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Tigers/2015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 ||<-7><tablebordercolor=#595758><bgcolor=#595758><tablewidth=7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 '''{{{#ec671a KOO Tigers}}}''' || ||<-7><nopad> [[파일:2015 World Championship KOO.png|width=100%]] || ||<bgcolor=#595758> '''{{{#ec671a 감독}}}''' ||<-6>[[정노철|정노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0.9em" {{{#ec671a NoFe}}}}}}]]|| ||<bgcolor=#595758> '''{{{#ec671a 코치}}}''' ||<-6>[[김상수(e스포츠)|김상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0.9em" {{{#ec671a SSONG}}}}}}]]|| ||<-7><bgcolor=#d10927> '''{{{#fff 로스터}}}''' || ||<width=22%><bgcolor=#595758> [[파일:TOP_icon_KOO.png|width=25]][br]'''{{{#ec671a TOP}}}''' ||<-3><width=3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송경호(프로게이머)|송경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ec671a Smeb}}}}}}]] ||<-3> || ||<bgcolor=#595758> [[파일:JGL_icon_KOO.png|width=25]][br]'''{{{#ec671a JGL}}}''' ||<-3> [[파일:crwn.png|width=1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호진(e스포츠)|이호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ec671a Hojin}}}}}}]]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태완(프로게이머)|김태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ec671a Wisdom}}}}}}]] || ||<bgcolor=#595758> [[파일:MID_icon_KOO.png|width=25]][br]'''{{{#ec671a MID}}}'''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서행|이서행[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ec671a Kuro}}}}}}]] ||<-3> || ||<bgcolor=#595758> [[파일:BOT_icon_KOO.png|width=25]][br]'''{{{#ec671a BO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종인(프로게이머)|김종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ec671a PraY}}}}}}]] ||<-3> || ||<bgcolor=#595758> [[파일:SUP_icon_KOO.png|width=25]][br]'''{{{#ec671a SP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강범현|강범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ec671a GorillA}}}}}}]] ||<-3> || 롤드컵 개최 전에 스폰서인 [[KOO TV]]가 '''2015년 9월 30일자로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그나마 롤드컵까지는 스폰서쉽을 유지하여서 롤드컵 까지는 KOO Tigers라는 이름으로 참가할 수 있게 된다.[* 일각에선 KOO 그룹 산하의 KOO TV만이 서비스를 종료한것이라 KOO 그룹이 스폰서를 계속할 것이라는 주장을 하는데 KOO 그룹은 이미 9월 중순자로 법정에 파산 신청을 한사실이 KOO 출신의 모 MC에 의해 사실이라는게 밝혀졌다.] 조 편성에서 톱시드에 [[CLG]], 자신들 외의 2시드에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Flash Wolves]]가 들어가는 역대급 꿀조를 받았다. 