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maimai 시리즈
(r3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적은 기체 수와 유지비용 === 기체 자체가 상당히 큰 데다 가격도 비싸고 물량이 없는 반면 게임의 인기는 또 많아서 오락실마다 기계 보유량 편차가 커서 대기가 거의 없는 곳은 오랜 시간동안 코인 러쉬가 가능한 반면, 대기가 많은 곳은 7~8대기 이상까지 생기기도 한다. DX 이전까지 마이마이는 일정 댓수 이상의 주문이 들어오면 해외에서 기체를 제작하여 보내주는 방식이라 구매를 원해도 당장 구하기 힘들었고, 2500만원[* 구기체 시절에는 2800만원, 2024년 생산 기체는 3100만원]이라는 상당히 고가[* BEMANI 시리즈 중에 기체 가격이 가장 비싼 편에 속하는 [[beatmania IIDX]] 라이트닝 기체가 2700만원이다.]의 가격으로 업주들이 구매를 망설이는 요소가 되어 기체 확산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maimai DX]]부터는 [[UNIANA]] 수원공장에서 기체를 제작해서 보급률이 기존 maimai보다 훨씬 늘었다. 다만 유저 수는 폭발적으로 늘은 반면 기체는 DX 이후 추가 생산될 기미가 보이지 않아 이전보다 체감 대기는 오히려 더 늘어났으며, 이렇다보니 신규 유저들을 [[대기카드]]만 쌓는 암적인 존재로 생각하고 유입을 바라지 않는 유저들도 늘어난 상황이다. [[기기 대여]]를 시행하는 오락실은 한 달분량의 대여가 전부 찰 정도. 이후 2024년 9월, 12월에 기체들이 추가 생산되면서 기체가 적다는 문제점은 어느 정도 해소되자 비피크시간대에는 대기없이 바로 플레이가 가능할 정도가 되었고, 피크시간대에도 대기가 평균 2~3장일 정도로 대기시간이 줄어들었다. 유지보수 면에서도 어려움이 큰 것이, 1년 간격으로 신작이 나올 때마다 평균 500만원 후반의 업그레이드 키트 가격이 발생하고, 버튼 1개당 9만원[* 일본의 경우 3000엔], 터치스크린 120만원등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비용도 높은 편이다. 이러한 부품들 역시 일본에서 들여오는 것이기에 제때제때 구하기도 어렵기에 일부 업소에서는 중국산 복제 부품을 사용하기도 한다. 버튼이나 버튼 주위의 프레임이 유난히 흰색이라면 중국산 제품을 사용한 것이다.[* 복제하는 곳이 여러 곳이라 간혹 구별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