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모스크바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교통 == [[파일:moskva-e1457537997976.jpg|width=700]] 모스크바 지하철역의 웅장한 모습 모스크바는 시내에 [[광역전철]], [[지하철]]과 [[경전철]], [[모노레일]], [[노면전차]], [[무궤도전차]]가 모두 운행 중인 세계에서도 몇 안 되는 도시였으나 2020년부터 모스크바 시내에는 무궤도전차가 다니지 않는다.[* 1933년부터 운행한 [[무궤도전차]]의 운행 중지는 모스크바 시 당국의 전기버스로의 전환 의지 때문이며, 기념용으로 박물관행 T노선을 신설했기에 아예 운행을 안 하는 것은 아니다.] 모스크바의 주요 공항은 다음과 같다. 주콥스키 공항을 제외한 세 공항은 모두 [[공항철도]]인 [[아에로익스프레스]]로 도심의 주요 [[터미널역]]으로 이어진다. 주콥스키 공항으로 가려면 [[모스크바 지하철 7호선]]의 코텔니키 역에서 버스를 타야 한다. *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Международный аэропорт Шереметьево) : [[스카이팀]]회원사인 [[아에로플로트]]와 [[대한항공]]이 취항하는 공항. 아에로폴로트와 대한항공만 [[인천국제공항]]에서 모스크바로 직항을 운항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직항으로 모스크바를 가면 무조건 이곳으로 도착한다. 2019년 이용객 수는 약 5천만 명이다. 러시아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공항이다. [[아에로플로트]]의 티켓 가격이 싼 편이기 때문에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에서 [[서유럽]]으로 [[환승]]하는 여행객이 많아지고 있다. 모스크바의 북서쪽에 위치해서 [[트베리]] 같이 애매하게 200km정도 떨어진 곳에서도 이곳을 이용한다. * [[도모데도보 국제공항]](Международный аэропорт Домодедово) : [[스타얼라이언스]]나 [[원월드]]에 가맹한 항공사가 도착하는 곳. 최근 이용객 숫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그래도 연 3천만 명 수준으로 러시아 2위다. 모스크바의 남쪽에 위치한다. * [[브누코보 국제공항]](Международный аэропорт Внуково) : [[저비용 항공사|LCC]]인 I-Fly, UTair와 Pobeda 항공의 허브. 2020년 현재 러시아도 저가항공이 점점 활성화되고 있으며 모스크바 서쪽에 위치한 이 공항이 러시아 제3의 공항이 되는 이유에 한몫했다. 모스크바의 서쪽에 위치하며 크기로는 세 번째 공항이지만 무려 중국, 베트남, 멕시코에도 직항이 있다. 한국을 오고 갈 때 [[터키항공]]을 이용한다면 이곳으로 오게 된다. * [[주코프스키 국제공항]](Международный аэропорт Жуковский) : 2016년 개항한 모스크바의 4번째 공항. 2019년 이용객 숫자 1천 30만 명을 기록했다. 모스크바의 동쪽에 위치한다. 우랄에어의 허브다. 모스크바는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비롯해, [[러시아 철도]]의 수많은 노선들이 모이는 중심지다. 특이한 점으로 모스크바에는 '''모스크바 역'''이 없다는 것이다.[* 철도 터미널이 방향에 따라 여러 역으로 분산되어 있고, 각 철도역이 목적지 이름으로 명명된다는 것은 유럽 대도시에서 종종 볼 수 있다. 비슷한 예시로는 [[파리(프랑스)|파리]]의 역이 동역(개통시에는 [[스트라스부르]]역), 북역, 리옹역 등으로 명명된 것을 들 수 있으나, 프랑스의 역명이 사철에서 명명된 데 비해 러시아의 철도는 처음부터 국유였다는 차이는 있다.][* 다만 [[레닌그라츠키 역]]의 정식 명칭이 '''모스크바 여객역'''이긴 하다.] 대신 목적지 방향으로 여러 역이 있는데 철도망이 복잡하지 않은 나라에서 온 외국인들이 헷갈리기 쉽다. 모스크바의 터미널 역(вокзал)은 이하와 같다. * [[야로슬라브스키 역]](Ярославский вокзал) :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기점역. [[시베리아]], [[블라디보스토크역]] 등 모스크바 동쪽 지역 방면 열차가 발착한다. [[북한]], [[몽골]], [[중국]]에서 오는 국제 열차도 여기로 들어온다. * [[레닌그라츠키 역]](Ленинградский вокзал) :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콥스키 역]] 방면 열차가 발착한다. 