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벽람항로/시스템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육성 === * 경험치 ※전열은 최대 2.4배, 후열은 최대 3.6 배. 컨디션이 120 이상인 경우 경험치 20% 보너스 || || 기함 || MVP || 컨디션+ || 적 소형 || 적 중형 || 적 대형 || 보스 || A승리 || S승리 || ||배율 || 1.5 배 || 2 배 || 1.2 배 || 1.0 배 || 1.1 배 || 1.2 배 || 약 1.5 배 || 0.83 배 || 1 배 || * 강화 재료 함선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함선의 기본스탯을 '''정해진 한계치'''까지 추가적으로 올릴 수 있는 시스템 이 한계치는 함선마다 다르고, 함선 레벨이 올라감에 따라 늘어나므로 저레벨 때 강화를 최대로 했더라도 이후 레벨업을 하면 추가로 강화해야할 수 있다. 뇌장 스탯은 구축함/경순양함/어뢰 착용 가능한 중순양함을 통해서, 항공 스탯은 항모/경항모를 재료로 써서 올릴 수 있다. 강화재료로 쓰이는 함선의 레벨이나 한계돌파 상황은 적용되지 않으며, 또한 R등급 이상 함선을 강화재료로 사용하더라도 기껏해야 N의 2배정도밖에 주지 않으니 강화에는 N등급 함선만 갈아넣고 R등급 이상의 쓸모없는 함선은 강화재료로 사용하기보단 퇴역시켜 훈장을 모으는 편이 훨씬 낫다. 도크 필터에서 추가 색인 - 강화 가능 필터를 사용하면 강화가 필요한 함선만 따로 볼 수 있다. * 개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7FFF><tablebgcolor=#fff,#1f2023> '''개조가 가능한 함선 목록''' ,,(25년 08월 14일 기준),, || ||<bgcolor=#fff,#1f2023><height=3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tablebordercolor=#007fff,#0060bf><tablewidth=100%><rowbgcolor=#007fff,#0060bf> {{{#fff,#eee '''함종'''}}} || {{{#fff,#eee '''원본'''}}} || {{{#fff,#eee '''목록'''}}} || ||<|4><colbgcolor=#fff,#1f2023><width=75px> 구축함 ||<bgcolor=#868789><width=55px> '''{{{#fff N}}}''' ||[[다운즈(벽람항로)|다운즈]], [[무츠키(벽람항로)|무츠키]], [[시그넷(벽람항로)|시그넷]], [[시라누이(벽람항로)|시라누이]], [[캐신(벽람항로)|캐신]], [[코멧(벽람항로)|코멧]], [[크레센트(벽람항로)|크레센트]], [[키사라기(벽람항로)|키사라기]], [[폭스하운드(벽람항로)|폭스하운드]] || ||<bgcolor=#3871a6> '''{{{#fff R}}}''' ||[[르 마르스(벽람항로)|르 마르스]], [[마츠카제(벽람항로)|마츠카제]], [[베일리(벽람항로)|베일리]], [[심즈(벽람항로)|심즈]], [[아덴트(벽람항로)|아덴트]], [[아리아케(벽람항로)|아리아케]], [[아마존(벽람항로)|아마존]], [[아카스타(벽람항로)|아카스타]], [[유구레(벽람항로)|유구레]], [[카게로(벽람항로)|카게로]], [[카미카제(벽람항로)|카미카제]], [[타니카제(벽람항로)|타니카제]], [[포르뱅(벽람항로)|포르뱅]], [[하마카제(벽람항로)|하마카제]], [[포춘(벽람항로)|포춘]], [[하츠시모(벽람항로)|하츠시모]], [[하츠하루(벽람항로)|하츠하루]], [[허먼(벽람항로)|허먼]] || ||<bgcolor=#764e82,#a47db1> '''{{{#fff