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순환출자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념 == {{{+1 循環出資 / Circular Shareholding }}} [[파일:external/static.news.zum.com/20120401_1333523113.gif]] '''한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은 자본을 가지고 여러 [[주식회사]]를 거느리는 수법.''' [[지주회사]]가 대세가 되기 전, 한국 [[재벌]]의 [[필수요소]] 중 하나였다. 다음과 같은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단 먼저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다. * 내가 회사 A의 [[대주주]]가 되었다. * 회사 A가 회사 B의 대주주이다. * 회사 B가 회사 C의 대주주이다. * 고로 A, B, C 다 내 거. 여기까지는 순환출자가 아니라 단순한 피라미드식 [[지주회사]] 소유구조일 뿐이지만 C가 A의 대주주가 되면 환상형(環狀形) 순환출자가 되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다. * A사: 대주주 김씨 20%, 소액 주주들 80% * B사: 대주주 A사 30%, 소액 주주들 70% * C사: 대주주 B사 20%, 소액 주주들 80% * D사: 대주주 C사 25%, 소액 주주들 75% * A사가 대량 증자를 통해 D사를 A사의 대주주로 만듦.(예로, D사가 가지게 된 A사 지분율이 50%가 되면 김씨 10%, 소액주주들 40%) 이렇게 하면 김씨는 A사의 지분 20%만 갖고서 4개의 회사를 장악할 수 있다. 비용을 줄이려면 A사의 자본을 줄이고 A~D회사의 대주주 비율을 더 줄이면 된다. 하술할 모 대기업 총수들이 적은 비율로 전체를 장악하는게 저런 경우이다. 이걸 반복하다 보면 [[삼성|삼성그룹]]이나 [[롯데|롯데그룹]]과 같은 구도가 나올 수 있다. [[파일:삼성그룹 순환출자.png|align=center]] * [[삼성그룹/순환출자 문제]] * [[현대자동차그룹/순환출자 문제]] * [[http://ojsfile.ohmynews.com/SVC_FILE_NM/2012/09/12/0000001224_IE001487971_STD.jpg|삼성그룹 지분도]] * [[:파일:external/www.segye.com/20150806003950_0.jpg|롯데 소유 지분도]]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