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쇼가쿠칸
(r4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고압적 자세 === [[블랙기업]] 중 하나로 악명이 높다. [[만화 출판사]]계의 [[바닝프로덕션]]. [[주간 소년 선데이]]의 판매부수 급감과[* 2010년 기준으로 70만 부, 일본 3대 소년지 중 최하로, 2위인 [[주간 소년 매거진]]과는 '''2배 넘는 차이'''가 난다. 전성기인 1980년대 초에는 2백만 부를 넘겼고, 1990년대에도 150만 부대 정도는 유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처참하게 몰락한 셈.] [[라이쿠 마코토]]와의 불화 및 소학관 편집부의 [[금색의 갓슈]] 원고 분실 사건, [[신조 마유]]의 소학관 내 '''부정 폭로''' 등으로 이미지는 나빠진 지 오래이다. 작가를 대등한 계약관계로 보지 않고 '우리가 잡지에 연재시켜 준다'는 고압적인 태도 및 일방적인 고료 동결 및 강제휴재, 자신들에게 반하는 작가에 대한 [[유언비어]] 살포, 단행본을 절판시키겠다며 작가에 대한 협박 등 출판사가 [[야쿠자]]가 아닌가 싶은 행동을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진상을 아는 사람들 중에는 차라리 소년 선데이가 폐간되고 소학관이 망해버리길 바라는 부류도 있을 정도. 이런 고압적인 자세는 한국 정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산문화사]] 측에서 일부 작품의 한국 정발 출판이 지지부진한 이유가 일본 소학관 측에서 원고를 늦게 주기 때문이라고 밝혔고, 심지어 간판 밥줄인 [[명탐정 코난]]도 근 100여권이 발매될 동안 한국 발매일이 들쑥날쑥한데다 심지어 기약 없이 연기되는 일까지 생기곤 한다. 극장판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관련해서도 더빙에 관련하여 갑작스런 로컬라이징 금지로 논란이 있었다. 이 때문에 이후 극장판들은 일괄적으로 비 로컬라이징으로 상영되고 있으며, [[흔들리는 경시청 1200만 명의 인질|TVA]]와 연관이 깊은 [[할로윈의 신부|극장판]] 역시 비 로컬라이징으로 처리되었다. [[흑철의 어영]]부터는 이러한 부조리성이 더욱 노골적으로 두드러지기 시작했는데 극장판은 비 로컬라이징으로, [[명탐정 코난: 하이바라 아이 이야기 ~흑철의 미스터리 트레인~|TVA 총집편]]은 로컬라이징 더빙판이 따로 나오는 혼란스러움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후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역시 극장판은 비 로컬라이징으로[* 그런데 이쪽은 작품 자체가 로컬라이징 불가 수준으로 [[왜색]]이 지나치게 강하다.], TVA 총집편은 로컬라이징으로 방영되었다. 이후 추가적인 개입이 있지 않는 한 앞으로도 이러한 부조리한 분리주의 체제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이나 지자체를 홍보하기 위해 금지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지만, 사실 가능성이 그리 높진 않다. 당장 도쿄 올림픽 홍보라는 루머가 있었던 비색의 탄환은 아예 올림픽 라이센스를 따오지도 않아서 WSG라는 가상의 명칭을 사용하며 미국에서 일어난 사건과 연결짓는 용도로 등장할 뿐 WSG 도쿄는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는다. 애초에 WSG 스폰서 회장들을 대상으로 발생한 연쇄 납치극 및 살인 사건이 주 스토리라인인데, 이게 올림픽 홍보용 영화일 리는 없을 것이다. 게다가 하치조지마 홍보 아니냐는 말을 들었던 흑철의 어영도 감독이 인터뷰에서 가공의 섬을 무대로 할 예정이었다가 퍼시픽 부이 설정을 추가하며 무대를 하치조지마로 정했다고 밝혔다. 만약 정말 홍보용이었다면 처음부터 무대가 하치조지마로 정해져 있었어야 할 것이다. 코난 극장판 시리즈는 원래부터 실제 배경을 무대로 하거나 모티브로 삼아왔는데, 이유도 밝혀지지 않고 갑자기 로컬라이징이 금지되자 팬들 사이에서 이러한 추측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그 밖에도 기존에 로컬라이징이 적용되고 있던 [[이누야샤]]의 정식 후속작, [[반요 야샤히메]]까지 로컬라이징을 금지[* 단, 1기에서부터 신규 캐릭터들은 일본어 원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설정 관련 번역에서도 어정쩡한 로컬라이징이 벌어진 것 때문에 번역 면에서의 평가가 매우 좋지 않았다. 이후 2기에서는 현지화를 포기하면서 추억 장사에서도 완전히 실패하였고, 애니메이션 자체의 퀄리티도 저열한 탓에 결국 그대로 묻혔다.]시켰고, [[명탐정 코난]]의 TV판에까지 로컬라이징에 관해 이의제기를 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반감을 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