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4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공대개그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연애 편지 === >나의 Y에게. > >오늘도 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모든 리소스를 빼앗겨 버린 >비선점형 OS처럼 네 생각에 어떠한 멀티 태스킹도 할 수 없었어. >기억나니, 너와의 첫 만남. >널 처음 본 순간 나의 마음은 sin (500''πt''+π/360)으로 요동치고, [* 삼각함수, 심전도를 표시. 굉장히 심장이 빨리뛴다는 뜻. [[페이저]] [[극형식]]으로 표현하면 1∠(0.5-90)º가 된다.(극형식을 cos 기준으로 표현하면)--그리고 250 Hz로 진동하니 가슴에서 3[[옥타브]] B음이 들릴거다--] >내 머릿속엔 >#include <stdio.h> >int main() >{ >for(;;)printf("너무 이쁜 Y "); >return 0; >}[* 프로그램 실행결과 : 너무 이쁜 Y 너무 이쁜 Y 너무 이쁜 Y 너무 이쁜 Y 너무 이쁜 Y..(무한 반복). for(;;) 부분을 while(1)로 대체해도 같은 무한 루프 결과가 나온다.] > >난 그때 알았어. >너와 나는 frequency가 일치한다는 걸… >아마 250으로 맞춰진 우리의 frequency가 그때 resonance([[공명#공명5]])을 일으켰나봐. [* 공명현상은 어떤 물체가 일정 주파수에 맞게 떨때, 다른 물체도 같이 떠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공명현상을 일으키는 주파수를 공명주파수라고 하고, 공명주파수가 같은 물체 중 하나가 떨면 그 옆에 있는 물체도 같이 떤다.] >우린 자기도 모르게 서로에게 말을 걸었지. >아, 그때의 떨림이란.. >사실 나는 그때까지는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unit step function]] 같은 사랑은 없다고 생각했어. >사랑은 exponential 함수처럼 서서히 시작하는 거라고 여겼거든. [* exponential 함수 : 지수함수. 예컨대 [math(y=2^x (x>=1))]에서는 완만한 곡선의 x증가 y증가 그래프를 보인다. ~~근데 밑이 2가 아니라 1/2일 경우에는 서서히 식어가는 것이다~~] >하지만 그런 생각은 널 만난 후 바뀌었어. >너와의 첫 만남 후 너를 집으로 바래다 주고 돌아오는 길에 >나는 너의 집을 자꾸 되돌아보며 지워지지 않는 너에 대한 그리움은 >[math(y=e^{-x} (x>0))] >를 그리며 좀처럼 잊히지 않았지…[* 지수함수와 마찬가지. 그러나 -''x''는 음수이므로 하강하는 그래프를 보인다. 보통 [[사인 곡선]]과 곱해 쓰며 감쇠비(減衰比, Damping Ratio)를 나타낸다. ''e''는 [[자연로그의 밑]] 문서로.][* 해당 그래프의 치역이 y>0이므로 그리움은 절대 잊혀질 수 없다.(...)][* y=1/x+1인 버전도 있다. ] > >그 후로 우리는 자주 만났지. >2009 로스트 RAM, 공수의 적 같은 영화도 보고 time sharing하며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냈지. >매일 밤 꿈속에선 너를 찾는 한 마리의 외로운 micromouse가 되어 >미로 속을 헤매고 다녔어. >하지만 우리에게 interrupt가 발생하고 말았지. >IRQ 넘버 0 바로 군대였지. >난 차마 너에게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void main() >{ > char nMyMode[] = "현역"; > while(strcmp(nMyMode, "전역")) > { > wait(); > } >} > >를 컴파일 할 수 없었다. [* 프로그램 과정 : 내 상태는 현역이고 내가 전역이기 전까지 wait(); 기다려라를 수행. 그러나 컴파일(실행)할 수 없으므로 기다리지 못한다는 뜻] > >후… 너는 그런 내가 못내 아쉬웠나보더군. >내가 너에게 그런 사람이었냐며 너는 눈물을 보이고 내게서 떠났지… >내 맘은 그게 아닌데… >18개월이라는 시간이 흐른 후 나는 주위 친구들의 소개로 >여러 girl들을 만났지만 너에 대한 그리움은 지워지지 않았다.[* --문과의 공대법칙 : 단순한 단어도 영어로 말하면 간지난다--] >오히려 op amp에 입력되는 signal처럼 점점 커지기만 했지.[* OP-AMP가 '''OP'''erational '''AMP'''lifier, 우리말로 번역하면 연산 '''증폭'''기이므로 신호 증폭을 의도하고 설계하기 때문이다.] >난 그래서 일부러 다른 여자들을 만나며 그런 널 잊으려 했다. >하지만 나는 깨달았어. time domain의 내 마음을 frequency domain으로 변환했을 때 >가장 큰 magnitude를 갖는 frequency는 250… 너밖에 없다는 걸…[* x축을 시간, y축을 사랑의 사랑의 세기로 그린 일종의 파동에서 [[푸리에 변환|FFT]]를 수행하여 각 여자에 대한 사랑의 세기로 나누었을 때 진폭이 가장 큰 진동수(피크)가 250, 즉 Y라는 뜻이다.] > >난 용기를 내어 네게 전화를 걸었고, 다시 우리는 예전과 같이 사랑할 수 있게 되었지. >이제야 고백할게. >직접적인 방법도 있겠지만 [[미분방정식]]은 [[라플라스 변환|Laplace 변환]]을 이용하는 게 낫다 싶어서 이렇게 편지로 고백한다.[* 미분방정식의 풀이법으로 '''직접적으로'''푸는 것이 아니라 라플라스 변환을 통해 (시간 도메인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바꾸어) 구하는 것. 즉 '''간접적'''인 풀이] >Y야… >평생 내 80196kc의 펌웨어가 되어주지 않겠니?[* 80196kc는 프로세서고 펌웨어는 하드웨어화 된 소프트웨어로 변경할 필요 없는 소프트웨어를 ROM에 넣은 것을 의미한다. [[펌웨어]] 페이지를 가보면 알겠지만 일종의 프로그램으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즉 없어서는 안 될 존재.] >homogeneous한 나의 해와 particular한 너의 해가 합쳐지면 >완벽한 미방의 해가 될 수 있을 거야. >날 믿어준다면, inductor 주위에 있는 magnetic field처럼 너의 곁을 지켜 줄게. >direction이 같은 vector처럼 우리 항상 같은 방향을 보며 영원히 함께 하자.[* 이와 같은 벡터를 Constant Vector라고 부른다.] >Y야 >[math(√(-1))] [*허수 i]Love You. [[https://www.facebook.com/UnistDaejeon/posts/1864116270545606|출처]] 웹상에서 많은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전기전자공학과]] 학부 2학년생 이상이면 이 내용의 상당 부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위 내용에 덧붙혀 말하면 공대생이면 [math(√(-1))]를 [[복소수]] i가 아닌 j로 읽는다. 이유는 공학에서 i는 보통 전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i와 비슷한 형태인 j를 사용하는 것. (…) --여친이 빡쳐서 고백 안 받을듯--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46)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4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