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외교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UN과의 관계 == 소련은 [[유엔|국제연합]](UN)에서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자리를 차지했으나 타 상임이사국들([[미국]]·[[프랑스]]·[[영국]]·[[중화민국]])이 모두 [[제1세계|서방세력]]이어서 거부권(Veto)을 행사하는 선에서 영향력을 행사했고 대부분의 시기 동안 서방세력(미국)과 신경전을 벌였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7318&cid=40942&categoryId=40513|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46872&cid=43124&categoryId=43124|네이버 지식백과]] [[소련 헌법|헌법]]으로 소속 공화국들의 '명목상' 외교권을 인정했기 때문에[* 실제로 소련 내 공화국들은 각 국가별로 외무부가 있었다. 물론 실질적인 역할은 여권 발급같은 소소한 업무가 주였다.] 소련과는 별도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 [[벨라루스]])도 [[유엔]]에 창설멤버로서 가입했다. UN 창설이 처음 논의되었던 [[얄타 회담]] 당시 미국과 영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필리핀]]과 [[인도 제국|인도]]를 가입시키려고 하자 소련은 이에 대한 반발로 15개 공화국을([[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를 제외한 나머지 15개 공화국) 같이 가입시키려고 했다.[* 유엔의 전신인 [[국제연맹]](LON)에서도 [[영국]] 본국뿐만 아니라 [[대영제국]]의 자치령들과 최대 [[식민지]]인 [[인도 제국]]에도 개별적으로 회원국 지위를 주어서 영국이 사실상 여러 표를 행사했는데 소련이 유엔에서 이걸 흉내내려고 한 것이다. 참고로 국제연맹 설립 당시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사실상 최대 강대국 지위가 [[미국]]으로 넘어가고는 있었으나 아직까진 영국이 최강자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이런 특례를 부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제연맹]] 문서 참조.] 하지만 [[미국]]이 48개 주를 모두 가입시키겠다고 응수하자 연합국끼리 조율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소련의 창설 멤버였던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가 가입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물론 예상대로 [[소련 붕괴]] 전까지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는 철저히 소련의 거수기 역할을 했다.][* Reynolds, David (2009). Summits : six meetings that shaped the twentieth century. New York: Basic Books. ISBN 978-0-7867-4458-9. OCLC 646810103][* Stalin: The Man and His Era. by Adam B. Ulam, p. 606-607]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