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군가/해외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로도유브 '로키' 부로비치(Rodoljub 'Roki' Vulović)의 노래 ====== [[파일:Rodoljub_Vulović.jpg|width=500]] 로도유브 부로비치하면 가장 많이 뜨는 사진.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의 모습으로, 세르비아군 군복[* 정확히는 그의 많은 노래들이 부르고 있는 [[스릅스카군|스릅스카 공화국군]] 휘하의 여단인 가르다 판테리의 복장이다. 위 사진에도 잘 보면 가르다 판테리의 여단 로고가 보인다.]과 전투조끼, 그리고 빼먹을 수 없는 썬글라스는 그의 트레이드 마크다. 1955년생 보스니아인 가수로, 음악 커리어는 1972년부터 시작했지만, 가장 유명한 곡들은 로키가 제1셈베리야 경보병여단에 소속되어 '''전선에서 싸우면서 노래를 만들던''' [[보스니아 전쟁]] 초기[* 전쟁중 나온 첫번째 앨범인 Semberski Junaci가 1992년에 제1 셈베리야 경보병여단 소속으로 싸우며 나온 앨범이다.]와 비교적 안전한 후방으로 돌려져서 가르다 판테리를 위해서 노래를 만들던 전쟁 중후반기인 1990년대 중반에 나왔다.[* 그래서 Panteri/Mauzer의 뮤직 비디오는 민간인들의 피난이 끝난 1992년 9월의 스몰루차(Smoluća Gornja)라는 버려진 마을에서 전투 당시를 재현한 영상들을 활용했다.] 당시 같은 지역의 가수들과의 차이점이라면, '''노래에 타국, 타 민족에 대한 혐오가 사실상 없다시피 하다.''' 로키는 그의 별명. 아래는 그의 노래 몇개. * [[https://youtu.be/qeAEdU4p5Cg|Panteri - Mauzer]] * [[보스니아 전쟁]] 당시 [[스릅스카군]] 정예 차량화여단이였던 [[https://sr.m.wikipedia.org/sr/%D0%93%D0%B0%D1%80%D0%B4%D0%B0_%D0%9F%D0%B0%D0%BD%D1%82%D0%B5%D1%80%D0%B8|Garda Panteri]](Гарда Пантери)여단'과 여단의 지휘관 '[[https://en.m.wikipedia.org/wiki/Ljubi%C5%A1a_Savi%C4%87|류비샤 사비치(Ljubiša Savić)]]'를 찬양하는 노래이다. 마우저는 류비샤 사비치의 별명이다[* 1958년 8월 11일~2000년 6월 7일. [[전쟁범죄]]와 강력범죄, [[밀수]], [[강간]] 등에 찌들어 있던 당시 스릅스카군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나름대로 깨끗하고 소신있게 활동한 지휘관이었다. 악명 높은 [[젤리코 라즈나토비치]]와도 합동 작전을 펼친 적이 있으나 전쟁범죄에는 참여하지 않았고 오히려 정부 통제 하에 있던 밀수업자들을 잡아들였는데, 보스니아뿐만 아니라 스릅스카에 붙은 밀수업자들도 잡아들였다. 전후에는 현 [[스릅스카 공화국 대통령]]인 [[밀로라드 도디크]]에 의해 스릅스카 공화국 경찰로 특채, 부패한 공직자들을 잡아가뒀는데, 체포 대상이 [[라도반 카라지치]]의 측근이던, 아니면 카라지치가 도망간 후 새로 권력자가 된 인물이건 가리지 않고 양심껏 체포하고 조사했다. 그러나 이 때문에 [[세르비아 마피아]]들에게 찍혀 2000년, 현재는 철물점이 된 비옐리나의 기차역에서 한 노인을 차에 태워주다가 41세의 나이에 피살당했다. 가르다 판테리 내에서 사용하는 권총에 따라 별명을 지어주는 관습이 있었는데, 사비치는 [[마우저 C96]]을 사용하여 마우저라는 별명이 붙은 거다.]. 표범은 그가 지휘하던 여단의 이름. 스릅스카 방위군, Narod je Htijo, 검은 폭격기와 함께 가장 잘 알려진 곡이다. 곡명의 표기법은 Panteri/Mauzer, Panteri i Mauzer, Panteri(Mauzer) 등, 다양하다. 로키 부로비치의 유튜브 채널의 표기법은 Panteri - Mauzer이다. * [[https://youtu.be/oR3UNHL3lEY|Narod je Htio]] * 셈베리야와 마예비차 세르비아인 자치주 국가방위군(Национална гарда Српске аутономне области Семберија и Мајевица), 즉, 1992년 9월 4일, 1대 여단장이었던 브란코 판텔리치 소령[* 1957년 9월 6일 스투블리네(Stubline) 출생. 1977년 베오그라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베오그라드 사관학교를 포병생도로 입학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1981년 소위로 임관하였다. 