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언어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토착화 === 1918년부터 1920년까지는 비러시아 민족에 대한 언어 교육의 평등권이 확립된 시기이다. 레닌은 [[문맹]] 퇴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언어 보급 정책을 실시했는데, 그 어떤 언어도 국가 언어의 지위를 가질 수 없다고 선언하고, 모든 민족은 평등하다는 평등정책을 실시하게 된다. 언어 보급 정책의 핵심은 물론 [[학교]]였다. 학교 일선에서 민족어의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소련의 초기 언어정책은 [[러시아 제국]]의 언어 상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의 [[문맹률]]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었다. 1879년 인구 센서스에 의하면 9~49세 사이 전체 인구 중 식자율이 24%에 불과했다.[* Kaiser(1994), Lewis(1972)] 특히 농촌과 비러시아계 민족들의 문맹률 문제는 더욱 심했는데, 농촌은 인구의 19%, [[중앙아시아]]의 경우 [[남성]]의 10%, [[여성]]의 3%만이 [[문맹]]을 벗어난 상태였다. 따라서 일반 대중에게 [[공산주의]]와 [[혁명]]의 당위를 설파하려면 당연히 [[문맹]]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초창기의 언어 보급 정책의 방향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소련의 국부인 [[블라디미르 레닌]]이었다. 레닌은 자신부터가 순수한 [[슬라브|러시아계]] 혈통과는 거리가 멀었고,[* 추바시(튀르크계)+칼미크(몽골계)+유대계+러시아계 혼혈이다.] 개별 민족의 자유에 우호적이며, 러시아어가 공용어로 체택되는 것에 반대했다. 이러한 레닌의 사상은 초창기 언어 정책에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이 시기에 [[소련]] 영토에 산재한 다양한 언어들은 극히 소수를 제외하면 대단히 [[막장]]스러운 상황이었다. [[러시아 혁명|혁명]]이 일어난 시점에서 약 130개 이상의 언어가 존재한 것으로 추산되는 데 반해 단 13개 언어만이 문어(文語)로서 기능하고 있었고, 19개 언어만이 [[문자]]를 가지고 있었다. 이런 열악한 상황에서도 민족어의 표준화 정책 및 보급은 성공적이어서 1934년에는 무려 104개의 민족언어로 [[교과서]]가 출판되기에 이르렀다. 이 시기의 소련의 민족정책을 일컬어 '''토착화(коренизация)'''라고 한다. 토착화는 그 이전의 대러시아주의 성향의 러시아 제국의 민족정책에 반대되는 정책이었다. [[문자]] 개혁 또한 활발히 진행되어서, 문자가 없는 민족들과 쓸 문자가 없어 자신들 종교의 문자인 [[아랍 문자]]를 쓰는 민족에게는 [[슬라브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표기하기 힘든 문자인 [[키릴 문자]]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로마자]]를 언어에 맞게 변형하여 제공하고, 고유의 문어 전통이 확립된 지역에는 그들의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해주었다. 당시 로마자를 보급한 이유는, [[아랍 문자]]나 [[몽골 문자]]같은 토착 문자보다 로마자가 교육하기 쉽고, 유연한 표기가 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초창기 소련에서는 러시아어 또한 1929년에 과학인민위원부 주관 아래 로마자로 바꾸려는 시도가 있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Russian_Latin_alphabet|러시아어 로마자 (영어 위키피디아)]]] 또한 건국 초기 소련은 초창기 노동자 계급의 국제주의적 단결을 중요시 한 이상에 따라 러시아 제국 시절 탄압받던 민족을 우군으로 보고 소련 체제로 편입시키고자 했다. 여기에 로마자를 매개체로 당시 [[아랍 문자]]를 사용하고 있는 튀르크계, 캅카스계 민족과 [[몽골]] 문자를 사용하고 있는 민족들이 토착 종교, 민족 전통을 중심으로 한 반소적 정치적 움직임을 차단하고자 했다.[* 실제 소련은 1920년대 중앙아시아에서 활동하던 반러 이슬람 바스마치 운동을 약 10년 넘게 진압하면서 많은 애로사항을 겪었던 적이 있었다.] 이 당시 사용한 로마자들을 일명 소비에트 라틴 문자(Soviet Latin)라고 하는데, 현재까지 유니코드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http://unicode.org/L2/L2011/11360-soviet-latin.pdf|제안]]은 올라왔는데 몇 년 째 알 수 없는 이유로 무소식이다.] 당시 로마자 표기법이 제정되었거나 프로젝트가 진행된 언어들의 목록은 [[https://en.wikipedia.org/wiki/Latinisation_in_the_Soviet_Union|여기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이 중에는 [[프리모리예 지방|연해주]]에서 사용되는 [[한국어]]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1935년에 알렉산드르 홀로도비치(Александр Холодович, 1906~1977)가 만든 표기법이 발표되었으나 결국 한글을 계속 쓰기로 결론나면서 실제 사용되지는 않았다.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비에트 정권의 문맹 퇴치 정책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러시아 제국]] 말기 1897년 식자율은 24%에 불과했지만 1959년에는 97.9%에 이르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