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듀얼마스터즈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미국 === [[유희왕 프랜차이즈]]의 성공을 목격했고 [[Portal(매직 더 개더링)|자국에서조차 실패한]] 'MTG의 간략화 및 대중화'에 미디어믹스마저 그럭저럭 성공한 광경을 본 WotC는 야심차게 듀얼마스터즈의 미국 진출을 기획했으나, 마케팅과 로컬라이징에 실패한 결과 [[마크 로즈워터]] 왈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uelmasters&no=1258|판매량 부족]]'''"이라고 말할 정도로 흥행에 참패하면서 미국에서의 판매가 중지되었다. 위저드 오브 더 코스트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Portal의 재림이었던 셈. 한편 이때 "[[어둠의 게임|진정한 듀얼]]"을 "괴수도(Kaijudo)"라고 로컬라이징했는데, 이후 2010년대에 같은 이름의 TCG[* [[https://kaijudo.fandom.com/wiki/How_to_Play|룰]]이나 [[https://kaijudo.fandom.com/wiki/Lord_Skycrusher|카드 레이아웃]]을 보면 [[양키센스]]를 첨가한 듀얼마스터즈 수준으로 듀에마와 비슷하다. 애니메이션 부제도 '듀얼마스터즈의 서막(Rise of the Duel Masters)'과 듀얼마스터즈의 싸움'(Clash of the Duel Masters)'이었다.]와 [[https://en.wikipedia.org/wiki/Kaijudo|애니메이션]]을 제작해 방영했으나 이 역시 흥행에 참패하여 판매 종료되었다. 그러나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546/read/2648756|당시 상황]]을 짚어 볼 때 해즈브로가 최선을 다했느냐고 하면 그것도 아니었다.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유희왕 OCG]]의 [[게섰거라|대항마]]라고는 했지만 정말 마케팅까지 유희왕을 깎아내리는 어그로에 집중할 뿐, 유저풀을 키우려는 내실을 다지지 않았다는 것부터 문제였다. 이 시기에 출시된 [[https://youtu.be/xQzWyqMFUUQ|공식 비디오 게임]]이 하나같이 [[쿠소게]]였고, 로컬라이징된 [[https://www.youtube.com/watch?v=w3PYohFA6rY|애니메이션]]이 [[카툰네트워크]]에서 평일 오전 6시에 방영되었지만 [[학교괴담(애니메이션)#s-10.2|학교괴담 영어판]] 내지 [[요약 시리즈]] 뺨치는 쌈마이함을 자랑했다. 거기에 몇 년 전의 Portal 때와 마찬가지로 매직 유저들이 듀에마 유저들을 조롱하는 풍조가 생기면서 결국 듀얼마스터즈는 북미에서 유저풀을 확보할 수 없었던 것.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