SR}}}''' ||[[글로우웜(벽람항로)|글로우웜]],, [[니콜라스(벽람항로)|니콜라스]], [[라피(벽람항로)|라피]], [[시구레(벽람항로)|시구레]], [[아야나미(벽람항로)|아야나미]], [[안샨(벽람항로)|안샨]], [[창춘(벽람항로)|창춘]], [[재블린(벽람항로)|재블린]], [[찰스 오스본(벽람항로)|찰스 오스본]], [[카스미(벽람항로)|카스미]], [[타이위안(벽람항로)|타이위안]], [[푸슌(벽람항로)|푸슌]], [[Z1(벽람항로)|Z1]], [[Z23(벽람항로)|Z23]] || ||<bgcolor=#a48252> '''{{{#fff SSR}}}''' ||[[유다치(벽람항로)|유다치]], [[엘드릿지(벽람항로)|엘드릿지]] || ||<|4> 경순양함 ||<bgcolor=#868789> '''{{{#fff N}}}''' ||[[리앤더(벽람항로)|리앤더]], [[아부쿠마(벽람항로)|아부쿠마]], [[카를스루에(벽람항로)|카를스루에]], [[쾰른(벽람항로)|쾰른]] || ||<bgcolor=#3871a6> '''{{{#fff R}}}''' ||[[뉴캐슬(벽람항로)|뉴캐슬]], [[라이프치히(벽람항로)|라이프치히]], [[센다이(벽람항로)|센다이]], [[아킬레스(벽람항로)|아킬레스]], [[에이잭스(벽람항로)|에이잭스]], [[이스즈(벽람항로)|이스즈]], [[쥬노(벽람항로)|쥬노]], [[컬루(벽람항로)|컬루]], [[퀴라소(벽람항로)|퀴라소]] || ||<bgcolor=#764e82,#a47db1> '''{{{#fff SR}}}''' ||[[닝하이(벽람항로)|닝하이]], [[에밀 베르탱(벽람항로)|에밀 베르탱]], [[얏센(벽람항로)|얏센]], [[유바리(벽람항로)|유바리]], [[진츠(벽람항로)|진츠]], [[키누(벽람항로)|키누]], [[파먀티 메르쿠리야(벽람항로)|파먀티 메르구리야]], [[핑하이(벽람항로)|핑하이]], [[헬레나(벽람항로)|헬레나]] || ||<bgcolor=#a48252> '''{{{#fff SSR}}}''' ||[[샌디에이고(벽람항로)|샌디에이고]] || ||<|3> 중순양함 ||<bgcolor=#868789> '''{{{#fff N}}}''' ||[[카코(벽람항로)|카코]], [[후루타카(벽람항로)|후루타카]] || ||<bgcolor=#3871a6> '''{{{#fff R}}}''' ||[[나치(벽람항로)|나치]], [[서포크(벽람항로)|서포크]], [[슈롭셔(벽람항로)|슈롭셔]], [[포틀랜드(벽람항로)|포틀랜드]] || ||<bgcolor=#764e82,#a47db1> '''{{{#fff SR}}}''' ||[[런던(벽람항로)|런던]], [[모가미(벽람항로)|모가미]], [[엑세터|엑세터]], [[요크(벽람항로)|요크]] || ||<|4> 전함 ||<bgcolor=#868789> '''{{{#fff N}}}''' ||[[네바다(벽람항로)|네바다]], [[오클라호마(벽람항로)|오클라호마]], || ||<bgcolor=#3871a6> '''{{{#fff R}}}''' ||[[야마시로(벽람항로)|야마시로]], [[이세(벽람항로)|이세]], [[후소(벽람항로)|후소]], [[휴가(벽람항로)|휴가]] || ||<bgcolor=#764e82,#a47db1> '''{{{#fff SR}}}''' ||[[넬슨(벽람항로)|넬슨]], [[메릴랜드(벽람항로)|메릴랜드]], [[웨스트버지니아(벽람항로)|웨스트버지니아]], [[콜로라도(벽람항로)|콜로라도]] || ||<bgcolor=#a48252> '''{{{#fff SSR}}}''' ||[[워스파이트(벽람항로)|워스파이트]] || ||<|4> 항모 ||<bgcolor=#868789> '''{{{#fff