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벤조디아제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벤조디아제핀 유사체 === 엄밀히 말하면 벤조디아제핀은 아니지만 유사한 구조와 약효를 나타내는 약물들이다. 디아제핀 고리에 벤젠 고리 대신 황이 하나 들어간 오각형 모양의 티오펜(Thiophene) 고리가 붙어있는 티에노디아제핀(Thienodiazepines)과 디아제핀 고리에서 질소가 붙은 위치가 다른 2,3-벤조디아제핀 등이 있다. * '''티에노디아제핀류(Thienodiazepines)''' * 벤타제팜(Bentazepam)^^{{{#yellow '''▲'''}}}^^ 상품명: 티아디포나(Tiadipona®, 애보트) * 클로티아제팜(Clotiazepam) 상품명: 리제(Rize®, 다나베미쓰비시제약, 대웅제약) * '''티에노트리아졸로디아제핀류(Thienotriazolodiazepine)''' * 에티졸람(Etizolam) 상품명: 데파스(Depas®, 다나베미쓰비시제약, 종근당) 강력한 항불안 작용을 가지고 있다. [[불면증]]에 자주 사용되며, 근이완작용도 가지고 있다. 약효가 3~6시간 정도로 아주 짧다. 일본에서 개발된 약물로 의료용으로 허가된 국가가 4개국 정도이고 미국에서는 규제받는 약물이 아니었어서 굉장히 많이 퍼졌었으나 결국 DEA가 2023년 7월 26일 에티졸람을 플루알프라졸람, 클로나졸람, 플루브로마졸람, 디클라제팜과 함께 2025년 7월 26일까지 Temporary Schedule I으로 지정하는 [[https://www.federalregister.gov/documents/2023/07/26/2023-15748/schedules-of-controlled-substances-temporary-placement-of-etizolam-flualprazolam-clonazolam|행정명령]]을 발표했다.[* Schedule I는 의료용으로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어 처방 자체가 불가능한 불법 약물로 대한민국으로 치면 [[향정신성의약품]] 가목 정도에 해당한다. 대표적인 Schedule I 약물로는 [[카티논]]이나 [[헤로인]], [[GHB]] 등이 있다. Temporary Schedule I는 DEA 행정명령을 통해 지정되는 한국으로 치면 임시마약류다. 한국에서도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이 임시마약류로 지정된 사례가 많이 있었는데 대부분 임시마약류 2군으로 재지정을 반복하거나 라목으로 재분류하는 선에서 끝낸다. 한국의 경우 에티졸람은 1990년 2월 1일에 향정신성의약품 라목으로 승인되었고, 디클라제팜은 2021년 12월 24일부로 향정신성의약품 라목, 나머지 3개 물질도 2023년 11월 7일부로 향정신성의약품 라목으로 재분류되었다. 가목으로 분류된 경우는 플루브로마'''제팜''', 아디나졸람, 플루클로티졸람, 메티졸람 4건밖에 없다.] 일본에서도 남용이 점차 문제시되어 [[조피클론]], 페나제팜과 함께 2016년 10월 14일부로 제3종향정신약으로 지정했다. 한국에서는 1989년에 에티졸람을 향정신성의약품 라목으로 분류하고 1990년 2월 1일에 종근당 데파스정을 승인했다. 이탈리아에서는 데파스(Depas®, 밀란, 비아트리스)와 파사덴(Pasaden®, 바이엘)이 정제 뿐만 아니라 30 ml(0.5 mg/ml) 내용액제로도 나오며, 인도에서는 에티졸람 서방정(CR tablets), 에티졸람-[[에스시탈로프람]] 복합제, 에티졸람-[[프로프라놀롤]] 복합제도 승인되어 있다. [[니디걸 오버도즈|니디걸 오버도즈]]에 등장하는 약물중 하나이다. * 브로티졸람(Brotizolam)'''†''' 상품명: [[https://pdfs.doctorsnews.co.kr/1996/19960606/19960606_17.pdf|렌돌민]](Lendormin®, 베링거인겔하임) 베링거인겔하임에서 개발한 수면제로 역가가 높아 트리아졸람과 비슷하게 0.125 mg 혹은 0.25 mg으로 처방된다. 일본과 대만, 유럽국가 대다수, 스페인어권 일부, 이스라엘에서 승인되었고 한국에서도 1990년대 중반에 승인되었으나 2010년 4월 1일부로 보험급여에서 삭제되었다. * '''2,3-벤조디아제핀(2,3-benzodiazepines)''' * 토피소팜(Tofisopam) 상품명: 그란닥신(Grandaxin®, EGIS, 모치다제약, 환인제약), 토핌정(Tofim®, 경동제약), 토스팜(Tospam®, 고려제약) 두통, 두중감, 권태감, 심계항진, 발한 등의 자율신경 증상에 쓰인다. 2,3-벤조디아제핀계 약물로 1,4-벤조디아제핀이나 1,5-벤조디아제핀과는 달리 항경련, 진정, 근이완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다른 벤조디아제핀과 유사한 구조를 지녔지만 GABA,,A,,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향정신성의약품 라목이 아니라 그냥 전문의약품으로 관리되고 있다. 우선성 광학이성질체로 덱스토피소팜(Dextofisopam)이 있는데 과민성대장증후군(IBS) 치료제로 2009년에 [[https://ctv.veeva.com/study/a-study-of-3-doses-of-dextofisopam-in-females-with-irritable-bowel-syndrome|제2상 임상시험을 통과했으나]] 이후로 소식이 없는 상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