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WJMAX 저작권 침해 논란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저작권 침해 대상이 된 곡을 기재하기 위해서는 8순위 이상의 근거를 제시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저작권 침해 대상이 된 곡을 기재하기 위해서는 8순위 이상의 근거를 제시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여파 == * 이 여파로 인해 당시 WJMAX를 여러 차례 방송 컨텐츠로 소모했던 리듬게임 전문 스트리머 [[김편집]]과 [[REMILIA]][* 특히 REMILIA는 WJMAX 초기에 곡들의 싱크나 패턴 관련 피드백을 진행하여 크레딧에 이름을 올렸다.]에게도 불똥이 튀었다. 두 사람은 사과문을 게시[* [[https://www.youtube.com/channel/UCqIsRcbdqG2AyR4dZWaLAGg/community?lb=UgkxtbREOtb79cAcVuieO9jUVd5btNW67L_5|김편집]]([[https://archive.md/2NzIg|@]]) [[https://www.youtube.com/channel/UCpeRFpJFnFVjGPFjbe05amQ/community?lb=UgkxjrV1marBh8LJjABjSjHcfPnM6JAuCV3O|레밀리아]]([[https://archive.md/kPxYp|@]])]하였으며, WJMAX를 통해 만든 유튜브 영상으로 수익을 창출한 것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기본적으로 커버곡이 대다수였기에 영상 수익이 나오기 힘들다. 물론 편집을 잘 하면 가능할 수도 있었겠지만 애초에 다른 스트리머 팬게임 플레이 영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 자체를 꺼렸다고 해명했다.] 다만 생방송을 진행하며 얻게 된 도네이션 금액은 있었고, 이것을 사회에 환원하고자 했으나 전액을 파악할 수단이 없어[* 트위치 시절에 쓰던 [[Twip]]이 문을 닫아 정확한 액수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사비를 더 보태는 것으로 각각 100만원씩 기부하였다. [[https://www.globa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665|글로벌E]]에 따르면 [[네오위즈]]는 이후 2차 창작게임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https://archive.ph/NWvQh|@]] [[https://xn--li5buvo0smwa.kr/archives/166939|엔터위크 기사]]에 따르면 개발사인 [[ROCKY STUDIO]] 측에서도 "선의의 조치로 2차 창작 게임을 허용하고 있었으나 [[호의가 계속되면|제3자의 권리 침해 등 이슈가 확인되었다]]"라고 언급하며, 2차 창작 가이드라인을 수정 및 침해가 확인된 2차 창작 게임에 대해 IP 사용 금지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https://m.fmkorea.com/best/8532526314|[[파일:에펨코리아 아이콘.svg|width=20]]]] [[https://archive.md/FCFpN|@]] [[https://url.kr/9gtj71|DJMAX IP를 활용한 2차 창작 가이드라인(수정)]] * 앞선 사실이 발견된 이후 저작권 의식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왁타버스 게임즈를 통해 배포된 200여 종의 팬 게임 모두 저작권을 위반한 게 아닌지 의혹이 일고 있다. 이에 이러한 저작권 의식 부재를 계기로 아예 2차 창작 가이드라인을 강도 높게 제한해서 뿌리뽑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고,[[https://gall.dcinside.com/djmaxrespect/1097808|#]] [[네오위즈]]는 이후 2차 창작게임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https://www.globa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665|#]][[https://archive.ph/NWvQh|@]] 일부 게임은 제작자가 배포 중단을 하고 사과문을 올리는 일이 일어났다. ([[https://www.globa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696|게임플]]) *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20384146|왁키스트 던전 제작자 사과문]] *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20388461|우왁굳의 고집, 언더 더 왁쥬 제작자 사과문]] * 문제가 된 패러디 팬 게임의 경우 게임사가 제공하는 창작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지 않았거나 원본에서 사용되는 리소스를 허가 없이 변형 및 재가공하였거나 저작물의 배포권을 침해하여 문제가 되었다. [[https://www.gamep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297|게임플]] 기사에 근거하면 패러디 팬게임 콘텐츠의 경우 대상 스트리머에게만 제공하고 해당 영상의 수익 창출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권고했고 '프리웨어 툴을 사용해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 팬 게임은 유통하여도 상관없다고 밝혔다. * 7월 25일, [[https://www.globa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104|글로벌e]] 기사에 따르면 개발자인 에드먼드 맥밀런을 비롯해 유통사 니칼리스에 2차 창작 허가 여부와 콘텐츠 도용 등에 대해 전달하였고 에드먼드 맥밀런은 "이 사실에 대해 들었지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 8월 9일, [[https://www.globa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275|글로벌e]] 기사에 따르면 공모전에 출품된 '왁비트'에서 왁제이맥스와 동일하게 음원파일이 다운로드 형식으로 배포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 아이러니하게도 개발자들과 인터넷 방송인들이 해당 게임 또는 비슷한 팬게임으로 벌어들인 수익을 하나둘씩 기부하면서 단기간적으로 기부 움직임이 일어났는데, 직접 저작권을 위반한 팬게임 제작자들의 기부에 대해서는 [[내로남불|기부로 저작권 위반에 대한 비판을 희석시키려는 것이냐]]는 냉소적인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이런 전개는 직전에 논란을 일으킨 [[잡식공룡]]의 행보와도 유사하다.] * WJMAX의 저작권 문제가 대대적으로 공론화되자, 그 여파로 [[왁물원]] 내부에서 이루어졌던 음원 [[불법 배포]] 정황 또한 수면 위로 떠올랐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파리(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커뮤니티/왁물원, 앵커=음원 불법 배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WJMAX, version=1527, uuid=a90b3d5f-eb61-451a-b56a-d922d0a18b7d, title2=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 version2=1567, uuid2=ee14236b-1e74-46b6-bebc-bff9bac13f57)]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