임관 이후에는 [[니시]], 크냐졔바치(Knjaževac), 자예차르(Zaječar), [[프리슈티나]] 등으로 재배치받으며 이동하였다가, 1991년, [[보스니아 전쟁]]이 터지기 직전에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지휘참모 학교(Командно-штабна академија Копнене војске ЈНА)에 진학하였다. 하지만 크로아티아 독립전쟁이 터져서 학사과정을 끝내지 못하고, 크로아티아 독립전쟁 초기 가장 격전지였던 슬라보니아 동부로 재배치받았고, 이후 부코바르에서 지역 방위군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가, 보스니아 전쟁이 터지자 우글례비크(Ugljevik), 이후 비옐리나(Bijeljina)로 재배치, 비옐리나에서 류비샤 사비치와 함께 상술한 셈베리야와 마예비차 세르비아인 자치주 국가방위군을 창설한다.]이 라스토슈니차(Rastošnica) 일대에서 보스니아군의 매복에 걸려들어 전사한 뒤, 그를 기려 부대 명칭이 가르다 판테리로 변경되기 전의 전의 가르다 판테리에 대하여 노래하는 곡이다. * [[https://youtu.be/v7xJpmwVX9g|Crni Bombarder]] * 원래는 1995년에 발매된 Crni Bombarder 앨범의 첫 곡으로, [[보스니아 전쟁]] 당시 NATO의 폭격을 비난하는 노래였지만, 어찌저찌 [[코소보 전쟁]]도중 미 공군의 [[F-117]]이 [[세르비아군]]의 지대공미사일에 격추당하자, 이 전과를 자랑하는 노래로 알려지게 되었다. 부로비치의 노래중 위의 판테리/마우저와 함께 가장 잘 알려진 노래다. 1994년에 녹음된 원본 버전인 Crni Bombarder'''i'''[* 검은 폭격기들]도 존재한다. * [[https://youtu.be/mY0MzNK6KqA|Srpska Garda]] * 위의 Narod je Htio에서 락버젼의 곡조를 붙여서 만든 노래이다. 상당히 흥겹다. * [[https://youtu.be/uXeC0AD7-KE|Panteri]] * 똑같이 가르다 판테리를 찬양하는 노래. 다만 이쪽은 좀 더 전통(?)적인 곡조로 만들어졌다. 여담이지만,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에서 가르다 판테리의 '''항공분견대 소속'''의 Utva-75 훈련기들과 An-2가 나온다.[* 정확히는 An-2는 세르비아 니시(Ниш/Niš)의 한 군 훈련비행장에서 찍은 것이다. 하지만, 판테리가 몇 기의 An-2와 함께 '''공수중대'''를 운용한 것은 사실이다.] * [[https://youtu.be/qe5huUmLRkM?si=BwMHD47Bu1tREOKf|Pjesma o Mauzeru]] * 상술한 류비샤 사비치를 찬양하는 노래다. 가사는 대략 '''"그대는 전설이었고, 전설로 남았네, 그대는 용기와 정직함의 예시가 되었네, 사람들은 그대를 믿고, 존경한다네, 류보 마우저(Mauzeru Ljubo), 우리의 송골매여!"'''정도이다. 전통적이면서도 흥겨운 곡조와, 너무 빠르지 않은 속도를 보유하여, 따라부르기도 쉽다. * [[https://www.youtube.com/watch?v=qvoLnessYIc|Generale, Generale]] * [[라트코 믈라디치]]를 찬양하는 노래이다. 부로비치의 노래들 중, 그나마 민족주의적 요소가 들어간 노래다. * [[https://youtu.be/yw4aczJUtUw?si=1T5qnBFTUnZNp_Mb|Pukovniče Čoliću]] * 하술할 제5코자라 경보병여단의 지휘관이었던 페로 촐리치(Pero Čolić) 대령에[* 최종 계급 소장.] 대한 노래다. 촐리치는 전쟁 중 제5코자라 경보병여단의 지휘관으로서 활약했고, 전쟁 후에는 소장의 계급으로 비옐리나에 위치한 스릅스카 공화국군 총사령부의 총참모장을 맡았다가 1997년 10월 31일 퇴역, 2006년 9월 5일,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jUsWbDwSZfQ|Kapetane Laziću]] * 가르다 판테리의 부여단장[*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군, 크로아티아군은 둘째치고, 유고슬라비아 중앙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받은 [[스릅스카군|스릅스카 공화국군]] 마저도 고위 장교들의 절대적 부족으로 인하여, 상술한 페로 촐리치의 케이스 외에도 제1크라이나 군단 소속의 몇몇 여단들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여단장들은 계급이 소령이었다. 