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벽람항로/시스템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연습전 === 메인보상으로 금부린을 주는 유사 PVP 컨텐츠. * '''진행 방식''' * 비슷한 시즌 점수의 플레이어 4명과 자동 매칭되어 그 중 한 명을 골라 그 플레이어가 설정한 방어 함대와 싸워 공훈치를 벌고, 이렇게 모은 공훈치로 금부린을 비롯한 돌파재료나 연습전 상점에서만 구할 수 있는 한정 함선, 혹은 장비상자나 성정 큐브 등을 비롯한 아이템들을 교환할 수 있다. 방어 함대는 본인이 상대 방어 함대와 전투할 때 쓰이는 공격 함대와는 별개의 구성이며, 연습전 화면의 오른쪽 하단에서 세팅해 둘 수 있다. * 연습전 전투는 오로지 수상 함대만 참가할 수 있으며,[* 전열 및 후열 각각 최대 3명까지. 때문에 잠수함대(잠수함/범선), 지휘냥(오피냐)의 편성이 불가능하다.] '''무조건 자동 전투'''로만 진행되어 어뢰 발사/항모 공습/전함 포격은 해역에서의 자율 전투처럼 장전이 되자마자 바로바로 발동된다. 또한 양측 전열이 전멸한 경우, 빠른 진행을 위해 쌍방의 후열 함선들의 공습/포격 쿨타임이 감소한다. * 해역에서와 마찬가지로 함선 레벨 보정[* 자신의 함선이 상대 함선보다 레벨이 1 높을수록 적함에 입히는 피해와 받는 피해가 각각 2% 증가/감소한다. 물론 반대로 자신의 함선 레벨이 낮다면 역보정이 걸린다.]이 존재하며, 연습전에서는 공격자에게 추가로 20%의 대미지 감소 보정이 걸리므로 대체로 공격자에게 더 유리한 구조이다. * 0시, 12시, 18시마다 도전 기회가 5회씩 추가되고 최대 10회까지만 모아둘 수 있다. 연습전 횟수가 차감되는 것은 전투 승리/패배 판정이 뜨는 시점이므로, 전황이 플레이어 본인에게 불리하게 돌아갈 경우 중지 후 이탈하여도 도전 횟수가 차감되지 않아 얼마든지 같은 상대에게 재도전 혹은 아예 상대를 바꿔 도전할 수 있다. * 한 시즌은 14일=2주로, 시즌이 마감될 때마다 도전 횟수와 랭킹이 완전히 초기화된다. 연습전에서 승리하면 시즌 점수가 쌓이는데, 시즌 점수를 일정량 쌓을 때마다 연습전 화면에서 볼 수 있는 본인의 계급이 상승하고, 우편으로 자동 지급되는 승급 보상으로 추가 공훈치를 준다. 또한 승급을 하면 할수록 연습전 횟수 소모시 얻는 공훈치가 증가한다. 그러나 준장 이상 등급부터는 일정량의 시즌 점수 충족은 물론 특정 순위 내에 들어야만 승급이 가능해지는데다 실시간 순위 변동에 따른 등급 등락이 발생한다. * 플레이어 본인과 상대의 시즌 점수 차이가 클수록 승리했을 때 추가적인 시즌 점수 획득이 가능하며, 이를 노리고 매칭된 상대가 먼저 도전 횟수를 소모해 점수를 쌓고 차이가 벌어진 뒤에야 그를 상대로 승리하는, 소위 '[[키잡]]' 전략을 통해 같은 도전 기회를 가지고도 보다 높은 등급으로의 승급이 가능하다.[[https://arca.live/b/azurlane/19014989|설명 링크]] 다만 매칭된 상대가 승리하여 시즌 점수가 상승했더라도 플레이어 본인의 연습전 화면에서는 실시간으로 상대의 점수 및 랭킹 변동사항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의 현재 랭킹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로그아웃 혹은 게임 종료 후 재접속을 해야 한다. * 연습전은 기름을 소모하지 않으면서 함선 경험치가 나쁘지 않게 들어온다는 특성상 부족한 기름에 허덕이는 플레이어라면 이 점을 활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대 방어 함대의 함선 레벨과 편성된 함선 수에 비례하여 경험치가 증가하는 구조이므로, 함선 레벨은 높되 전투력이 낮은 함대를 공격하면 승패와는 상관없이 꾸준히 횟수만 소모해도 제법 많은 함선 경험치와 공훈을 모을 수 있다. 물론 간혹 매칭되는 낚시성 방어 함대 탓에 프로필의 연습전 승률 표기에 민감한 경우라면 연습전을 통한 함선 육성은 추천되지 않는다. * 시즌 초기화 후에 비서함이 [[롱 아일랜드(벽람항로)|롱 아일랜드]]로 설정된, '자율 행동AI'라는 이름의 NPC들로 매칭 상대가 도배되어 있는 경우를 심심찮게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 변경을 해야 정상적으로 다른 유저의 방어 함대와의 매칭이 이루어진다. * '''방덱 오픈''' * 플레이어 본인이 방어 함대, 소위 방덱을 설정하여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공격받더라도 따로 방어 성공/실패 이력이 남는다던가 자원을 빼앗긴다던가 하는 피해는 전혀 없는데다 설령 자신의 방어함대가 다른 공격자에게 1패를 안겨주더라도 본인에게 들어오는 '''방어 성공에 따른 보상은 일절 존재하지 않는다'''. 