레닌그라드는 구소련 시절 이름으로, 도시 이름은 바뀌었지만 역 이름은 그냥 그대로 레닌그라드 역이다. * [[카잔스키 역]](Казанский вокзал) : [[카잔]] 등 모스크바 동쪽 지역 방면 열차가 발착한다. 레닌그라드 역과 야로슬라블 역은 바로 길 건너 근처에 있으며, [[지하철]] [[콤소몰스카야]] 역을 공유한다. * [[벨로루스키 역]](Белорусский вокзал) : 이름대로 [[벨라루스]] [[민스크]] 방면 열차가 주로 발착한다. 독일 [[베를린 중앙역]]과 프랑스 [[파리 동역]]으로 가는 국제 열차[* [[파리 동역|파리]]-모스크바 왕복은 주 1회, [[베를린 중앙역|베를린]]-모스크바 왕복은 주 3회([[파리 동역|파리]] 시종착 1회 포함) 운행한다.]도 여기서 발착한다. 2021년 기준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으로 인해 직통 야간열차 운행이 중지된 상태다. 공항과 연결되는 아에로 익스프레스가 다닌다. * [[키옙스키 역]](Киевский вокзал) : 이름대로 남서쪽 [[우크라이나]] [[키이우]](러시아어로는 키예프) 방면 열차가 주로 발착한다. 공항과 연결되는 아에로 익스프레스가 다닌다. * [[리시스키역]](Рижский вокзал) : 이름대로 [[라트비아]] [[리가]] 등 서쪽 [[발트3국]] 방면 열차가 주로 발착한다. 1901년 완공 당시에는 반대편 철도 종점이던 [[라트비아]]의 빈다바(Виндава, 오늘날의 벤트스필스 Ventspils)를 따서 빈다브스키 역(Виндавский вокзал)으로 불렸으나, 1930년에는 발티스키 역(Балтийский вокзал)으로, 1948년에는 오늘날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 [[쿠르스키역]](Курский вокзал) : 남쪽 [[쿠르스크]] 방면 열차와, 동쪽 [[니즈니 노브고로드]] 방면 열차가 발착한다. * [[사뵬롭스키역]](Савёловский вокзал) : 장거리 노선은 운행하지 않고, 모스크바 근교의 통근 열차만 운행한다. 이름은 [[트베리]] 주의 킴릐(Кимры) 시에 있는 작은 동네인 사뵬로보(Савёлово)에서 유래되었다. 20세기 초 역이 지어질 당시에는 이곳 사뵬로보가 철도 종점이었다. * [[파벨레츠키 역]](Павелецкий вокзал) : 남동쪽 [[탐보프]], [[보로네시]], [[사라토프]], [[볼고그라드]] 방면 열차가 발착하며, [[카자흐스탄]]의 [[알마티]], [[아제르바이잔]]의 [[바쿠]] 방면 국제 열차도 운행한다. 공항과 연결되는 아에로 익스프레스가 다닌다. * 보스토치니 역(Восточный вокзал)[* '''동쪽 역'''이라는 의미로 2021년 5월에 새로 개통된 역이다. 모스크바의 터미널 역으로는 키옙스키 역(1918년 개통) 이후 [[https://www.rbth.com/lifestyle/333849-new-railway-station-moscow-vostochny|100여년 만에 신축된]] 역이며, 다른 역들이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 안쪽에 위치하는데 비해 비교적 외곽인 중앙 순환선 선상에 있다.] : 주로 동쪽 [[니즈니 노브고로드]]와 [[이바노보]] 방면 열차가 발착한다. [[모스크바 지하철]]은 소련 시대에 만들어진 화려한 장식들과 미국과의 [[핵전쟁]] 시 [[방공호]]로 사용될 수도 있는 엄청난 깊이, 일본 [[도쿄 지하철]]에 이은 세계 2위의 이용객 수 등 여러모로 유명하다. 버스와 트램도 운영하는데 모스크바 지하철과 운영 주체가 사실상 같아서 요금도 동일하고 [[트로이카(교통카드)|카드]]도 동일한 걸 사용한다. 그리고 러시아의 역량이 집중된 유럽 지역, 그 중에서도 수도인지라 버스는 한국 중고 버스를 애용하는 시베리아 지역의 도시와 다르게 죄다 유럽 제조사의 버스다. 도로 교통 측면에서는 차량 교통 체증이 심각한 도시이지만, 2010년대 들어서 주요 [[간선]] 도로 개량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외곽 지역은 정말로 미친 듯이 도로를 확충하고 있다. [[내륙지역|내륙도시]]임에도 [[https://naver.me/FTXfHyb7|모스크바 운하]]와 [[볼가-돈 운하]]를 통해 선박이 드나드는 [[항구도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