류비샤 사비치도, 하술할 요반 미치치 키코르도, 여단장이지만 소령이다.]이자, 군 경험이 전무한 사비치를 대신하여[* 사비치는 전쟁 전, '''지역 공무원이었다.''' 전쟁이 터지자, 자신의 고향인 비옐리나(Bijeljina)를 지키기 위하여 지원자들을 모아서 비옐리나 방위군을 편성하고, 긴급하게 스릅스카 공화국군 훈련소에서 장교 훈련을 받은 후에야 소령의 계급을 단 것이다.] 전투를 지휘하고, 부대원들을 훈련시킨 류비샤 '류티' 라지치(Ljubiša "Ljuti" Lazić) 대위와 --언제나 그랬듯이-- 가르다 판테리를 찬양하는 노래다. * [[https://www.youtube.com/watch?v=geiPziKGhUY|Hej, hej Kikore]] * 가르다 판테리와는 다른 여단인 [[https://sr.wikipedia.org/wiki/1._%D1%81%D0%B5%D0%BC%D0%B1%D0%B5%D1%80%D1%81%D0%BA%D0%B0_%D0%BB%D0%B0%D0%BA%D0%B0_%D0%BF%D1%98%D0%B5%D1%88%D0%B0%D0%B4%D0%B8%D1%98%D1%81%D0%BA%D0%B0_%D0%B1%D1%80%D0%B8%D0%B3%D0%B0%D0%B4%D0%B0|제1 셈베리야 경보병여단(1. semberska laka pješadijska brigada 혹은 1. Semberske Brigade)]]의 두번째 지휘관인 [[https://sr.wikipedia.org/wiki/%D0%88%D0%BE%D0%B2%D0%B0%D0%BD_%D0%9C%D0%B8%D1%9B%D0%B8%D1%9B_%D0%9A%D0%B8%D0%BA%D0%BE%D1%80|요반 미치치 키코르]] 소령[* 요반 미치치 키코르는 유고슬라비아 전쟁 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소속의 소령으로 크로아티아에 배치되어 있다가, 전쟁이 터지자, 크라이나 지역([[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의 그 크라이나 맞다.)에서 가장 먼저 인민군에서 신생 스릅스카 공화국군으로의 재배속 요청에 응한 세르비아계 장교였다. 그래서인지 노래 초반에도 '''"크라이나에서 당신이 가장 먼저 소총을 들었네"'''라는 가사가 나온다.]과 여단 자체를 찬양하는 노래이다. 위의 노래들에 비하면 인지도는 적지만, 로키의 노래들을 조금이라도 듣기 시작한 사람들이라면 다 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Qi9nUfUTEA&t=2s|Peta Kozarska Brigada/5. Kozarska Brigada]] * [[https://sr.wikipedia.org/sr-el/5._%D0%BA%D0%BE%D0%B7%D0%B0%D1%80%D1%81%D0%BA%D0%B0_%D0%BB%D0%B0%D0%BA%D0%B0_%D0%BF%D1%98%D0%B5%D1%88%D0%B0%D0%B4%D0%B8%D1%98%D1%81%D0%BA%D0%B0_%D0%B1%D1%80%D0%B8%D0%B3%D0%B0%D0%B4%D0%B0|제5 코자라 경보병여단(5. kozarska laka pješadijska brigada 혹은 5. Kozarska Brigada)]]을 찬양하는 노래. 1995년에 발매된 부로비치의 앨범인 Junaci Kozarski(코자라의 영웅들)의 대표곡이다. 테크노와 전통적 음악이 적당히 짬뽕된 곡조가 부로비치의 황금같은 목소리와 합쳐지면서 흥겨우면서도 또 특별한 감정이 전달된다. * [[https://youtu.be/kXNztVyli38|Republika srpska i Krajina]] * 제목에서도 나와있듯이,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에 관한 노래다. 민족주의적인 내용이 조금 들어있으나, 노래 자체는 엄청나게 흥겹다. * [[https://youtu.be/jKyWihLG2-8|Kućni Prag]] *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황폐화된 자신의 고향에 대해서 부르는 노래다. 민족주의적인 내용도 없고, 곡조도 생각보다 슬퍼서 당시 상황[* 노래가 나온건 1994년이고, 종전은 1995년이지만, 그때쯤 가면 전쟁 자체는 거의 끝나있었다.]을 잘 이야기해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