애초에 상술한 공격자 보정 덕분에 연습전 시스템부터가 공격자가 20%의 방어력 버프를 받고 때리는 구조라서 일정 수준 이상으로만 키워도 종결급으로 틀어막은 방덱[* 단순히 센 함대를 구성하는게 목적이라면 강력한 서약 ur함들을 잔뜩 박아넣으면 되고, 아니면 선장전 함선들로 구성하거나 비슴쯔 혹은 임플래커블 등의 강력한 cc기를 가진 함선을 넣으면 되겠지만 연습전 특성을 생각해보면 이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시간을 오래 잡아먹는 방덱이 존재한다. 엘리트 응급 수리, 사망단체힐 쥬노, 엘드릿지, 12%회피 플릿버퍼 에식스의 존재 때문에 이글유니온이 주로 사용된다. 심하면 미러전으로 가도 공격자가 운이 나쁘면 그대로 패배하며 이겨도 막대한 시간이 소모된다. 사용되는 함선과 장비를 정리해보면-개척자 휘장, 넬슨의 수기 신호, 진주의 눈물, 엘리트 응급 수리, 엘드릿지개장, 라피2, 쥬노, 괌 또는 샌디개장 등이 전열로 자주 들어가고, 회피용 에식스, 나머지 기타 항모2다.]조차 [[미러전|같은 조합의 함대로 공격]]하면 셋팅만 어느 정도 받쳐줘도 다 뚫리기 때문에, 보통 방덱은 오픈을 권하면 권했지 틀어막으라고는 잘 이야기하지 않는다. * 오픈된 방덱의 구성은 보통 전열 함대를 부린으로 도배한다던가, 전투 능력이 사실상 없는 수준인 공작함[* [[아카시(벽람항로)|아카시]], [[베스탈(벽람항로)|베스탈]].]이나 운송함[* [[카시노(벽람항로)|카시노]], [[딩안(벽람항로)|딩안]] 등이 있다.] 또는 상대적으로 약한 스펙의 콜라보 캐릭터[* 초차원게임 넵튠, 칭송받는 자, 키즈나 아이, 아이돌마스터 콜라보. DOAX VV 이후로는 콜라보 캐릭터 스펙이 고난이도 해역 주회가 가능할 정도로 상향평준화되어 오픈 방덱 요원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로 파티를 짜놓는다던가, 오만가지 컨셉충 함대[* 특정 진영으로 통일된 함대, 로리콘 함대, 동일한 함선(원본/μ장비/꼬마/META 중 3종류 함께 편성)으로 통일된 함대, 안경 함대, 해역 드랍 함대, 개조 함대, 3성 1렙 6ur함대, 겨드랑이 함대 등이 있다.]를 짜서 올려놓는가 하는 경우가 있다. 저레벨 함선으로 도배 혹은 전후열 1명씩만 배치하여 빠르게 1승을 챙기도록 도와주거나, 120 또는 125레벨 함선들로 도배되었더라도 장비를 전부 빼서 전투력이 8천 언저리라 레벨 100 전후의 함대로도 클리어가 가능해서 경험치를 정말 많이 준다던가 하는 식으로 공격자에게 이득을 더 주려고 오픈하는 유저도 자주 찾아볼 수 있다. * 물론 '내 방덱이 강하면 누군가는 내 방덱에 패배하고 연습 횟수를 날릴테니 내 순위 오르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겠지?' 하고 방덱을 강력하게 꾸리려는 플레이어가 적지 않은 것은 사실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효한 전략일 수는 있다. 하지만 애초에 어느 정도 함선과 편성에 가닥이 잡힌 유저라면 시스템상 보정을 기반으로 당신의 방어함대가 뭐던지간에 다 뚫을 수 있으므로 방덱이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기껏해야 함선 육성이 덜 되어 이를 뚫기 어려울 수밖에 없는 유입/입문자라는 소리가 된다. 이런 입문자 대상으로 틀어막기를 시전해봤자 본인의 승급에는 기별도 안 갈테고, 도리어 뉴비는 기본 공훈치/시즌 점수도 못 벌어 당장 함대 성장에 필요한 부린을 덜 받게 될테니 사실상의 [[사다리 걷어차기|뉴비 죽이기]]에 지나지 않으므로 커뮤니티에서 방어 함대 설정에 관한 질문이 올라오면 대체로 방덱을 틀어막기보단 오픈을 권하는 것. 물론 본인이 연습전 최종계급인 원수(2200pt + in10)를 목표로 해서 약간의 순위 변화에도 민감하다면 개인의 선택에 따라 방덱을 최대한 빡세게 틀어막을 수는 있지만, 보상이 그렇게 해가면서까지 타먹을만한 가치가 있지도 않는지라 대개 [[정공#s-5|욕만]] [[네덕#s-4|잔뜩]] 들어먹는다.