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벤조디아제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미디어 == 힙합 음악 특히 미국 흑인들이 작사한 랩에서 Benzo나 Benz-o, Xans·Xanny(알프라졸람), Kpins(클로나제팜) 등으로 굉장히 많이 나오는데. 벤조디아제핀을 의미하는 것도 있지만 담배나 다른 약물을 의미하는 경우도 많다. 게임에서는 PS판 [[메탈기어 솔리드]]에서 [[솔리드 스네이크]]가 애용했으며 실재하는 일반명인 '디아제팜'으로 나왔다. 효과는 저격총으로 조준 했을 때 복용하면 손떨림(...)이 줄어든다.[* 실제로는 정반대의 효과가 나온다.] [[스나이퍼 울프]]가 상시 복용하는 약이기도 하며 이로 인해 [[FOXDIE]]가 발병하지 않았다. 일단은 울프 본인의 [[PTSD]] 증상을 억제하기 위해 복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명을 쓴 것에 뭔가 법적인 문제 같은 게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정황상 디아제팜을 제조하는 '''불특정 다수'''의 제약회사에서 자사의 의약품이 안 좋은 쪽으로 쓰이거나 인식되는 것을 막아야 했을 것이고, 그에 따라 게임 제작사에게 모종의 압박을 가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아닌 것 같지만 '''이 약도 엄연히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로 규제받는다.''' 따라서 [[모방범죄|이상한 곳]]에 쓰면 바로 [[깜방|철창행]]이다.] [[메탈기어 솔리드 2]]부터는 같은 역할을 하는 약물이 '펜타제민'(Pentazemin)이라는 가상의 약으로 바뀌었다. MBC 드라마 [[검법남녀]] 에피소드7의 등장인물인 최화자가 [[공황발작]]을 일으키고, 찬장에서 해당 약물을 급히 복용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플라스틱 용기에 벤조디아제핀이 기입되어 있다. HBO 드라마 [[제너레이션 킬]]에서 이라크 난민들이 미군들에게 발륨을 달라고 계속 요구하는데, 포격에 의한 공황 때문에 쓰던 발륨에 중독된 듯이 묘사한다. 소설 [[레인보우 식스]]에서는 흑막들이 유용하게 사용한다. 실험체 환자들에게 항상 발륨이 첨가된 음식을 먹여 그들이 자신들의 상태에 의구심을 갖거나 반항하지 못하게 하는 것. 그 외에도 테러범들이 음식물을 요구할 경우 발륨이 섞인 음식물을 제공한다고 언급된다. [[팀 포트리스 2]]를 기반으로 만든 [[SFM]] 애니메이션인 [[에메시스 블루]]에서는 '에메시스 블루'라는 이름의 디아제팜이 등장한다. 만화 [[일하는 세포 BLACK]]에서는 31화에서 몸의 주인이 알코올과 동시, 과다복용해 자살을 시도한다. 힙합계에서도 [[이모 힙합]]의 태동과 함께 힙합 곡의 가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골손님이 됐다. [[릴 우지 버트|Lil Uzi Vert]]의 히트곡 XO Tour Llif3의 가사에서도 등장하였으며 이모 힙합 장르의 곡이 아닌 [[트래비스 스캇|Travis Scott]]의 히트곡 SICKO MODE에서도 피쳐링한 [[드레이크|Drake]]가 가사에서 자낙스를 언급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