 리제는 관짝에 틀혀박혀있고 히나는 고려대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 '방송 때문에 바뀌거나 유지된 습관은?' 이라는 질문에 타비는 규칙적인 생활을 하게 되었다고 답했고 시로는 생활 패턴이 더 악화되었다고 답했으며[* 일어나는 시간이 원래는 10시였는데 2~3시로 바뀌었다고 한다.] 히나는 더 집에 틀어박혀있다고 답했다. * '서로에게 고마웠거나 인상적이었던 순간은?' 이라는 질문에 시로는 리제에게 화상을 입었을 때 도와준 것을 고마웠다고 답했고 히나는 생일 때 멤버들한테 받은 서프라이즈에 감동 받았다고 답했다.[* 참고로 히나는 생일 축하를 받아본 적이 별로 없으며, 그렇기에 이 서프라이즈는 절대 잊지 못할 순간이라고 말했다.] 리제도 히나한테 받은 생일 축하라고 답했다. * '유니버스 단체 휴가를 간다면?' 이라는 질문에 히나, 시로는 일본. 리제는 두바이라고 답했다. * 유니버스 1주년 합방으로 유니버스 멤버들이 거짓말 탐지기로 진실 게임을 했는데, 가장 첫 번째 질문에서 거짓이 나온 히나, 리제를 제외한 모든 질문에서 전원이 진실이 나왔다.[* 너무 진실이 나와서 중간에 리제에게 ”나는 여자다“ 라고 질문하고 리제가 ”아니다.“ 라고 답했는데, 이 조차도 진실이라고 판별되었다.] * 남성 그룹을 만들 계획은 전혀 없음을 지속적으로 밝혔다. 강지가 친한 남성 스트리머들에게 스텔스타즈라고 농담 식으로 언급한 적은 있지만 실제로는 여성향 그룹에 대한 노하우가 없기 때문에 실제 계획은 일절 없다고 한다. 해외 지부의 경우에는 회사 규모가 커지고 여유가 생겼을 때 만들 의사가 있다고 한다. * 멤버들의 나이가 1000살을 넘어가거나 5살도 안 되는 경우가 있는데 모두 자신의 나이를 인간 기준으로 환산한 나이를 가지고 있으며 대략 17세 언저리로 나온다. * [[시라유키 히나]]의 말에 따르면 각 멤버들에게 대표되는 색상은 있어도 고정된 퍼스널 컬러는 없으며 상황에 따라 살짝씩 바뀐다고 한다. * 유독 멤버들 중 [[경상도]] 지역의 [[동남 방언]]을 자연스럽게 구사 가능한 인물들이 많은 편이다. 웬만해서는 대부분 평소에는 표준어 사용을 전제로 하지만 특히 3기생이 나온 시점에서 대표적으로 [[아오쿠모 린]]은 해외 유학 경력이 있는 사람들의 말씨와 경상도 억양에 간혹가다 튀어나오는 경상도 사투리가 섞인 말투가 나오며, [[아이리 칸나]]의 경우 어머니가 동남방언을 구사하다 보니 그 영향을 받아서인지 평소에는 표준어로 발음하다가 경상도 사투리나 표현을 종종 하는 편이고, [[아야츠노 유니]]는 외국에서 왔지만 주변 인물 중 경상도 사투리 구사자가 있는지 데뷔날 제일 처음에 날린 말이자 명대사인 '''뭘 보노, 어딜 보노''' 였으며, [[아카네 리제]] 또한 방송 상 표준어 방송이 기본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자연스러운 경상도 억양과 사투리가 섞일 때가 있고, [[하나코 나나]] 역시 특수한 상황에서는 자연스러운 경상도 사투리를 구사하기도 한다. 심지어 매니저인 이브 역시 경남권 사투리를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것이 밝혀졌다. 반면 [[아라하시 타비]]는 [[전라도]] 지역의 [[서남 방언]]을 구사해 다른 멤버들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 [[일본]] 버츄얼 유튜버 쪽에서 주로 사용하던 [[X 스페이스]]를 서브 플랫폼으로 사용하고 있다. 주 플랫폼의 본격적인 방송을 킬 여건이 안 될 때 간단하게 소통하는 용으로 사용된다. * 2024년 연말, 새해를 기념해 멤버들의 한복 신의상을 공개하였다. * 2025년 초, [[강지]]를 포함한 스텔라이브 2기생, 3기생이 단체 휴가 겸 여행을 다녀왔다.[* 1기생인 [[아야츠노 유니]]는 여권 분실로 인해 불참. 원래 가기로 예정되었으나 여권이 없어진 걸 당일날 알아버려서, 그대로 한국에 남아 방송하며 졸지에 파스텔들의 빙하기를 책임지게 되었다.] * 설립자이자 대표인 강지가 픽셀 네트워크 소속이기도 하다보니 스텔라이브 아이돌들과 픽셀 스트리머들 끼리 합방 컨텐츠를 하거나 대규모 스트리머 서버에서 오다가다 마주치면 인사를 하는 등 친분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꼭 픽셀 소속 스트리머들 뿐만 아니라 강지와 친분있는 다른 스트리머들도 마찬가지. * [[굴단]]이 이상하게 라이벌 의식을 가진다. 하도 사이버불링을 갈기다 보니 도리어 더 유명해졌다. 스텔 홍보는 대☆굴☆황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