N}}}''' ||[[랭글리(벽람항로)|랭글리]], [[레인저(벽람항로)|레인저]], [[보그(벽람항로)|보그]], [[허미즈(벽람항로)|허미즈]] || ||<bgcolor=#3871a6> '''{{{#fff R}}}''' ||[[롱 아일랜드(벽람항로)|롱 아일랜드]], [[쇼호(벽람항로)|쇼호]] || ||<bgcolor=#764e82,#a47db1> '''{{{#fff SR}}}''' ||[[새러토가(벽람항로)|새러토가]], [[소류(벽람항로)|소류]], [[아크로열(벽람항로)|아크로열]], [[유니콘(벽람항로)|유니콘]], [[인디펜던스(벽람항로)|인디펜던스]], [[젠하이(벽람항로)|젠하이]], [[화지아(벽람항로)|화지아]], [[히류(벽람항로)|히류]] || ||<bgcolor=#a48252> '''{{{#fff SSR}}}''' ||[[에식스(벽람항로)|에식스]] ||}}}}}}}}} || 개장(改裝)이라고도 자주 불리는 시스템. 개조가 가능한 함선은 육성 메뉴의 개조 탭에서 개조도면을 사용해 개조할 수 있다. 개조가 완료되면 외관상의 레어도가 한 단계 상승한다. 개조를 완료하면 단순한 스펙 강화부터 시작해서 보유한 스킬이 강화되거나 신규 스킬이 추가되기도 하며, 착용하던 장비의 유형이 교체되거나 아예 함종이 바뀌기도 한다. 입수난이도가 낮으면서 오랫동안 써먹는 개조 가능한 함선으로는 [[아야나미(벽람항로)|첫]] [[라피(벽람항로)|스타팅]] [[재블린(벽람항로)|3종]]+[[포틀랜드(벽람항로)|포틀랜드]]와 [[유니콘(벽람항로)|유니콘]]/[[아크로열(벽람항로)|아크 로열]]/[[새러토가(벽람항로)|새러토가]]/[[인디펜던스(벽람항로)|인디펜던스]] 등이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뇌장컷에 막히는 경우 [[에이잭스(벽람항로)|에이잭스]]나 [[시구레(벽람항로)|시구레]] 개장을, 유다치 전용 개장재료인 고기향수를 얻은 경우엔 [[유다치(벽람항로)|유다치]] 개장을, 13지가 목표라면 [[샌디에이고(벽람항로)|샌디에이고]] 개장을 고려하기도 한다. [[워스파이트(벽람항로)|워스파이트]] 개조는 나쁜 건 아닌데 한정건조로 UR을 먹고 시작한 경우 우선순위가 제법 밀린다. 자체성능은 준수하니 전함이 부족하다면 노려보자. * 한계돌파 같은 함선을 중첩시켜 레벨의 최대치와 기본스탯, 기타 특수능력을 올려주는 시스템 한계돌파 시 등급별로 요구하는 물자의 양은 다음과 같다. || || N || R || SR || SSR || UR || ||1단계|| 100 || 300 || 500 || 1,000 || 1,500 || ||2단계|| 300 || 800 || 1,500 || 3,000 || 4,500 || ||3단계|| 500 || 1,500 || 2,500 || 10,000 || 20,000 || 한계돌파는 등급과 무관하게 캐릭마다 3번씩 할 수 있는데, 첫 돌파는 10레벨+1장, 2번째 돌파는 30레벨+1장, 3번째 돌파는 70레벨+'''2장'''을 요구한다. 한계돌파에서 요구하는 같은 함선의 경우, 해당 함선과 동급 또는 그 이상의 등급을 가진 [[부린]]을 대체재로 쓸 수 있다. 다만 SSR등급 부린부터는 획득이 마냥 쉽진 않기 때문에, 진행 초반에 많이 받았다고 멋모르고 아무 SSR에나 돌파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서버를 막론하고 초보 유저가 멋모르고 부린을 키우는 경우도 가끔 보인다. 실제 전투에 투입해서 써먹기엔 성능이 완전 폐급이라 대부분 며칠안에 무언가 잘못됐음을 깨닫는 편이지만, 외형은 꽤 귀엽다보니 부린을 레벨 100까지 키우거나 서약까지 하는 사람도 있다. 한국/일본서버는 한계돌파를 하지 않으면 레벨 최대치가 70레벨이고, 한계돌파 1회마다 10레벨씩 상한선이 올라간다. (단, 특수한 조건을 통해 얻는 PR함이나 UR등급 함선, META 함선 등은 예외) 중국 서버는 기본 레벨 최대치가 100이다. 