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hololive 프로덕션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외부 링크 == * [[https://hololive.wiki/wiki/Fan_Discords|홀로라이브 팬 디스코드 서버 모음]] 디스코드를 중심으로 팬들이 모여서 공동작업이나 의견교류, 팬 프로젝트 등을 진행하는 공간. 멤버들의 기념일에 나오곤 하는 엄청난 소식들은 대부분 이곳에서 준비했다고 보면 된다. 사비를 들이고 조직력을 갖춰서 움직이는 찐팬들이라 봐도 될 정도. * [[https://www.reddit.com/r/Hololive/|홀로라이브 서브레딧]] [[레딧]]에 개설된 팬 서브레딧. 국내의 어지간한 버튜버 커뮤니티를 쌈싸먹을 만큼 규모가 크지만 레딧 전체로 보면 여기도 짤없이 변방이라, 추천을 1천 개 정도만 받았는데 금세 인기글 취급을 받고, 중요한 행사 공지글 같은 것은 1만~2만 개 정도의 추천을 받는 정도다. 서양 밈을 패러디한 뻘글이 많이 올라오며 [[키류 코코]]와 [[아카이 하아토]]가 Reddit Shitpost Review를 할 때 참조하는 사이트가 바로 이곳. 매주마다 홀로뉴스(HoloNews)라는 팬 뉴스레터가 발행되며, 홀로라이브뿐만 아니라 국내에는 정보를 찾기 힘든 홀로스타즈도 상당한 비중으로 다루고 있다. 물론 창작 팬아트도 많고 [[Walfie]]나 HornyKoshi 등등 이 바닥에서 유명한 그림쟁이들을 비롯해 트위터나 픽시브 등에서 넘어온 금손들이 다수 서식한다. 19금 짤은 [[NSFW]] 태그가 붙어서 블러 처리되어 있다.[* 반대로 비공식 야짤 전문 레딧인 hololewd나 올릴 수 있는 글의 주제가 더 자유로운 okbuddyhololive 방들도 있다.] 종종 장문의 분석글이나 설정(lore) 관련글, 멤버 칭찬글, 낚시/거짓 정보를 올리는 키리누키(클리퍼) 저격글도 올라온다. 운영의 특이사항으로 [[커버(기업)|커버]]로부터 '''직접''' 관리받는 곳이며[* 사실 레딧이라는 사이트의 특성을 감안하면 딱히 특이사항이라고 할 것은 아니다. 기업 이미지 관리 차원에서 자사와 관련된 서브레딧을 직접 관리하는 경우는 흔하다.], u/hololive 공식계정으로 중요한 공지가 올라오고 hololive MOD라는 계정을 가진 전담인력 T쨩(T-Chan)도 배치돼 있다. 멤버들에게 염상이 터지거나 논란거리가 생기면 T쨩이 칼같이 차단하거나 아예 서브레딧 전체를 얼려버려서 말도 못 꺼내게 하는데, 그럼에도 T쨩 팬아트도 가끔 나온다. 운영규칙은 [[십계명]]처럼 10가지로 간략하게 적용한다.[* 싸움 금지, [[신상털기|빨간약]] 금지, 선을 넘는 밈(오락관) 금지, 출처표기 필수, 중복글 금지, 올바른 태그 필수, 커버에게 부탁 금지, 외부 버튜버 홍보글 금지, 욕설 자제, 좋은 시간 보낼 것. 이런 식의 커뮤니티 운영이 가능한 이유는 레딧 안팎으로 이보다 훨씬 막나가는 버튜버 커뮤니티들이 이미 널렸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적잖은 홀로라이브 멤버들도 가입해서 아이디를 갖고 있으며, [[호쇼 마린]]이나 [[아마네 카나타]] 등 중요한 방송이 있을 때 레딧에 와서 짧은 영어로나마 공지하는 등 소통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홀로라이브 서브레딧은 멤버들이 카이가이니키의 분위기와 여론을 체감하는 직접적인 창구라 할 수 있다. * [[https://hololive.wiki/wiki/Main_Page|홀로라이브 팬 위키(영어)]] [[영미권]]의, 영어권의 팬들이 운영하는 홀로라이브 전용 [[위키위키]]. 버츄얼 유튜버 위키가 버튜버 전반을 다룬다면 이쪽은 홀로라이브 멤버들에 특화되어 있으며, 방송일정과 기념일, 오리지널 곡, 외부 링크들을 다양하게 제공한다. 각 멤버들의 방송 일화나 BGM 곡 정보, 각종 트리비아도 정보량이 많고, 특히 언어장벽이 없는 홀로EN 멤버들의 경우 국내에는 어디서도 알려지지 않았던 사소한 내용들[* 예를 들면 [[가우르 구라]]가 방송에서 공개한 [[폴터가이스트]] 경험담 등.]까지 디테일하게 담겨 있다. 단점은 버츄얼 유튜버 위키와는 달리 댓글란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나무위키만큼 즉각적인 편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 실제로 후부키 같은 오랜 멤버들의 문서는 정보량이 풍부하나, 홀로 EN 카운슬 멤버의 경우 슈퍼챗이 열릴 때까지도 멤버 문서는 얼개만 엉성하게 잡혀 있는 수준이다. * ~~[[https://hololive.kr/|홀로라이브 뉴스(한국어)]]~~ 국내에서 팬 활동의 편의를 위해 자체적으로 만들어진 사이트로, 최신 뉴스와 클립들을 모아서 한눈에 보여주며 멤버들의 트윗을 번역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키아라가 방송중에 언급하기도 했다.[[https://youtu.be/YcUkcat-ntE|#]] 22년 10월 28일 부로 운영자가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23년 02월 06일 기존 도메인은 유지한채 새로운 사이트 [[VROZ]]를 오픈한다고 발표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hololive 프로덕션, version=2857, uuid=09da3bda-c449-4ff2-a9bf-8eb72fdd037b)]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