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Tigers/2015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 ||<-7><tablebordercolor=#595758><bgcolor=#595758><tablealign=center><tablewidth=750><tablebgcolor=#fff,#191919> '''{{{#f49819 GE Tigers}}}''' || ||<-3><nopad> [[파일:external/upload2.inven.co.kr/i15541333820.png|width=100%]] || ||<bgcolor=#595758> '''{{{#f49819 감독}}}''' ||<-6>[[정노철|정노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9em" {{{#f49819 NoFe}}}}}}]] || ||<-7><bgcolor=#d10927> '''{{{#fff 로스터}}}''' || ||<width=22%><bgcolor=#595758> [[파일:TOP_icon_ROX.png|width=25]][br]'''{{{#f49819 TOP}}}''' ||<-6><width=7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송경호(프로게이머)|송경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f49819 Smeb}}}}}}]] || ||<bgcolor=#595758> [[파일:JGL_icon_ROX.png|width=25]][br]'''{{{#f49819 JGL}}}''' ||<-6> [[파일:crwn.png|width=1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호진(e스포츠)|이호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f49819 Lee}}}}}}]] || ||<bgcolor=#595758> [[파일:MID_icon_ROX.png|width=25]][br]'''{{{#f49819 MID}}}''' ||<-6>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이서행|이서행[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f49819 Kuro}}}}}}]] || ||<bgcolor=#595758> [[파일:BOT_icon_ROX.png|width=25]][br]'''{{{#f49819 BOT}}}''' ||<-6>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종인(프로게이머)|김종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f49819 PraY}}}}}}]] || ||<bgcolor=#595758> [[파일:SUP_icon_ROX.png|width=25]][br]'''{{{#f49819 SPT}}}''' ||<-6>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강범현|강범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5758; font-size: 1.0em" {{{#f49819 GorillA}}}}}}]] || 프리시즌이 끝나갈 무렵 나이스게임TV의 해설위원으로 유명한 강퀴 [[강승현(게임 해설가)|강승현]]을 코치로 영입했다. 참고로 강퀴는 감독인 노페와 MVP Blue 소속으로 프로 시절을 함께한 바 있다. 전부 선수 출신인 만큼 다른 팀들에 비해 코칭 스태프의 연령이 젊은 편. 그리고 89년생인 쏭을 추가로 영입했다. 시즌의 1/4가 지난 시점에서 단독 선두에 오르게 된다. 기대감이 어느 정도는 있었으나 이정도일줄은 몰랐다는 의견이 대부분. 프리시즌을 보내고 나서 연습을 통해 팀원들의 조직력이 갈수록 좋아지고 있으며, 특히 정글러인 리가 경기 때마다 강하다고 생각되는 라인을 집중적으로 공략해 무너뜨리고 그걸 통해 스노우 볼을 굴리는 적절한 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각 선수들의 챔프폭도 넓은편이라 특정 밴에 약점을 노출하지 않는 이상적인 팀이 되어가고 있다. 그러면서 픽밴때마다 상대팀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는데 이는 선수 출신 노페와 강퀴의 우월한 역량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2015년 2월 15일 SKT전을 세트 스코어 2:1로 승리하면서, 1라운드 '''7승 전승, 세트 득실 +12'''라는 엄청난 업적을 세웠다. 설 연휴 이후 시작된 2라운드에서도 IEM 브레이크 이전까지 3승을 더 추가하며 1, 2라운드 합계 10연승으로 포스트시즌 진출을 일찍이 확정지었다. 2라운드에서도 계속 승리를 따내며 전승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경기력은 1라운드에 비해 많이 떨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정글러 리의 부진이 계속되면서 초반에는 밀리다, 후반에 팀의 집중력이 살아나면서 이기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 LCK에서는 쿠로와 프레이의 쌍끌이로 계속 이겨나가는 모습을 보였지만 IEM 월드 챔피언십에서 충격적인 패배를 당하면서 GE가 강한 게 아니고, 국내 롤 프로씬의 기량 저하로 반사 이익을 봤다는 말까지 나오기 시작했다. 사실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격렬한 반응이 나온 것은 그간 GE의 상승세에 일부 팬들이 15 GE가 13 SKK나 14 SSW수준의 강팀이라고 주장하고 다녔던 것의 반작용이기도 하다. 2015년 3월 27일 kt에게 세트 스코어 1:2로 패하면서 연승 기록이 깨졌다. 이후 SKT에게도 0:2 완패. 결국 2015년 5월 2일 열린 SKT와의 결승전에서도 세트 스코어 0:3으로 완패를 당했다. 3세트 내내 경기 초반의 라인전 단계에서부터 모든 라인이 주도권을 내줬고[* 특히 탑과 미드의 기량 차이가 심했다. 탑은 정글러의 지속적인 케어에도 불구하고 CS와 타워 체력 관리 등에서 SKT의 마린에게 3세트 내내 밀렸고 미드는 챔프를 바꿔가며 하는데도 이지훈에게 솔킬을 내주는 등 처참하게 발렸다.] 누누를 가져가고도 오브젝트 싸움에서 우위를 챙기지 못하는 등 무기력하게 상대 스노우볼링에 말려들어갔다. 쿠로는 이지훈과의 미드 싸움에서 완패했고, 정글러간의 갱킹이나 오브젝트 컨트롤 면에서도 리가 톰에게 크게 뒤쳐졌다. 3세트 막판에는 모르가나의 어둠의 속박이 상대에게 적중하면서 한타에서 승리를 거두며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는 듯했으나 바론을 가져가고 한타에서 승리를 거두고도 경기를 끝내지 못했고, 결국 이후 한타에서 대패를 당하고 말았다. 특히 정글인 리가 초식 정글 시대에 힘을 쓰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외에도 모든 라인에서 라인전을 밀리는 등 슬럼프에 빠진 듯한 모습으로 메타 적응에 실패한 듯한 모습을 보였다. IEM 이후 얼마간은 CJ를 제외하면 상대적 약팀들과의 싸움이었고, CJ전은 메타 변화의 과도기여서 결과적으로 kt전까지 메타 적응 문제가 드러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결승전까지 3주의 시간이 있었는데 특별히 달라지지 않은 모습을 보인 것은 아쉬운 부분. 그리고 시즌 후에 스폰서인 GE 소속의 BJ들이 KOO TV로 방송 플랫폼을 바꿀 준비를 하면서 팀명도 바꿀 정황이 포착되었다. 그리고 닉네임 변경으로 인해 이적설이 돌았던 위즈덤 [[김태완(프로게이머)|김태완]]을 영입해 정글 경쟁 체제를 갖추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