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문화방송/로고
(r16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4세대 (1986. 1. ~ 2005. 1. 2.) === ||<-2><tablebordercolor=#bd342c><bgcolor=#043d78><table width=600> {{{#FFF 상표 영문}}} ||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로고(1986.1-4).svg|width=65%]]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65%]] || ||<bgcolor=#043d78> {{{-2 {{{#FFF 1986년 1월 1일~1986년 4월 30일}}}}}} ||<bgcolor=#043d78> {{{-2 {{{#FFF 1986년 5월 1일~2005년 1월 2일}}}}}} || ||<-2><tablebordercolor=#bd342c><bgcolor=#043d78><table width=600> {{{#FFF 상표 국문혼합}}} ||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시그니처(1986.1-4).svg|width=100%]]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시그니처(1986-2005).svg|width=100%]] || ||<bgcolor=#043d78> {{{-2 {{{#FFF 1986년 1월 1일~1986년 4월 30일}}}}}} ||<bgcolor=#043d78> {{{-2 {{{#FFF 1986년 5월 1일~2005년 1월 2일}}}}}} || ||<-2><tablebordercolor=#bd342c><bgcolor=#043d78><table width=600> {{{#FFF 상표 한문혼합}}} ||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한자 시그니처(1986.1-4).svg|width=100%]]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한자 시그니처(1986-2005).svg|width=100%]] || ||<bgcolor=#043d78> {{{-2 {{{#FFF 1986년 1월 1일~1986년 4월 30일}}}}}} ||<bgcolor=#043d78> {{{-2 {{{#FFF 1986년 5월 1일~2005년 1월 2일}}}}}} || * 사용 기간: [[1986년]] [[1월 1일]] ~ [[2005년]] [[1월 2일]] ('''약 19년''')[* MBC 홈페이지 등에는 이 로고의 사용 기간을 2004년 12월 31일까지로 표기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2005년 1월 3일 새벽 2시까지 사용되었다.] 서울그라픽센터 [[권명광]] 교수 주도로 만들어졌다. 1985년 11월 7일 공개되었으며 1986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86년부터 2005년까지 19년 동안 현역으로 사용되었으며, 역대 MBC CI 중 현행 5세대 로고 다음으로 오래 사용한 로고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110700329212017&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11-07&officeId=00032&pageNo=12&printNo=12344&publishType=00020|해당 심벌은 1985년 11월 7일에 발표]]하였으며, 그리고 같은 해에 열렸던 1985 [[MBC 대학가요제]]와 1985년 12월 20일에 방영했던 MBC 리포트의 앵커 스튜디오 뒤의 텔레비전 브라운관 화면에 1986년에 제정된 영문 폰트를 먼저 사용하였다. 'MBC' 텍스트는 후술할 Banco라는 폰트를 일부 편집하여 사용하였다. 원과 사각의 타원으로 이루어진 심벌의 전체적 형태는 전파의 제한점을 해소하고 전 세계적으로 뻗어나가는 통신위성의 안테나와 지구가 속한 은하계의 신비를 상징한다. 또 기울기 45°의 폐곡선 타원형은 가장 강렬한 발전과 성장 의지의 표상으로 세계의 창으로서 MBC의 미래지향적이고 진취적 언론상을 표상한다. 또 조형성에서 [[자이로스코프]]로 보이는 중앙의 타원형은 어떤 변화와 조건 하에서도 항상 바른 방향을 유지하는 방송 본연의 공정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중·장년 이상 세대의 기억 속에 가장 많이 남아있는 로고이며, 이 시기는 사람들에게 MBC의 [[리즈 시절|전성기]]로 기억되기도 한다. 국민 로고였단 사실. 이 시기 활동했던 앵커만 해도 [[손석희]], [[김주하]], [[엄기영]] 등 유명한 앵커들이고, 예능 프로그램도 [[일요일 일요일 밤에]],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등 레전드 예능 프로그램이었다. 특히 이 로고가 쓰이던 중인 [[성수대교 붕괴 사고]] 때는 엄기영 앵커가 뉴스 진행을 성수대교 바로 옆에 위치한 동호대교에서,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때는 [[김은혜|한 기자]][* 전 [[국민의힘]] 의원, 현 대통령실 홍보수석.]가 위험을 무릅쓰고 [[삼풍백화점]]에 직접 들어가 설계도면을 들고 나와 부실공사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해 보도의 질이 [[지상파]] 3사 중 최상급이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 방송사 로고송 중 가장 유명한 '''만나면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 1990년도 후반부터 2005년 1월 초순까지 MBC 타이틀 송으로 사용되었고, 지금도 슬로건으로는 자주 내세우는만큼 '''"만나면 좋은 친구"는 명실상부 MBC의 대표 슬로건'''이다.]