한계돌파를 하면 성능이 좋아지긴 하지만 연료 소모량도 조금씩 늘어나므로, 연료 상한이 업데이트 되기 전에는 이러한 연료 소모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일부러 한계돌파를 하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 지금은 옛날 이야기. 한계돌파 시 단계별로 얻는 특수능력의 경우, xx포 포격횟수/함재기 갯수 증가, 어뢰/공습 장전 최대치 증가, xx포 효율(공격 배율) %증가 등이 있다. 한계돌파의 재료 함선이 장착중이던 장비는 자동으로 창고로 들어간다. * 인식각성 성정 유닛 1/2를 사용해, 레벨 한계치를 100에서 125로 늘리는 방법. 각성 1회당 레벨 한계치가 5씩 늘어난다. 100레벨, 한계돌파 3회를 달성한 함선은 상세화면의 레벨/경험치 부분에서 '경험치 상승' 항목이 '인식 각성'으로 변경되니 이쪽을 클릭하면 진행할 수 있다. || 레어도 ||<-2> N ||<-2> R ||<-2> SR ||<-2> SSR ||<-2> UR || || 상한 || 유닛(I) || 물자 || 유닛(I) || 물자 || 유닛(I) || 물자 || 유닛(I) || 물자 || 유닛(I) || 물자 || || → 105 || 60 || 600 || 80 || 800 || 120 || 1200 || 200 || 2000 || 300 || 3000 || || → 110 || 120 || 1200 || 160 || 1600 || 240 || 2400 || 400 || 4000 || 600 || 6000 || || → 115 || 180 || 1800 || 240 || 2400 || 360 || 3600 || 600 || 6000 || 900 || 9000 || || → 120 || 300 || 3000 || 400 || 4000 || 600 || 6000 || 1000 || 10000 || 1500 || 15000 || || 상한 || 유닛 || 물자 || 유닛 || 물자 || 유닛 || 물자 || 유닛 || 물자 || 유닛 || 물자 || || → 125 || I: 80[br]II: 40 || 800 || I: 120[br]II: 60 || 1200 || I: 200[br]II: 100 || 2000 || I: 300[br]II: 150 || 3000 || I: 450[br]II: 225 || 4500 || ||<-16> ,,1.개조 여부와는 상관없이 원판의 레어도를 기준으로 한다.[br]2.레벨 상한이 올라도 연료소비량은 늘어나지 않는다.,, || 성정 유닛 1과 2는 공통적으로 데일리 미션 - 전술연구, 코어 데이터 교환, 이벤트 상점 구매, 서브 미션 완료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고, 성정 유닛 1은 여기에 추가로 더불어 12장 이상의 메인 해역 클리어 (랜덤등장), 심화 전술 리서치 등의 군사의뢰, 큐브 구조 해석 등의 연구, 함대상점에서 교환, 다이아로 구매 등의 방식으로 입수할 수 있다. 보통 성정2는 획득방법이 한정적인 대신 그만큼 요구량도 적어 부족하긴 해도 막 찾게 되지는 않는데, 성정1은 주력함대 성장에도 필요하고 도감 120작할 때도 그렇고 언제나 필요해서 항상 부족하다. 코어데이터샵 성정유닛 교환은 꼬박꼬박 하자. * 호감도 호감도는 함선이 가지고 있는 고유값으로, 50에서 시작해 100까지 올릴 수 있다. 호감도가 100이 되면 과금 아이템인 서약의 반지를 사용하여 레벨과 상관없이 '서약'을 할 수 있고, 이 경우 호감도 최대치가 200으로 상승한다. 