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마이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리본 마이크(벨로시티 마이크)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cdcdc><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파일:RCA 44BX 캡슐.jpg|width=80%]] ||<width=50%><nopad> [[파일:R44ACE.jpg|width=100%]] || ||<bgcolor=#ffffff><-2> {{{#000000 {{{-1 1966년 단종되었던 리본 마이크 RCA Type 44-BX 마이크 캡슐 / 2014년 R44C 모델 발매 20주년 52주 기념 52개 한정 판매된 AEA R44ACE.}}}}}} || 첫 번째 사진 마이크 몸통의 가운데에 있는 리본 캡슐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세로방향으로 서있는 길쭉한 형태의 두 자석 사이에 리본 형태의 알루미늄 호일이 가로방향으로 위치해 있다. 리본 마이크 중에는 이 알루미늄 호일이 모양이 구불구불한 경우가 많은데, 표면적을 넓혀서 더 많은 유도전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무빙코일 마이크와 작동원리가 꽤나 비슷하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영구 자석의 사이에 코일이 아닌 알루미늄 호일이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자기장의 방향이 무빙코일 마이크와 정반대이다. 무빙 코일 마이크는 자기장이 진동판과 평행한 방향, 리본 마이크는 수직 방향으로 흐른다. 또, 그 자석 사이의 알루미늄 호일이 이 자기장 사이를 평행 방향으로 운동하지만, 코일은 수직 방향으로 운동한다. 이로 인해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라 알루미늄 호일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무빙코일 방식과의 또 하나의 큰 차이점이 있다면 무빙코일은 코일과 진동판 무게 때문에 고음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 좋지 못하고, 리본 마이크는 알루미늄 호일의 가벼운 특성상 주파수 응답이 전반적으로 고른 편이라는 것이다. 감도는 다이나믹 마이크 계열인 만큼, 딱히 좋은 편은 아니어서 무빙코일과 비슷하거나 조금 못한 감도를 가진다. 그럼에도, 무빙코일 마이크와는 다르게 소리에 대한 반응이 매우 빠르므로, 실제 음파와 거의 비슷한 파형의 전기 신호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내용처럼 다이나믹 마이크 계열이기 때문에 사인파 이외의 네모파, 톱니파, 삼각파는 전기 신호로 정확히 구현하지 못한다. 리본 마이크는 호일이 움직이는 동안만 전기가 유도되므로 네모파와 톱니파, 삼각파 형태의 경우 호일이 움직이지 않고 멈춰 있는 구간이 생기게 되는데, 그동안은 전기가 흐르지 않아 유도전류가 0V에 수렴하기 때문이다.[* 엑티브 다이나믹 마이크와 마찬가지로 48V 팬텀 파워를 사용하는 리본 마이크도 있다. 이러한 마이크는 이런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난다. 예 > sE이렉트로닉스사의 RNR1 등] 리본마이크는 대부분 양지향성을 지니는데, 그 이유는 정말 간단하다. 리본 마이크의 앞 뒷 면이 막혀있지 않고 뻥 뚫려 있기 때문이다. 소리가 들어올 곳이 두 면이기 때문에 앞 뒷면에서 들어오는 소리 모두 잘 받아들인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포장재인 호일이 힘을 살짝만 줘도 쫙 찢어지는 것 처럼 리본 마이크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호일 진동판 또한 내구성이 굉장히 나쁘다. 심지어는 그 포장재용 호일보다도 더 심각한 내구성을 자랑하는데, 리본 마이크에 들어가는 알루미늄 호일은 그보다 훨씬 얇고 연하기 때문에 고온다습한 환경에 오래 방치하거나 충격을 줄 경우 매우 쉽게 고장난다. 때문에 관리가 정말 중요하다. 또한, 무빙코일, 콘덴서, 압전소자 방식 마이크들 모두 100Hz 이하의 저음 응답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리본 마이크의 경우 알루미늄 호일이 40Hz에서 공진을 일으키는 자체 특성이 있어 저음에서의 응답이 개선된다. 때문에 리본 마이크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마이크 방식 중에서는 가장 평탄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지닌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