도 이 시기에 나왔으며, 잘 알려진 [[https://youtu.be/OphrBEz93jI|뉴스데스크의 오프닝]][* 링크된 영상은 [[1991년]] 4월~[[1998년]] 4월에 방영된 오리지널 버전이며, 리메이크 버전은 [[2001년]] 3월부터 현재까지 사용 중이다. [[https://youtu.be/Od3KXlXcgtw|#]]]과 [[https://youtu.be/v0iUCVIsFKc|스포츠뉴스 오프닝]][* 2001년 9월~현재. 다만, 2005년 7월에 오프닝 BGM이 약간 변경되긴 했다.][* 이외에도 1970~80년대생이라면 [[https://youtu.be/jiSrbaWmrRM|이 오프닝]]을 떠올릴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https://imnews.imbc.com/replay/1994/nwdesk/article/1945210_30690.html|날씨 오프닝]](1983년~1995년 4월 16일)도 그 시기에 나왔다. '엄마, 세상은 참 따뜻한 거죠. 우리 문화방송'(1993년 4월~2005년 1월)·'사랑하면 좋아요. MBC 문화방송'·'따뜻한 세상을 함께 만드는 MBC 문화방송'(1997년 ~ 2005년 1월) 등 몇 곡의 타이틀 송이 사용되었다. 2003년 3월, [[이긍희]] 사장 취임 이후 CI 개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고, 2005년 1월 3일부로 4세대 CI 사용이 중단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하지만 최승호 사장 체제가 들어선 2018년 이후 드라마 [[배드파파]]의 [[https://youtu.be/LisqQVO-cKE|티저 예고편]]과 시사교양 프로그램인 <[[당신이 믿었던 페이크]]>의 [[https://youtu.be/nqMvx6T7pvw|티저 예고편]]에 다시 모습을 드러냄으로써 전성기 시절 MBC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의 향수를 자극하고 있다. 예전 대구 MBC 사옥에 '시네마M'이라는 영화관이 있었는데 그 영화관 의자도 이 로고와 이 폰트가 새겨져 있었다. 로고에 사용된 글꼴은 [[https://thefontsmagazine.com/font/thrasher-font/|Banco]][* 해외에서는 [[트레셔]] 로고로 쓴게 유명하다.]를 조금 다듬은 것으로, 여기에 한글 타입을 추가로 제작한 것이 '문화방송체' 라는 이름으로 퍼졌다. 일부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MBC 지역국]]에서도 여전히 문화방송체로 적힌 글씨가 이곳 저곳에 잘 찾아보면 보이기도 하며, 심지어 상암 사옥 내의 일부 장비의 접근을 통제하는 가이드라인에도 문화방송이라는 글자는 문화방송체로 쓰여 있다. 2016년 8월 6일에 방송된 [[무한도전]] - [[두근두근 다방구]] 특집에서 상암동 MBC 광장에 문화방송체로 적힌 '문화방송 안전관리팀'이라는 글자가 적힌 천막이 있었다. 그리고 그 폰트는 전국 곳곳의 많은 사업장 및 포장지, 인쇄물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MBC SNS 페이지에서 한 번은 [[만우절]]을 맞이하여 프사를 이 로고로 하루동안 바꿔놓는 장난을 친 적이 있었다(...). [[https://www.facebook.com/MBC/photos/a.151371608229228/977880248911689|#]] [[MBC 뉴스데스크]]의 예전 코너인 현장출동 오프닝 영상에서 방영 초기부터 CI가 바뀐 2005년 1월 3일 이후에도 2006년 3월 15일까지 이 로고를 표출하였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06/nwdesk/article/1987069_29291.html|2006년 3월 15일 현장출동]][* 현장출동 타이틀을 보면 헬리콥터, 카메라에 표기된 것.] 또한 [[2005년]] [[1월 6일]] [[MBC 100분 토론]]의 엔딩 크레딧에서도 [[https://m.blog.naver.com/taejin9531/223370890867|옛 로고와 혼용하기도 했었다.]] 다소 촌스러워 보일 수도 있지만 계속해서 예토전생하는 것을 보면 역시 특유의 강렬한 심벌마크와 글씨가 인상적이었긴 한 것으로 보인다. CI가 바뀐 이후인 2005년 MBC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과 2015년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 해당 로고와 글씨가 나온 적이 있다. 〈제5공화국〉에서는 1987년 [[전두환]]([[이덕화]] 扮)의 [[https://www.youtube.com/watch?v=dYNb8G5AEaA&t=489s|연두 기자회견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붙어 있는 모습]]으로 나왔으며,[* 빠르게 지나가서 얼핏 보기에는 알아보기 어렵다.] 〈응답하라 1988〉에서는 [[성덕선]]([[혜리]] 扮)이 [[김정환(응답하라 1988)|김정환]]([[류준열]] 扮)과 〈[[별이 빛나는 밤에]]〉 잼 콘서트를 관람한 후 인증샷을 촬영할 때[[https://www.youtube.com/watch?v=gSlUCUwWfU0&t=42s|포스터 및 판넬에 삽입된 모습]]으로 등장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