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세벌식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상세 == [[미국]]의 [[드보락]](Dvorak)과 비슷한 취급을 받지만 미국에서 복수 표준인 [[드보락]]과 달리 세벌식은 국가 표준 자판이 아니다.[* 그나마 공병우의 세벌식 3-90, 세벌식 최종 자판이 [[Windows]], [[Mac OS]] 및 각종 소프트웨어에서 기본 지원되어 세벌식 자판 중에서는 [[사실상 표준]] 지위를 누리는 중이다.] [[50년대]], [[60년대]] [[타자기]]를 쓰던 시대에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에서도 쓰던 자판 배치이다. [[6.25 전쟁]]의 정전협정문 원본도 공병우 세벌식 타자기로 썼을 정도.[[https://pat.im/836|#]] [[손원일]] 제독이 군수품으로 들일 정도로 전쟁에도 영향을 어느 정도 미쳤다. 하지만 [[1969년]]에 세벌식보다 느린 네벌식이 국가 표준 자판으로 지정되면서 점점 세력을 잃었다.[* 네벌식은 세벌식과 달리, 종성이 있을 때와 없을 때 사용하는 중성 자판이 달랐다. 즉 초성 한 벌, 중성 두 벌, 종성 한 벌이 있으니 총 네벌식.] 다만 [[전신]] 타자기에서는 풀어쓰기를 하는 두벌식을 밀어내고 국제 표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결국 1969년에 [[전보|텔레타이프]]용으로 네벌식타자기를 살짝 고쳐 만들어진 [[두벌식]]이 1983년에는 컴퓨터 표준으로까지 지정되면서, 다섯벌식과 함께 외면받게 된다. [[http://www.ebs.co.kr/tv/show?courseId=BP0PAPB0000000009&stepId=01BP0PAPB0000000009&lectId=3063743|동영상]]. 정작 웃긴 것은 세벌식이 두벌식보다 먼저 나왔다는 점이다. [[VHS]]보다 먼저 나왔음에도 VHS에 밀린 [[베타맥스]]와 비슷한 경우. 90년대 들어, [[윈도우 3.1]]/[[MS-DOS]]용 한컴타자연습(한글 97까지 사용)은 세벌식과 [[드보락]] 자판 연습 기능을 모두 제공했으며, "보고서"에서 세벌식의 장점을 설명해 놓은 글을 긴글 연습용으로 제공하기도 했다. 이것이 대중에게 세벌식의 존재와 유리함을 알린 대표적인 경로였다.[* 물론 이 역시 문제는 있었다. 3-91 자판(공병우 최종 자판)의 경우 자리 연습 7단계에서 ㅎ, ㄴ, ㅌ, ㅗ만 치도록 되어 있고, 도스 버전에서는 3-91 자판(공병우 최종 자판)을 지원하지 않았다. 또 쌍자음을 자음 연타로 입력해야 함에도, 한 번만 치도록 안내하고 있으며, 조합용 ㅗ, ㅜ를 써야하는 단어도 제대로 안내하지 않았다.] 참고로 [[타자기]]에 쓰인 세벌식은 저 위의 그림과 조금 배치가 다르다. 제작자 공병우 박사가 자주 글쇠 위치를 바꿔서, 시대에 따라 배치가 조금씩 다르고 종류도 다양하다. 이론적으로는 3-91 자판(공병우 최종 자판)으로도 수동식 타자기를 만들 수 있지만 컴퓨터 시대로 넘어온 뒤 발표된 배열이어서 실품은 없다. 자판이 통일되지 않아서인지 세벌식은 2023년 최근까지도 '새로운 독자적 세벌식 배열'이 끊임없이 등장하는데다가 각각의 배열마다 (개발자가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한) 새로운 개량판이 나오고 있다[* 이것은 소소한 변경이 아닌, 글꼴 간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서로 바꾸는 것들도 포함한다]. 세벌식이란 것이 특정 단체에서 관리하는 체계를 이르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글자가 세 벌로 된 체계를 부르는 개념적인 용어여서 그렇다. 세벌식의 종류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그 기원과 구조가 상이한 배열들을 통틀어서 세벌식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확히는 새로운 대안 자판을 만들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는데, 이렇게 제시되는 배열들이 세벌식으로 분류된다고 보는 것이 맞다. 물론 [[두벌식/자판 종류|두벌식 자판]]도 계속 새로운 배열을 만드는 사람들이 있긴 하지만, 국가에서 정해진 표준 배열이 존재하기 때문에 [[두벌식]]이라고 말하면 대부분 표준 자판을 일컫는 것이다. 하지만 세벌식은 정해진 표준 자판이 없으니 다양한 배포판이 난립하는 [[Linux|리눅스]]와 마찬가지로 입문자에게 혼란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입문자들은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아도 Windows, Mac OS 등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그래서 업무용 PC나, 심지어는 각종 컴퓨터 자격시험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한컴오피스]]의 경우 제 3글자판으로 세벌식을 설정해 두면 다른 두벌식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세벌식을 쓸 수 있다.][* 다만 [[컴퓨터활용능력]]시험의 경우 규정상 세벌식 자판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시험 종료 후 컴퓨터가 잠겨버려 다시 두벌식으로 바꿀 시간이 없는 탓에 다음 시험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어서 그런 듯.] 3-90 자판이나 최종 자판을 사용하는 경우가 흔한데, 이 두 자판마저 각자의 장단점이 뚜렷해서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