자신들에게 가능한 최대의 죽음의 조를 받아든 kt와 정반대. 개인 기량 면에서 정글러 듀오 [[이호진(e스포츠)|호진]], [[김태완(프로게이머)|위즈덤]]이나 [[이서행|쿠로]], [[김종인(프로게이머)|프레이]]가 대형사고만 치지 않는다면 조별 예선 1위 확정이라는 설레발이 나올 정도. 하지만 팀원들은 IEM 쇼크의 영향 때문에 심기일전하고 한 경기 한 경기 최선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조별 예선 돌파는 기정사항인 것처럼 보였으나, 롤드컵을 앞두고 자신들의 스폰서인 [[KOO TV]]가 망해버린 것이 불안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롤드컵 출국 당일, 다른 팀들은 팀에서 지원한 차량을 타고 공항에 왔으나, 안정된 숙소도 연습 장소도 없던 KOO는 마치 드래곤볼 처럼 본인들의 집에 흩어져 있었다가 모였다고 한다. 비행기를 놓치면 안 되니 공항에서 꼭 시간 맞춰서 만나자! 라고 했다고. 더구나 스크림도 피시방에서 했다는 후문이 있을 정도로 상당히 열악한 사정에서 연습을 이어나갔다. 유니폼 상의만 겨우 걸친 후줄근한 공항 사진도 남아있다. 그리고 불안함 반 기대 반 속에서 시작된 16강에서는 FW를 만나 모두 패했다. 물론 CLG와 paiN Gaming에게는 모두 이기고, 서로 4승 2패로 FW와 동률이었지만 승자승 룰에 의해 조 2위로 진출했다. 중화권에 약한 건지 픽밴부터 지고 시작하는 게임으로 다소 의아해 지는 경기력을 연출하였다. 8강에서 만날 상대는 추첨 결과 kt로 정해져 한국팀 내전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8강전에서 kt를 만났는데 4경기 사실상 모두 다 경기력이 좋았다. 1경기도 이기고 있던 걸 사고로 역전당한 거고[* 사실 사고라기보단 kt 정글러인 스코어의 미친 하드 캐리 두 번으로 kt가 역전했다고 보는게 맞다.] 2, 3, 4경기는 지고 있던 게임도 역전해서 이겼다. 특히 스멥의 4연 피오라가 전장을 누비면서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4강에서 프나틱과 만나게 되었다. 4강에서 프나틱과 맞붙게 되었는데, 1세트 때 창과 창의 대결로 꿀잼을 만들며 엎치락뒤치락 하는 중 KOO가 먹으면 5용이 되는 용이 리젠되고, 스멥의 리븐이 뒤쪽으로 순간이동을 타고와 페비벤의 르블랑을 순식간에 풀피에서 실피로 만들었고 카사딘이 쿼드라킬을 먹으며 모든 프나틱의 팀원을 60초 셧다운을 시키며 게임을 끝냈다. 2세트 때는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프나틱]]쪽 [[레인오버|스카너]]의 실수와 [[레클레스|애쉬]]의 안 좋은 포지셔닝의 탓으로 게임이 지는 듯했으나 3억제기가 밀린 상황에서 [[후니]]의 슈퍼 플레이로 글로벌 골드를 따라잡으며 프나틱쪽으로 분위기가 기울었다. 하지만 자크의 새총발사가 아지르를 적중 후 점멸 궁까지 쓰며 이니시를 하고, 베이가의 점멸 궁으로 '''아지르가 점멸과 존야를 쓰지도 못한 채''' 1초만에 삭제되었고, 그대로 5:4 한타가 열리며 KOO가 게임을 끝냈다. 3세트 때는 [[후니]]의 멘탈 붕괴로 계속 죽어 미드와 봇에게도 영향이 가고 결국 KOO가 넥서스를 파괴했다. 이때 리븐의 KDA는 '0/8/5'였다. 그리고 SKT와 결승전에서 맞붙게 되었다. 4강에서 LCS EU의 마지막 희망인 프나틱을 3:0으로 셧아웃시켜서 절망한 LCS EU 팬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지 못하는 듯했다. 실제로 프나틱의 패색이 짙어지자 눈물을 흘리는 팬들까지 있었을 정도로 프나틱 및 LCS EU 팀 팬들이 받은 충격이 컸다. 그러나 레딧에서 스폰서가 망했다는 사실과 그 때문에 스폰서로부터 큰 지원 없이[* KOO의 정노철 감독이 "팀 사무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해 걱정이었는데 협회의 지원 덕분에 좋은 결과를 얻었다."라고 감사하다는 말까지 했다.] 롤드컵 결승까지 올라갔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이번 롤드컵에서 잘했으니 부디 좋은 스폰서를 얻길 바란다." 등의 응원을 받고 있다. 도리어 이번 대회에서 라이엇 공식 중계진들로부터 신데렐라 스토리로 포장받던 오리겐은 KOO에 비하면 배부른 돼지였다라는등의 자학성 평가도 나오고 있다.[* 다만 사실관계가 정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런 평가는 과한 것이, LCS만큼 안전하지는 않지만 KOO 또한 창단 당시에는 중국 자본 유입으로 통신사를 제외한 웬만한 LCK 팀보다 대우가 훨씬 좋다는 카더라가 파다했다. 