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부산광역시/문화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행사 == * 서울과 더불어 [[코믹월드]]가 열리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통칭 '''부코'''. 서코 부코 양쪽 다 다니는 사람들은 부코가 사람은 적어도 분위기가 낫다고 말한다. 그 외에 [[G-STAR]], [[부산불꽃축제]]는 아래의 관광란에 나온다. * 매년 [[여름]]마다 부산 바다축제를 개최하여 주요 해수욕장에서 다양한 행사들이 펼쳐진다. 해수욕장에서 하지는 않으나 부산국제락페스티벌은 [[2012년]] 현재 13회째 무료로 개최하고 있지만 인지도가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에 비해 많이 딸린다. 해외 출연진 라인업이 빈약해서 인듯. 그러나 지산이나 펜타에서 볼 수 없는 [[다크 트랭퀼리티]], [[디어사이드#s-1.2]]와 같은 헤비메탈 밴드들이 온다는 점에서 메탈 팬들에게 환영받는 페스티벌. 가스파드 작가의 웹툰 [[선천적 얼간이들]]에서도 언급이 되었다. * 구도심 쪽에서는 [[일본]]으로 출항하던 [[조선 통신사]] 기념 축제 등이 열린다. 이곳에서 시작된 [[부산국제영화제]]는 신도심 쪽으로 건너가서 부산을 상징하는 행사 중 하나가 되었다.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결승도 항상 [[광안리]]에서 치러졌었지만, 프로리그가 침체기를 맞은 [[2011년]] 이후부터는 열리지 않았고 결국 프로리그가 폐지되면서 광안리 결승을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이 2013년부터 열리고 있다. 통칭 '''부코페'''. 2014년부터는 순환 개최되었던 아시아송 페스티벌이 부산에서 영구 개최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2014년 롤챔스 서머 결승을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진행했다. * [[레진코믹스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 시즌 3]] 결승전이 해운대해수욕장에서 개최되었으며, 관련 행사도 개최되었다. * 게임 개발자 행사로써는 매년 가을에 부산인디커넥트(BIC)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 행사는 국내 인디게임 중 가장 큰 규모의 행사라고 한다. * 2001년부터 2년마다 [[부산국제모터쇼]]가 개최된다. * 부산광역시에서 개최한 주요 국제 행사 중 가장 큰 행사급이였던 것으론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이 있었다. * 2022년 기준 현재는 2030년에 [[엑스포]]([[2030 엑스포]])를 개최하려 사활을 걸고 있다. 참고로 이 엑스포는 등록박람회로, 한국은 아직 인정박람회만 두 차례[* [[1993 대전 엑스포|1993년 대전]], [[2012 여수 엑스포|2012년 여수]]] 개최했을 뿐 등록박람회는 한 번도 개최한 적이 없다. 등록박람회와 인정박람회의 차이는 [[엑스포]] 참조. 정부와 부산시는 2022년 6월 20일과 21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국제박람회기구(BIE) 2차 경쟁프레젠테이션(PT)에서 승기를 잡는다는 방침이다. 유치를 위한 홍보대사로 이미 [[이정재]]와 [[오로지(버추얼 인플루언서)|로지]]가 임명되어 활동중인 상태이며 2022년 6월 16일 [[방탄소년단]]이 추가 확정됐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61619292547560|#1]]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20617.33002004482|#2]]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88127|#3]] [[https://www.etoday.co.kr/news/view/2144401|#4]] * 6월 24일 오전 체결된 업무협약에 따라 △방탄소년단의 2030부산세계박람회 홍보대사 위촉 △엑스포 유치 기원 방탄소년단 글로벌 부산 콘서트 개최 △BIE 회원국 특성 살린 유치 교섭 활동 △BIE 현지 실사 진행 때 방탄소년단 멤버가 실시 대상 장소 직접 안내 △BIE 총회 경쟁 PT에서 홍보대사 역할 수행 △개최지 선정 투표일 현장에 참석해 부산 개최를 지지하는 요청 메시지 전달 △디지털 홍보활동을 위한 영상과 사진 촬영 △공식 SNS를 통한 홍보 영상 확산 등의 홍보활동을 진행한다. [[https://news.v.daum.net/v/20220624103302318|#1]] [[https://entertain.v.daum.net/v/20220624103150271|#2]] [[https://entertain.v.daum.net/v/20220707182010360|#3]] * 7월 6일 [[이성권]] 신임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유치활동과 관련해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삼성전자]] 부사장과 팀을 꾸려 오는 7월 18일부터 2박 4일 일정으로 벨기에를 방문해 현지 사무소를 둔 사모아 등 7개국을 대상으로 교섭 활동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 부산을 방문한 외국 주요 인사의 반응이 좋았던 만큼 2030부산엑스포 유치활동에 이른바 '초청 외교'를 적극 활용할 것을 유치위원회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방탄소년단의 홍보대사 활동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며 7월 7일 서울에서 2030엑스포 유치위원회, 부산시, BTS 소속사인 하이브가 만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했다. [[https://entertain.v.daum.net/v/20220706154837703|#]] [[https://youtu.be/Xem1Vx7IGLQ|7월 8일 홍보대사 BTS 응원 영상]] [[https://youtu.be/gSUEDGj7ZvI?t=1264|7월 19일 홍보대사 위촉식]] * 사실 원래 올림픽 개최를 추진했지만 평창, 도쿄, 베이징 3연속으로 동아시아 올림픽이 성사되어 당분간은 동아시아에서는 올림픽 개최가 불가능해진데다 갈수록 올림픽 개최으로 인한 비용도 만만찮은 등의 문제로 인해 방향을 바꾼 것. 