[* 단 오해하면 안 되는 점은 방덱은 자기 마음이라는 것이다. 엄연히 경쟁 컨텐츠이기 때문에 아무리 강하게 틀어막는다고 해도 비매너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 또한 자기만족이 들어갈 수 있는 부분이라, 물론 시간끌기용 이글유니온 방덱을 만난다면 욕지거리가 나오겠지만 그것을 죄악인 것 마냥 몰고 갈 것은 또 아니다. 즉 1.방덱을 적절히 열어놓는 것:정상, 2.방덱을 마음껏 막아놓는 것:정상, 3.방덱을 열어두자고 말하는 사람:정상, 4.방덱을 열어두지 않으면 안된다고 강제하는 사람:비정상, 5.방덱을 보고 욕하는 사람:비정상 인 셈이다.] * '''상대를 찾는 팁''' * 연습전 등반을 이제 막 시작하는 입문자라면, 함선 레벨 보정이라는 시스템이 존재하는 게임 특성상 '''전투력보다는 적 함선의 레벨을 보고''' 공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단적인 예시를 들면, 본인 함대 평균레벨이 90언저리인데 상대가 방덱에 125 함선을 하나씩 꽂아놨다? 렙차가 25이상일 경우 내 공격은 50% 덜 박히고 맞는건 50% 아프게 맞는다. 전형적인 전투력 낚시 방덱이니 웬만하면 피하도록 하자. * 틀어막힌 방덱을 구분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초심자의 경우 120레벨 이상의 UR 함선이 끼어있는 방덱은 어지간하면 피하는 편이 좋다. 또한 선제공습이 가능한 [[유니콘(벽람항로)|유니콘改]]나 [[아퀼라(벽람항로)|아퀼라]], 일반해역에서 쓸 일이 거의 없는 [[쥬노(벽람항로)|쥬노]][* 격침될 경우 자신을 제외한 적 함선 전원의 체력을 최소 25% 회복시키는 연습전 한정 사기 스킬을 보유하고 있으며, 함선 자체부터가 사기적인 방공 성능을 가졌기에 아군 항모의 공격을 약화시키다 보니 연습전 인성질의 대표 주자로 꼽힌다.]가 편성되어 있다면 최소한 얌전히 져주겠다는 생각이 없다는 뜻이나 다름없으므로, 다른 상대를 공략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롭다. ||<tablealign=center><nopad> [[파일:벽람-연습전.png|width=100%]] || * 위의 이미지가 서비스 초창기 유행했던 전형적인 [[철권 갤러리|낚시용 약자 멸시 세팅]]. SSR/UR 만렙 풀돌 구축 & 전함(or 항모)을 하나씩만 배치하는 악성 전투력 낚시이다. 이동속도와 회피율이 높은 종결급 구축함과 종결급 항모를 진열당 하나씩만 배치해 전투력 사기를 치는 악질로, 그야말로 [[모르면 맞아야죠|뉴비 능욕]] + [[피로스의 승리|잡을 수 있더라도 시간이 오래 걸림 + 적은 경험치]]의 [[삼위일체]]를 보여준다. 위 예시의 경우 전후열 1척씩이라 쉬워 보일지 몰라도, 저 둘만으로도 함선 레벨 육성이 덜 된 어중간한 스펙의 함대라면 전혀 쉬운 상대가 아니다. 그러므로 연습전은 단순 전투력 수치만 보기보다는 상대 방어 함대의 6자리가 다 찼는지, 함선 레벨은 얼만지, 함선 등급이 SSR/UR인지를 중점으로 봐야 한다. * 초고성능의 함선[* 전열의 경우 [[앵커리지(벽람항로)|앵커리지]]나 [[시마카제(벽람항로)|시마카제]], 후열의 경우 UR/DR 등급의 전함들([[뉴저지(벽람항로)|뉴저지]], [[무사시(벽람항로)|무사시]],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벽람항로)|그로세]] 등). 이들 중 상대를 제대로 엿먹이기 위해 작정하고 막는 경우가 바로 격침 당하지 않고 8초 동안 무적으로 더 버티게 해주는 '엘리트 응급 수리(유니온)'를 장비하고서 대체로 짧은 쿨타임의 주포 및 확정탄막을 꽂을 수 있는데다 준수한 부포 딜링 성능으로 전후열을 가리지 않고 무적 시간 내에 역관광을 시켜버릴 수 있는 뉴저지.]을 전열과 후열에 하나씩 배치하고서 쩌리 여럿을 섞어 1만 내외의 전투력을 갖도록 6인팟 구색만 맞춰놓거나 훗날 새로 실장된 II형 함선들[* 주로 쓰이는 것은 [[비스마르크(벽람항로)|비스마르크]]의 스킨을 착용한 [[비스마르크 Zwei]].]은 스킨 공유가 가능하다는 특성을 살리는 등의 변종 낚시 방덱도 있다. 때문에 앞서 말했듯이, 전투력 뿐만이 아닌 함선 레벨 및 등급도 확인해서 싸울지 말지 여부를 결정하면 도움이 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