이랬기 때문에 스멥이나 고릴라 등 원 소속팀이 잡고 싶어도 잡지 못했던 선수들 및 우수한 코치진을 모아 돌풍을 일으킬 수 있었던 것이다. 당장 KOO TV 멸망 소식이 널리 퍼지기 전인 트롤쇼 41화에서 클템과 강민이 대놓고 대우가 이전 팀보다 훨씬 좋지 않냐고 돌직구를 던지며 물어볼 정도. 물론 KOO TV가 이렇게 빠르게 망할 줄은 누구도 예상을 못했을 것이고 롤드컵 지원 불가 사태에 이어 연봉 체납같은 사태가 벌어졌을 가능성도 있지만, 적어도 레딧 또한 LCK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후에 고릴라의 방송에서 밝혀진 사실은 이 방송 전부터 이미 월급이 나오지 않던 상황이었다고 한다. 다만 방송에서 스폰이 망했다고 하기가 껄끄러워서 그냥 웃고 넘겼다는 것. 이후 롤드컵 선발전 준비는 피씨방에서 해야 했을 정도로 KOO는 세계 어느 프로팀보다 환경이 좋지 않았다.] 그리고 4강에서 프나틱을 3:0으로 이기면서 WE에게 1세트 딴 것을 제외하면 서양 상대로 전승, 중화권 상대로는 전패라는 이상한 징크스를 생성하게 된다. 심지어 상대했던 서양팀들은 SKG, C9, CLG, 프나틱 등 해당 시점에서 매우 잘나가던 팀들이고, 중화권 팀들은 EDG, LGD, ahq같은 유명 팀들이 아니라 중국 하위권 팀 WE와 대만 2위이자 브라질 팀과 동률을 기록한 FW라는 점에서 더더욱 기묘한 상성이 회자되고 있다. [[파일:22621529712_a853e3bbaf_o.jpg]] 그리고 결국 결승에서 SKT에게 아쉽지만 압도적으로 패배하여 준우승을 한다. 아쉽지만 압도적인 이유는 1세트는 압도적으로 패배, 2세트는 비벼지고, 3세트는 결국 전승 우승 저지, 그리고 4세트에 페이커의 라이즈에게 참교육 당하면서 전승우승을 저지한채 1:3으로 준우승을 하게된다. 그리고 매번 결승마다 유쾌한 모습을 보여준 이 남자들은 준우승이였지만 스스로 껴안아주고 환희하며 만세를 외쳤다. 그리고 팬들은 이 모습에 호평을 보냈다. 2016 시즌이 되어서 인벤과의 인터뷰에서 그 당시에 결승전이 지금 팀원으로 하는 마지막 경기라고 생각하고 즐겁게 했다고 했다. 비록 우승컵은 못 가져갔지만 그것만큼 중요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져갔다.''' 특히 창단부터 스폰서 문제 때문에 그렇게 이미지가 좋지 못했고[* 하지만 IEM 쇼크 이전까지는 스폰서로 인한 안티여론이 그다지 힘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핑계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많다. 일각에서는 CJ가 잘나가려고 하면 항상 KOO가 CJ를 찍어냈기 때문에 CJ 팬덤의 원한을 사서 그렇다는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한다.] 항상 역전에 무기력한 모습과 스프링 결승때 SKT에게 완파당한 점과 서머의 부진 때문에 저평가를 받아왔었다. 그러나 롤드컵 직전에 스폰서인 KOO TV가 서비스 종료되고 조별 예선에서도 FW에게만 2패하며 2위를 기록해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극복하며 프나틱을 완파하고 어느 누구도 전승 우승을 의심치 않는 SKT의 모습에 1승을 거두고 준우승 이여서 아쉬울 상황에도 변함없는 유쾌한 모습에 많은 지지 팬들이 생겼다. 여담으로 롤드컵 결승 당시에, 많은 해외팬들이 경기장에서 KOO Tigers를 외치며 응원하는데 이장면은 '''2015 롤드컵 최고의 명장면들 중의 하나.''' 우주 최강 깡패팀인 SKT를 상대로 유일하게 비벼본 팀이었으니 언더독에 대한 응원은 당연한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이 반응은 선수들이 인터뷰를 할 때 자신들의 팀 이름을 불러주었다면 좋겠다는 소망의 입김이 작용한 것일 수도 있다. 확실히 KOO가 결승전 3세트에서 보여준 경기는 모든 경기를 승리로 이끄는 파괴 전차인 SKT의 전승을 막은 유일한 경기였고, 응원해주는 팬들의 환호에 보답한 것인지 3세트는 초반부터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며 스노우볼을 침착하게 굴려나갔고 결국 그 차이를 확실하게 벌려 승리하였다. 비록 준우승을 차지했지만 해설진은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KOO 선수들에게 어떻게 첫 술에 배부르겠냐며, 앞으로 전력을 보강하면 충분히 다시 결승전에서 볼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