만일 부산이 2030 등록박람회 유치에 성공한다면 한국은 [[벨기에]], [[프랑스]], [[미국]], [[아이티]](???)[* ???이 붙은 이유는 해당 국가 문서로.], [[캐나다]], [[일본]], [[스페인]], [[독일]], [[중국]], [[이탈리아]], [[아랍에미리트]]에 이어 12번째로 등록박람회를 개최하는 국가가 된다. 아시아 국가들로만 한정한다면 일본, 중국, 아랍에미리트에 이어 4번째다. * 엑스포 유치 기원이라는 명목으로 2022년 10월 15일(토) 오후 6시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BTS 콘서트 "[[방탄소년단/공연#s-2.10|Yet to Come in BUSSAN]]"이 개최될 예정이며 오프라인 공연, LIVE PLAY,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https://v.daum.net/v/20220902150700814|기사1]] [[https://v.daum.net/v/20220902153451776|기사2]] [[https://theqoo.net/2572777900|상세 안내]] 그런데 부산시 측의 무리한 개최 계획으로 인해 부산시가 비판을 받았다.[* 당초 일광 특설무대([[기장군]] [[일광읍]] [[일광로]] 188)에서 치러질 예정이었으나 여러 문제들로 인해 9월 2일 장소를 변경했다. [[https://theqoo.net/2559735246|공지]] [[https://theqoo.net/2565765841|상세 안내]] [[https://entertain.v.daum.net/v/20220824110958469|기사1]]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208280010|기사2]] [[https://v.daum.net/v/20220830122115426|기사3]]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82913570001411|기사4]]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03134_35744.html|뉴스1]]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03530_35744.html|뉴스2]]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03532_35744.html|뉴스3]]] 고작 콘서트 하나 가지고도 이런 사달을 내는데, 엑스포를 개최할 역량이 부산시청에 있기는 한지 의문을 자아냈다. * 부산시청 뿐만 아니라 부산의 일반 시민들도 BTS 공연을 기회 삼아 한몫 챙기려 드는 모습을 보였는데, 대표적으로 숙박 바가지 논란이 있다. BTS 공연 개최지가 아시아드경기장으로 변경되자마자 인근 숙박업소들은 이전에 이미 받아놓았던 예약자의 예약을 강제로 취소하고 숙박비를 10배 넘게 부풀려서 새 예약자를 받고 있다. 부산시청과 부산 시민들의 이러한 행태에 되려 부산의 이미지가 실추되었다. [[http://www.knn.co.kr/263557|지역 언론 KNN 보도]]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90215192379327|지역 언론 부산일보 기사]]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76182|JTBC 뉴스룸 보도1]]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76183|JTBC 뉴스룸 보도2]] 부산시를 제외한 대한민국의 나머지 지역에서는 "BTS 공연 가지고도 이런 식으로 바가지를 씌우는데, 엑스포가 실제로 개최되면 얼마나 더 바가지를 씌우겠냐"며 엑스포 유치 반대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부산 엑스포 유치 슬로건인 "부산에 유치해"를 비꼬아서 [[https://www.youtube.com/watch?v=Am5OT8N4fjs|사우디에 유치해]]라고 하는 영상이 올라올 정도이다. * 2023년 9월 12일 [[한국음악콘텐츠협회]]와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의 부산 정례 개최를 위한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2024년부터 2026년까지 써클차트 뮤직 어워즈를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BEXCO|벡스코]]에서 연속 개최한다. 서울 이외 지역에서 열리는 것은 부산이 처음이다. 또한 뮤직 어워즈에 부산 도시 브랜드 '부산 이즈 굿(Busan is good)' 특별상을 신설하고 시상식을 활용한 관광 상품화, 지역 음악 콘텐츠 산업 및 관광산업 육성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양측은 2026년 이후 부산 개최도 자신하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912016500051|#1]]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3091210242814484|#2]]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