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나이트코어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특징 == || [youtube(e80qhyovOnA)] || || 원곡[* [[마이크 올드필드|Mike Oldfield]]가 작사·작곡하고 Maggie Reilly가 [[피처링]]한 [[Moonlight Shadow]].] || || [youtube(lpIe95cS2JM)] || || 나이트코어[* Michael McGannon의 Nightcore – Welcome to the Club 앨범에 수록된 편곡 버전. [[https://play.spotify.com/user/1273789552/playlist/4v5uST2yc6k4EXz3EuxxHJ?play=true&utm_source=open.spotify.com&utm_medium=open|스포티파이]]][* 썸네일에 있는 캐릭터는 에로게 [[사랑색 하늘모양]]의 히로인 [[카노 카요코]]다.] || 나이트코어의 범주 안에 들어가는 곡들은 기존에 존재했던 곡들을 배속시키고 피치(음정)를 올려 만들어진다. 추가적으로 정박자 비트가 삽입되는 경우도 있다. 위의 영상이 이러한 예. 이러한 편곡 경향으로 인하여 [[BPM]]은 원곡에서 널뛰기를 하는데 그 결과 BPM 150 전후의, [[트랜스(음악)|트랜스]]의 업리프팅 트랜스나 [[하드코어 테크노]]의 해피 하드코어와 비슷한 빠르기를 지니게 된다. 어원이 된 DJ도 하드코어 장르를 주로 한다는 면에서 하드코어와 연관성이 많은 편. 또한 피치를 올리는 과정에서 여성 보컬이 있는 음악의 경우, 마치 테이프를 빠르게 감을 때 나는 목소리처럼 들릴 정도로 피치가 올라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배속을 놀랄 만큼 빠르게 하는 경우도 많다. 대표적 예시로는 [[OMFG#s-2]]의 'Hello' 등이 있다. 신스 또한 이러한 피치 상승으로 인해 유로신스처럼 들리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향을 보면 [[로리코어]]와 비슷하다고 할 수도 있을 듯. 편곡되기 위해 선택되는 음악들은 서브컬처를 중심으로 한 문화임에도 불구하고 선택의 폭이 그나마 넓은 편이다. 편곡 경향에 비해 선택되는 곡들의 장르들은 초창기엔 주로 2000년대 이후의 J-POP이 대세였지만 점점 해외 쪽에도 상당히 많이 선호되면서 2000년대 이후의 북미 위주의 영미권 [[록 음악]]이나 다양한 장르의 팝송들도 J-POP과 비등한 수준으로 많이 선정되는 추세이다. [[일렉트로니카]]는 꽤 마이너에 속했지만 이쪽도 점점 많이 선정되고 있는 중. 그래도 애니메이션 주제가가 가장 많다는 것을 고려해도, 초창기에 비해 다양한 장르가 선곡되고 있는 것은 주로 [[유튜브]]를 통해서 업로드 되는데, 영상의 거의 모든 썸네일이 일본풍 일러스트인 것을 생각하면 [[일본]]의 [[오타쿠]] 문화를 중심으로 퍼져나간 것은 부정할 수 없어 보인다.[* 다만 이러한 일본풍 일러스트를 쓰는 전통이 최초 업로더로부터 이어져 온 것이라는 설도 있다.] 들어보면 알겠지만 [[뽕짝|흥을 돋구고 신나게 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젊은 [[그림쟁이]]들의 [[작업용 BGM]]으로 알맞은 정도. 그리고 유튜브 저작권 시스템으로 오디오가 차단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나이트코어의 경우 음이나 속도 등이 바뀌어 저작권에 걸리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다.[* 하지만 음원의 원본에 대해 클레임이 들어올 경우 자동으로 연계되어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몇몇 사람들은 [[웃웃우마우마]]를 예시로 들며 "묻혀있던 음원들에 대한 재평가를 이끌어내는 기능을 한다"라는 평을 하기도 하나, [[웃웃우마우마]]는 어디까지나 해당 곡을 삽입한 매드무비의 기묘한 춤 동작이 [[밈]]화된 것일 뿐, '[[Caramelldansen]]'[* 스웨덴 가수 그룹인 'Caramella Girls'의 곡.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음원 자체만으로 인기를 끌었다고 보기 어렵다. [[웃웃우마우마]] 항목 참조. 해당 항목에도 곡 자체보다 밈이 된 춤 동작에 대한 서술이 대부분이다. 물론 [[Rasputin]]이나 Angel With a Shotgun[[https://www.youtube.com/watch?v=rQKMLmXc0xo|The Cab의 원곡]][[https://www.youtube.com/watch?v=cvaIgq5j2Q8|나이트코어]]처럼 고평가를 받는 사례도 없는 것은 아니다.[* 이 곡은 나이트코어 버전 영상의 조회수가 무려 '''2.1억회'''나 되어 현재 유튜브에 있는 나이트코어 영상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원곡 영상과 비교하면 조회수가 약 7배 높다.] [[https://youtu.be/ptSvxHO9kBc|Highscore]] 나이트코어와는 반대로 속도를 내리는 데이코어라는 것도 있다. ~~[[베이퍼웨이브]]: [[https://www.youtube.com/watch?v=n5D3LYKr4mw|???]]~~ 그런데 이쪽은 초기에 그냥 단순히 속도를 낮춘 노래를 통째로 샘플링한 것도 많지만 그럴싸하게 윤색하는 경우도 있어서[* 주로 기존 뮤지션 출신들의 베이퍼웨이브 곡에서 드러난다.]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20년대 들어선 slowed+reverb라고도 자주 쓰인다. 심지어 군가까지 나이트코어로 만든다! 생각보다 은근 많다. [[https://youtu.be/aqAZIO6nnDQ|카츄샤 나이트코어]][* 해당 유튜버는 양산형 나이트코어와는 달리 클리셰를 따르면서도 제대로 들을만하게 믹싱한 곡을 올리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https://youtu.be/5kzHRkVTnAQ|미군 군가 메들리 나이트코어]] [[Rasputin]]은 나이트코어로 인해 더 유명해진 케이스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