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분류
:공산주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마오주의]] ==== [[마오주의]], 모택동 사상이라고도 한다. 마오주의는 1920년대 혁명 투쟁 과정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여 [[정강산 투쟁]], 강서 소비에트 임시 정부, [[대장정]], 국공 합작과 중일 전쟁, 국공 내전,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 대약진 운동, [[문화 대혁명]] 등을 거치면서 완성되었다. [[마오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그 기반 자체가 다르다. 계급 이론에 따라서 [[마르크스주의]]는 [[농민]]을 소부르주아 계급으로 뒀고 이들은 절대 혁명의 주체가 될 수 없고(아니면 아예 반동적으로 우리에 반대하거나) 그렇기에 혁명의 주체는 오직 도시 노동자 즉 [[프롤레타리아]] 계급만이라고 외쳤다. 하지만 [[마오쩌둥]]은 이 이론 자체에 반대한다. 당시 중국의 상황은 인원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던 것도 있지만 [[마오쩌둥]] 자체가 아나키즘, 특히 [[표트르 크로포트킨]]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그는 혁명의 주체를 '''도시 노동자가 아닌 농민'''으로 규정하였다. 이는 그의 초기 협작사[* [[협동조합]]을 중국에서 부르던 명칭.] 운동을 하던 것도 이런 이유이다. 즉 마오쩌둥은 혁명 이론부터가 [[농민]] 중심적인 비(非)[[마르크스주의]]적 계급관이었다는 소리이다. >신문화 운동 시기에 호조라는 개념은 아나키스트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진보적인 지식인들이 받아들이고 있었다. 예를 들어 채원배는 크로포트킨의 호조론을 전통적 중용과 대동론을 매개로 수용하면서 호조론을 마르크스의 계급 투쟁론보다 높이 평가했다. 그는 ‘호조’란 개념이 이석증의 번역과 소개로부터 유래한 것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밝혔다. 채원배의 호조론에 대한 가장 자세한 언급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촉발된 두 강연, 즉 〈유럽전쟁과 철학〉(1918년 10월)과 〈암흑과 광명의 소장消長〉(같은 해 11월)에 나타난다. 여기서 그는 암흑의 강권론이 소멸하고, 광명의 호조론이 연합국의 승리를 가져왔으며, 이에 “모든 사람들이 신앙한다”고 말했다. 게다가 톨스토이나 니체의 사상보다 크로포트킨의 호조론이 우월하며 진화론의 공리라고 평가했다. 진독수와 이대조(李大釗), 주작인(周作人), 모택동(毛澤東) 등 거의 모든 진보적인 인사의 글 속에서도 『호조론』의 영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상호 부조의 정신은 중국 초기 공산주의자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쳐 중국 마르크스주의의 특징인 인민주의적인 정신과 윤리 중심적인 경향에 기여했다.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josehyeon-dongasia-anakiseuteuyi-gugje-gyoryuwa-yeondaedongasia-anakiseuteuyi-gugje-gyoryuwa-ye|동아시아 아나키스트의 국제 교류와 연대, 적자생존에서 상호부조 - 조세현]] 그 외에도 [[마오쩌둥]] 자체가 당시 중화 [[아나키즘]]의 일종의 성지였던 [[상하이시]]에서 활동한 바가 있으며 실제로 초기 마오주의는 [[아나키즘]]적 성격 특히 [[표트르 크로포트킨]]의 성격이 많이 나온다. 인민 공사, 농촌 인민의 자발적인 투쟁, [[코뮌]]민주주의 등이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 그래서 [[문화 대혁명]] 전까지만 보면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라 오히려 [[아나키즘]]의 변종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이다. 물론 [[문화 대혁명]]이 [[마오쩌둥]]의 강제적 진압으로 끝을 맺으며 이러한 성격은 사라젔다. 마르크스-레닌주의와 구분되는 마오주의의 특징에는 다음 네 가지가 있다. 1. 혁명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농민-노동자의 계급 동맹을 중심으로 민족 자본가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통일 전선을 형성하여, '''농촌'''을 혁명 근거지화 하여 장기간의 유격전을 전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 인간의 인식은 생산 활동·계급 투쟁·과학 실험 등의 실천 과정에서 형성되며, 이론은 실천을 통하여 그 정확성이 검증되고 확대된다며 실천을 중시하였다. 3. 모든 사물의 발전 과정에는 모순이 존재한다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변증법을 확대시켜, 모순을 적대적 모순과 비적대적 모순으로 구별하였다. 또한 사회주의 사회에서 인민 내부의 모순을 비적대적 모순으로 규정하고, 그 해결 방법으로 비판·설득·사상 개조·교육 등을 제시하였다. 4. 자본주의 사회가 전복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수립된 후에도 계급·계급적 모순·계급 투쟁,[* [[문화 대혁명]] 당시 이 계급 투쟁에는 공산당 간부와 비공산당 인민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즉 공산당 간부들도 계급 투쟁으로 무너뜨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던 시기.] 사회주의 노선과 자본주의 노선 간의 투쟁, 자본주의 복구의 위험성 등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모순은 오직 혁명을 계속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사실 이는 [[로자 룩셈부르크]] 같은 이들이 주장했던 사회 영구 혁명론과 비슷한데 혁명은 완성될 수 없는 존재이고 계속해서 혁명하고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마오주의는 반엘리트주의라는 성격에 맞게 [[제3세계]]나 특히 중남미에서 괴력을 발휘해, [[쿠바 혁명]]이나 베트남 독립, 그리고 네팔의 왕정 폐지의 원동력이 되었다. 하지만 정작 마오주의의 본국인 [[중국|중화 인민 공화국]]에서는 마오주의가 금지돼 있는 상태이며 [[문화 대혁명]] 당시 극좌파 인민들의 '''국가 해체, 관료주의 철폐, 코뮌 민주주의의 실현, 군대 해체와 인민의 자발적인 무장, 인민 공사의 실현, 권위주의의 철폐'''라는 주장[* [[아나키즘]]의 모습이 보인다면 잘 맞췄다. 극좌파 홍위병들은 [[마오주의]]의 [[아나키즘]]적 모습에 감명을 받았고 실제로도 이를 이행하려 했다.][* 출처: 문화대혁명과 극좌파 연구 - 손승회]을 당내 중도로서 존재했던 [[마오쩌둥]]이 권력 유지를 위해 강제로 진압하면서 [[마오주의]] 자체가 세가 줄어들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