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벤조디아제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용도 == 벤조디아제핀은 이런 안전성과 약효 때문에 불안증세를 억제하는 [[항불안제]]로 많이 쓰인다. [[불면증]] 치료를 위한 [[수면제]] 역할을 할 수도 있으나 그 용도로는 [[졸피뎀]]이 많이 쓰인다.[* 벤조디아제핀 계열이 수면제로 쓰일 경우 졸피뎀 계열보다도 정신적 의존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PTSD]], [[공황장애]], [[알코올 의존증]], [[적응 장애]], [[불안장애]] 등과 같은 정신 질환의 완화 및 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치과치료 같은 부분마취에도 사용되며 [[뇌전증]] 발작 증상의 완화에도 사용된다.[* 불안장애 및 공황장애에도 널리 쓰이는 클로나제팜은 본래 뇌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항경련제로 개발되었다.] 다만 미국 같은 나라에서 벤조디아제핀은 불안장애에만 처방할 수 있으며 이마저도 주로 급성기에만 처방한다. [[미국]]은 신체 질환과 정신 질환의 차등을 두지 않고 민간 보험사도 이를 어기면 엄청난 벌금을 무는 데 반하여 한국에서는 [[불안장애]]로 처방받으면 상병코드 F로 등록되어 민간보험 가입에 차별을 받고, 알려지면 사회적 인식에서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타과에서 다른 명목으로 처방받는 경우가 많다. 미국 정신과약 처방 통계(2009년 기준)에 의하면 알프라졸람(상품명 자낙스)은 미국 정신과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처방약이다. 알프라졸람은 출시 당시만 해도 성공 여부가 불투명했으나 최초로 공황 발작 치료에도 승인이 나면서 히트상품이 됐다. 한국에서는 1 mg짜리가 가장 큰 용량인데,[* 명인제약 사의 자나팜(자낙스와 같은약. 수입회사만 다름) 이라고 판매되는 약이 유일하게 1 mg 제품이 존재한다.] 미국에서는 2 mg짜리 알약도 있다.[* '''막대''' 형태로 되어 있고, 4등분하는 선이 그어져 있어 필요 시 쪼갤 수 있다. 알프라졸람은 작용시간이 길고 강한 정신 안정 효과로 인해 복용 시 하루종일 멍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자낙스를 복용한 사람들을 'bartard'(bar + retard)라는 멸칭으로도 부른다.] 중독 증상으로 부적절한 공격성, 성욕 증가 및 기억력 감퇴 등이 보여진다. 이 경우 플루마제닐을 투여해 증상을 완화시킬수 있다. 또한 금단 현상으로 빈맥, 수전증, 불면증 및 [[발작]] 증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 경우엔 보다 의존성이 약한 다른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을 투여하며 점진적으로 양을 줄여나가는 방법으로 약을 끊도록 유도한다. 디아제팜(바리움정)은 효능은 약하지만 범용성이 좋아서 신경성 위염에도 쓰인다. 알프라졸람(자낙스정)은 거의 즉시 효과가 발생하고 효과의 지속시간은 일반 제형은 6시간 가량, extended release 제형은 11.3시간 가량 된다. 그리고 [[프로포폴]], [[케타민]]과 함께 수면마취제 3총사로 불리는 미다졸람 역시 벤조디아제핀 종류이다. 효과는 다른 벤조디아제핀보다 훨씬 더 빠르고, 그만큼 부작용도 다른 벤조디아제핀보다 크다. 대신 의사가 계속 모니터링하는 경우에는 부작용을 컨트롤할 수 있고 다른 수면마취제보다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수면 내시경 등이나 수술 시 마취유도 등에 주사제로 사용되는데 특히 상업성보다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대학병원 및 공공병원에서는 수면내시경할 때 대부분 미다졸람을 사용한다. 케타민은 부작용이 정말 크고[* 일본에서는 케타민을 향정신약이 아닌 마약으로 관리한다.], 프로포폴은 미다졸람보다 예후는 좋은 대신 호흡억제가 강해서 수면내시경 중 사망의 상당수가 프로포폴에 의한 호흡억제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미다졸람은 프로포폴보다는 호흡억제 측면에서 안전해서 수면내시경에서 가장 선호되는 약물이다. [[http://www.snuh.org/m/board/B003/view.do?bbs_no=2313|#]] 원래는 주사제 이외에도 수면제, 항불안제 용도로 쓰이는 정제도 있었지만 부작용 문제로 생산중단되었고, 이후 수면제로써의 용도는 이미다조피리딘 계통의 졸피뎀이, 항불안제로써의 용도는 같은 벤조디아제핀 계통의 알프라졸람이 각각 물려받았다. 약쟁이들은 [[메스암페타민|메스암페타민]], [[코카인|코카인]] 등등의 부작용을 완화하는대도 사용하는데 업 계열의 대표적인 부작용[* 구토, 신경과민, 불면증, 부정맥] 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어서 약의 부작용은 느끼지 않고 효과만을 느낄수있는 덕분에 많은 약쟁이들이 환장하는 조합이기도 한다.[* 실제 정신과에서 ADHD 치료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같이 처방하는 경우도 대부분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