호감도 상태에 따라 상세 정보 화면에서의 대사와 스텟 보너스가 달라진다. ||<rowbgcolor=#eee><tablebgcolor=#fff> 상태 || 호감도 || 스텟 보너스 || 비고 || || 실망 || 0~30 || 0 || || || 낯섦 || 31~60 || 0 || 기본값 50 || || 호감 || 61~80 || +1% || || || 기쁨 || 81~99 || +3% || || || 사랑 || 100 || +6% || 서약 가능|| || 결혼1 || 101~199 || +9% || || || 결혼2 || 200 || +12% || || ※상세정보의 스탯은 보너스가 적용된 수치. (항속 제외) 호감도는 기름을 소모하는 전투에서 승리 시 0.0625(MVP는 2배), 숙소 1층 배치 함선에게 가끔 발생하는 하트 아이콘 클릭 시 0.08(최대 70), 비서함 임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증가하며(5시간에 +1, 최대 90), 컨디션 0 상태에서 전투 지속시 전투 1회당 1씩 감소한다. 호감도 100 달성 시 스탯 보너스가 6%, 서약시 최대 12%까지 증가하기 때문에 호감도 상승만을 목표로 기름을 소모하는 경우도 간혹 있는데, 보통 MVP 2배를 이용해서 호감도를 올릴 함선에게 MVP를 몰아주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다만 호감도를 50 올리려면 MVP 받는 전투만 해도 400번을 돌려야 하니 급하게 서약할 것이 아니라면 보통은 잘 안 한다. 만약 시도할 경우, 전열함이라면 1-1해역보다는 2-1해역을 권장한다. 후열에 [[베스탈(벽람항로)|베스탈]]이나 [[아카시(벽람항로)|아카시]] 등의 비전투함선을 넣어 1+1 조합의 함대를 편성한 다음 호감도를 올리고자 하는 함선에다가 +6 강화의 보라색 주포를 장착시킨 후 2-1 해역에 들어가는 식. 잠수함의 경우 3-4 해역을 추천한다. 3-4 해역은 보스를 제외한 잡몹들이 전부 잠수함 지원 범위안에 등장하며 저레벨 해역이라 MVP 유도가 편하다. 서약을 하면 성당에 온 것 같은 음악과 배경이 나오며 손에 드래그로 직접 반지를 끼워준 뒤 서약한 날짜와 함께 증표서류를 보여준다. 다만 손에 직접 반지를 끼워주는 것까진 좋은데, 이 손 일러스트가 항상 흰색의 어른 손으로 똑같아서 피부색이 하얗지 않거나 체형이 어린 함선과 결혼할 경우 꽤나 이상한 상황이 연출되곤 했다. 이후, 이를 반영했는지 캐릭터 피부색, 진영, 캐릭터의 연령에 따라서 손 피부색이나 얼핏 보이는 복식 등이 변화하게 되었다. 다만, 사쿠라 엠파이어(중앵)와 이스트 글림(동황)은 구별해놓고 서양 진영 소속함들은 전부 웨딩드레스에 똑같은 도장과 쪽지 일색이라 이는 아쉬운 부분. 만우절일 경우, 손에 서약을 하는 것이 아닌 가슴/발에 리본을 묶는 식으로 바뀌기도 한다. 결혼한 함선은 한 달에 한 번씩, 함선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연습전에선 타인에게 본인 방어함대가 보이는 것을 이용해 6서약 함선으로 말장난을 치기도 한다.[* 2023년 기준 동명의 함선들 [[허먼 II]], [[노샘프턴 II]], [[요크타운 II]], [[랭글리 II]] 같은 함선들은 스킨 혼용이 가능해 연습전 실명제가 도입되었다.] 여담으로, 호감도를 올리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우나, 호감도를 내려서 실망상태로 만드는 것은 진짜 말그대로 작정하고 아주 오랫동안 온갖 손해를 보면서 플레이를 망쳐야할 정도로 삽질을 해야하기 때문에, 절대다수의 플레이어들은 실망대사가 듣고 싶으면 간단하게 해당 캐릭터의 음성도감에서 듣는다. 입수하자마자 낯섬 상태이기 때문에 그 미만인 실망은 기본적으로 열려있기 때문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